재테크 애송이: ETF 포트폴리오 다양하게 짜고 백테스팅해보기

애송이라서 이번에는 재테크방 고수님들의 여러 방법들을 짬뽕해서 따라해 봤습니다. 

여러 방법으로 포트폴리오를 짜보고, 리노님을 통해 줍줍한  ‘스노우볼’ 이라는 백테스팅 앱으로 백테스트를 해봤습니다. 

스노우볼 가이드북도 잘 정리되어있어서 공부하기 좋네요.


1. 형목님 프롬프트 수정한 포트폴리오 + 스노우볼 돌려보기


참고 글: [9기 재테크] ChatGPT로부터 목표 수익률 달성을 위한 ETF Portfolio 추천 받기

Quantus 추천 종목들이 잘 모르는 회사들이어서 GPT로 주요 ETF로 포트폴리오를

짜보셨다는 형목님 말씀이 와닿아서, 형목님이 쓰신 프롬프트에서 

  • 한국 ETF를 미국 ETF로

  • 연간 수익률 목표 20%/최대낙폭 15% -> 12%/14%으로 

  • 투자금을 1년에 1억에서 월 백만원으로 

수정해 봤습니다.


프롬프트:

You are a financial analyst specializing in US stock market capable of developing investment strategy. Your investment strategy is based on your in-depth knowledge on stock market cycle theory of Urakami Kunio and investment strategy of Warren Buffet Provide an investment portfolio recommendation, based on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entire ETF universe available in US as well as in-depth research on historical performance and current macro environment. Recommend an ETF with lower fees if selecting from same asset class. Make sure to add the reason for recommendation for each specific ETF you recommend. The recommendation should be written in Korean. The information on your client is as the following: Target annual return: 12% MDD: -14% Investment amount: KRW1,000,000/month.(Annual amount: KRW 12,000,000)




형목님 글에서 우라가미 구니오의 주식시장 주기 상 어느 단계에 있다고 판단해서 제안한건지 물어보니, 고려 안했다던 말이 생각나서 저도 물어봤습니다.

 역시나 그것보단 버핏 오빠를 더 참고해서 만들었다고 고백하네요ㅋㅋㅋ 형목님이 대화하셨던 친구와 같은 친구인가봐요..*


어쨋든 준 결과를 스노우볼로 돌려봅니다.

직관적으로 추가할 수 있어서 쉽고요. 엇그제까지만 해도 초기 투자금액이 최소 5만달러여서 그렇게 해봤습니다. 



연환산 수익률이 생각보다 낮았고, MDD는 수익률 대비 생각보다 커서 짜게 식었습니다. 





BND, 왜구래? 왜넣은거야? 싶은ㅋㅋㅋㅋ QQQ는 역시나 기술주구나 싶고요.


스노우볼 보니까 ETF 유형 중 주식/채권/대체자산이 있길래 이걸 골고루 넣어서 한번 짜달라고 해봤습니다. 



2. ETF 조건 한줄 넣고 얻은 포트폴리오 + 스노우볼 돌려보기


프롬프트

ETF 포트폴리오를 짜는데, 주식/채권/대체자산 관련 ETF를 골고루 한 5-7개 넣어서 포트폴리오를 짜줘. 미국 ETF 기준으로.



그런데 스노우볼에 ARKK가 없어서 없다고 따지니까 존재한다고 우기네요!?!?!

없으면 순순히 시인하던 친구라 검색해보니 정말 있네요..* 스노우볼에 없던것이었..ㅋㅋㅋㅋ

그래서 사과하고 QQQ를 대신 넣어도 될까 물어보니 그걸 넣어서 다시 포트폴리오를 짜줬습니다. 



하지만 수익률은 더 별로였어요. 드랍!!!



3. 워렌버핏의 투자철학 기반 전략을 주고 포트폴리오 짜달라고 하고 + 스노우볼 돌려보기


현영님 글에 있는 프롬프트를 살짝 수정해서 써봤습니다. 


프롬프트:

너는 아주 유능한 금융 컨설턴트야. 

https://namu.wiki/w/%EC%9B%8C%EB%A0%8C%20%EB%B2%84%ED%95%8F

너는 워렌버핏의 뇌를 그대로 복제한 나의 투자 컨설턴트야. 네가 워렌버핏이라면 톱다운 방식으로 퀀트투자 종목선정 할 때 어떤 전략을 수립할 거니? 

1. 워렌 버핏에 관한 웹페이지  '3. 투자관'의 내용을 고려할 것

2. 운용자금은 초기 투자금액 5만달러에, 월 1000달러씩 넣을거야.

3. 분기별로 자산배분 후 주식 종목을 선정하므로 수익률을 높일 것

4. 미국 ETF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건데, 주식/채권/대체자산를 고려한 포트폴리오를 짜주면 되. 

5. 가장 중요한건 '안정적인 수익' 이야. 





결과적으로 수익률과 낙폭이 비슷하네요 ㅋㅋ 

종목 자체가 비슷해서 그런것 같습니다. 


여기까지 해보고 약간 짜게 식어서 중단했고, 자고 나서 다시 부활했습니다!!!!

역시 잠이 보약입니다ㅋㅋㅋ



ETF를 파다보니 ETF가 궁금해져서 출근길에 ETF 관련 수페TV 유투브 영상을 하나 봤습니다.  
주린이도 수익내는 ETF 투자의 모든것 (ft. 국내/해외 S&P500)


ETF 선택 시 고려할 요소들

  1.  상장일(금융위기를 겪고 살아남았는가)

  2. 총보수

  3. 자산규모

  4. 섹터

  5. 기업


앞서 계속 나온 VOO 이런것들이 왜 계속 나오는지 이 단계에서야 이해가 됬습니다ㅋㅋㅋ

왜 자꾸 같은 것만 추천하는거야! 라고 했던 애송스..


-여러 ETF에 투자할 경우, ETF에 같은 기업이 여러번 들어가서 비중이 커질 수 있으므로 주의 필요 

어찌 보면 당연한건데 이 생각은 못해봤네요??



새로운 지식 겟으로 이번엔 ETF 투자 고려 요소들을 주고 짜달라고 해봤습니다.



4. ETF 투자 고려 요인 5개 고려한  포트폴리오 + 스노우볼 돌려보기


프롬프트:

미국 ETF로 포트폴리오를 만드려고 하는데 , 아래의 내용을 참고해서 종목들과 비중을 추천해줘. 

- 같은 지수를 추종한다면 상장일이 오래됬거나 총보수가 낮거나 자산규모가 큰 곳으로 고려 

- 10년 이상 장기로 투자하려고 해. 

- 매달 100만원씩 포트폴리오에 추가하려고 해. 

-워렌버핏에 대한 웹페이지 '3.투자관'의 내용을 고려해줘. https://namu.wiki/w/%EC%9B%8C%EB%A0%8C%20%EB%B2%84%ED%95%8F

- 수익률은 12%, 최대 낙폭 12%를 목표로 해줘. 



딱 봐도 좀 노잼 ETF들이 많아서 기술주를 좀 더 넣어달라고 해봤습니다.

버핏오빠 투자관이 아닐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은 드네요 ㅋㅋㅋ


프롬프트:

분기별로 리밸런싱할 생각이야. 이걸 고려 + VOO의 비중을 조금 더 낮춰주고, QQQ나 BOTZ같은 기술 관련 주도 추가해줘. 이것의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다른 종목이 필요하다면 같이 추가해주고. 




생각해보니 목표 수익률과 낙폭을 초반에 제가 안알려줬더라고요.

그래서 어느정도로 예상하고 짜준거냐고 물어봤더니, 연간 7-10% 목표에 최대낙폭 -10% 내외라고 답변 줬습니다. 


GPT가 준 종목들에 대해 더 물어봤습니다. 


프롬프트:

네가 짜준 포트폴리오의 ETF들의 아래 항목들에 대해 표로 정리해줘. 

  1.  상장일(금융위기를 겪고 살아남았는가)

  2. 총보수

  3. 자산규모

  4. 섹터

  5. 기업





보니까 BOTZ는 자산규모가 너무 적길래,

AI=GPU=NVIDIA가 생각나서 NVIDIA가 포함된 다른 ETF를 알려달라고 해봤습니다. 





후 하지만 스노우볼에 ARK가 없어서 SMH를 대신 넣어서 포트폴리오를 다시 짜달라고 해봤습니다. 그리고 스노우볼에 넣어봤죠.







연 환산 수익률은12.9%로 마음에 드는데, 낙폭이 -27%이라서 아숩네요..


대체자산이 없길래 대체자산 추가해서 한번 짜달라고 하고 다시 돌려보니,

낙폭은 비슷한데 수익률이 낮아서 그 버젼은 드랍했습니다ㅋㅋㅋ


이렇게 해보니 주슨생님이 백테스트를 많이 해봐야 한다는 말씀이 훅 와닿는 과정이었네요..

이렇게 삽질을 여러번 하다 보면 적당한 포트폴리오에 마음을 주게 될것 같네요. 


다만 10분위 테스트 기능이 없어서 좀 거시기합니다.

이건 어떻게 해야할지 아직도 해소가 안되요ㅋㅋㅋ



스노우볼에 여러 샘플 전략들이 있길래,

적당한 수익률과 낮은 낙폭을 가진 제 취향의 전략을 한번 살펴봤습니다. 

야수의 심장이 아닌 자의 취향 저격 전략!




전략에 대한 GPT 해설:





동적 전략이다 보니 특정 주기에는 완전 다른 비중의 포트폴리오로 운영되는게 눈에 띕니다. 

그렇게 부지런히 움직여서 아름다운 숫자를 만들 수 있나 봅니다…

애송이는 손꾸락만 빨고요..





자동으로 사고 파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조건 설정만 해두면, 저렇게 해도 자동 매수/매도가 되는걸까요?

허나 애송이 현재 상태로 저렇게 까지 하기엔 욕심인 것 같고요,

다른 방법을 더 찾아보겠습니다ㅋㅋㅋㅋ



부트캠프가 벌써 끝이네요..

이번 부트캠프는 유독 짧게 느껴졌네요. 재테크 지식은 방대한데 지식은 적고 백테스팅 지옥에 빠져서 그런것일지. 이커머스때보다 몸은 덜 고생하나 머리는 더 고생하는 기간이었습니다ㅋㅋㅋ

그래도 이번 부트캠프로 얻은 것들이 많습니다!!!


1.집 사는 타이밍에 대한 기준

파트너 경석님의 명강의가 정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덕분에 올해 부동산 갈아타려고 결정을!!!! 대출 관련 것들도 모두 확인 완~!


2. 재테크 공부

과제를 따라하는건 쉬운데 이해 못하고 따라하니 노잼이어서 강제로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심심할때 재테크 관련 유투브를 찾아보게 되었다는 것만 해도 엄청 큰 변화같아요. 


3. 포트폴리오 짜는 방법

퀀트투자가 뭔지도 몰랐는데요, 그걸 어떻게 짜야 하는지, 어떤 접근 방식들이 있는지 배웠습니다. 그 과정에서 제대로 내 돈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백테스팅을 진짜 여러번 해봐야겠구나 제대로 체감했습니다.

아예 모르고 안하는거보다 이번 포스팅에서 수익률 가장 낮은 포트폴리오에라도 돈을 넣어두는게 이득이란 생각도 들고요.


4. 그동안 별로 관심없었던 세금에 대해 이해…

장기로 포트폴리오를 가져갈 경우, 수익이 높아질테니 세금도 잘 신경써야겠구나 깨달았습니다. 사실 부동산 세금도 만만치 않은데 사봐야 그게 체감되잖아요? 포트폴리오를 실제 짜보려니 와닿네요 ㅋㅋ


5. 재테크할 돈을 생각하다보니 소비가 줄어듬ㅋㅋㅋ

뭐 사는 돈이 아깝고 연복리 수익 누릴 생각만 드네요..*



우선 집 갈아타고 재테크할 돈 소소하게 정해서,

ETF 중심의 포트폴리오 짜서 운영해 보는걸로!! 투비컨티뉴드…*

주슨생님, 진돌슨생님, 경석파트너님 너모 감사드리고, 동기님들께도 많이 배웠습니다.

내일 부트캠프도 기대~~~


#9기재테크

4
6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