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벨라입니다. 오늘은 제가 AI 조수 클로드와 함께 만들어가고 있는 "한국 퀘스트 미션 성장 커뮤니티" 프로젝트에 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
1. 아이디어의 탄생
9년간의 한국 생활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에 관심 있는 외국인들을 위한 종합적인 정보 공유 플랫폼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2. AI 조수 클로드와의 협업
이 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해 AI 조수 클로드를 만났습니다. 클로드와의 대화는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저번 주에 이모카님께서 클로드 스터디 공유해 주신 내용덕분에 좋은 팁을 배웠어요. 😃
저도 배우는 대로 한번 활용해 보았습니다.
클로드와의 효과적인 대화 방법 (프롬프트 스키마):
1. 명확한 목표 제시: "한국 퀘스트 커뮤니티 프로젝트를 위한 계획을 세우고 싶어요."
2. 세부 정보 제공: 프로젝트의 주요 구성 요소, 목표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
3. 단계적 접근: 팀 구성, 콘텐츠 전략, 마케팅 방안 등을 순차적으로 논의
4. 피드백 요청: "이 아이디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개선할 점이 있을까요?"
5. 구체화 요청: "이 부분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3. 팀 구성의 마법
클로드와의 대화를 통해, 우리는 8개의 전문 팀을 구성했습니다. 각 팀의 이 름과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한국 이야기꾼들 (Korea Storytellers)
- 한국 관련 정보 수집 및 정리, 블로그 글 작성, 대만 중국어 번역
- 미드저니 이미지 프롬프트 작성 및 블로그용 이미지 생성
2. 디지털 건축가들 (Digital Architects)
- 웹사이트 구축 및 유지보수, UI/UX 디자인, SEO 최적화
3. SNS 마법사들 (Social Media Wizards)
- 소셜 미디어 계정 관리, 콘텐츠 일정 계획 및 포스팅, 팔로워와의 소통
4. 한류 전파자들 (Hallyu Propagators)
- 마케팅 전략 수립, 온/오프라인 이벤트 기획 및 실행, 협력 파트너십 구축
5. 퀘스트 길드마스터들 (Quest Guildmasters)
- 회원 관리 및 지원, Q&A 응대, 온라인 모임 및 토론 진행
6. AI 연금술사들 (AI Alchemists)
- 챗봇 개발 및 관리, AI 관련 기능 구현, 기술적 문제 해결
7. 한국학 현자들 (Korean Studies Sages)
- 온/오프라인 강의 기획 및 진행, 학습 자료 개발,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8. 퀘스트 전략가들 (Quest Strategists)
- 전체 프로젝트 비전 및 목표 설정, 각 팀 간 업무 조율 및 협업 촉진
4. 블로그 콘텐츠의 탄생
클로드의 도움으로 우리는 체계적인 블로그 작성 가이드라인을 만들었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 이야기꾼들"이 각 주제별로 10개씩의 블로그 제목을 만들고, 일관성 있는 high-quality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죠.
블로그 작성 표준화 포맷:
블로그 작성 가이드라인:
1. 제목 체계:
- H1 (#): 메인 제목 (글씨 크기 24pt, 볼드체)
- H2 (##): 주요 섹션 제목 (글씨 크기 20pt, 볼드체)
- H3 (###): 하위 섹션 제목 (글씨 크기 18pt, 볼드체)
2. 본문:
- 글씨 크기: 16pt
- 줄 간격: 1.5
- 단락 간격: 1줄 띄우기
3. 강조:
- 볼드체 (**텍스트**): 중요 키워드나 핵심 문장
- 이탤릭체 (*텍스트*): 용어 설명이나 부연 설명
4. 목록:
- 순서가 있는 목록: 1. 2. 3.
- 순서가 없는 목록: - 또는 •
5. 인용:
- > 기호 사용
6. 링크:
- [링크텍스트](URL)
7. 이미지:
- 
8. 단락:
- 각 주요 아이디어마다 새 단락 사용
- 단락은 3-5문장 정도로 유지
9. 전체 구조:
- 도입부: 주제 소개
- 본문: 세부 내용 설명 (여러 섹션으로 나눔)
- 결론: 요약 및 마무리
10. 본문과 참고 자료 구분:
- 본문 끝과 참고 자료 시작 사이에 구분선 추가
- 구분선 형식: ---
11. 참고자료 및 추천 리소스:
- 블로그 글 맨 마지막에 정리하여 제시
- 이미지에 나온 글씨 크기로 작성
- 정확한 링크 첨부 필수
12. 미드저니 이미지 프롬프트:
- "확인 완료" 메시지 수신 후, 블로그 내용에 맞는 이미지 프롬프트 생성
클로드 대화 내용 예시:
블로그 "제목"만 넣고 블로그 내용을 알아서 생성해줍니다.
출처 첨부링크까지해줍니다.
확인완료라고 하면, 알아서 미드저니 프롬프트 도출해 줍니다.
(다른 블로그 플롬프트 예시)
슬레시페이지 결과물:
https://slashpage.com/koreabella/7vgjr4m154dr1mdwpy86
5. 실제 데이터 분석과 콘텐츠 제작
우리 팀은 제가 제공한 실제 데이터(외국인 비자 네비게이터, 카톡방 대화 내용 등)를 AI가 분석하여 더욱 현실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6. 슬래시 페이지로 콘텐츠 등록
이 모든 과정을 거쳐, 우리는 드디어 슬래시 페이지에서 우리가 만든 다양한 주제의 블로그 포스트를 볼 수 있습니다.
링크
7. 블로그 콘텐츠의 탄생과 발전
클로드의 도움으로 우리 "한국 이야기꾼들(Korea Storytellers)" 팀은 각 주제별로 10개씩의 블로그 제목을 만들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한국어 설명도 함께 추가하여, 독자들이 내용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총 6가지 주제로 나눴습니다. 다음은 우리가 만든 블로그 콘텐츠 계획의 첫 번째 주제입니다.
### 니-1.韓國學習 (한국어 학습)
1. 韓語字母表速成:一週掌握韓語發音 (한글 속성 과정: 1주일 만에 한국어 발음 마스터하기)
2. 10個必學韓語日常用語,立即開始對話!(꼭 알아야 할 한국어 일상 표 현 10가지, 지금 바로 대화 시작하세요!)
3. 韓劇學韓語:從熱門劇集中學習實用表達 (드라마로 배우는 한국어: 인기 드라마에서 실용적인 표현 배우기)
4. K-POP 歌詞解析:邊聽音樂邊學韓語 (K-POP 가사 분석: 음악을 들으며 한국어 학습하기)
5. 韓語語法入門:搞懂「은/는」和「이/가」的區別 (한국어 문법 입문: '은/는'과 '이/가'의 차이 이해하기)
6. 韓語學習 App 大比拼:哪個最適合你?(한국어 학습 앱 비교: 당신에게 가장 적합한 앱은?)
7. 如何有效背誦韓語單詞:記憶技巧大公開 (한국어 단어 암기법: 효과적인 기억 기술 공개)
8. 韓語發音難點突破:從髒話學習音變規則 (한국어 발음 난제 극복: 욕설로 배우는 음운 변화 규칙)
9. TOPIK考試準備指南:如何在90天內達到中級水平 (TOPIK 시험 준비 가이드: 90일 만에 중급 수준 달성하기)
10. 韓語學習誤區:新手最常犯的5個錯誤 (한국어 학습의 함정: 초보자가 가장 자주 저지르는 5가지 실수)
이러한 제목들은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주제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제목 옆에 한국어 설명을 추가함으로써,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독자들에게도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니-2.韓國簽證 (한국 비자)
1. 韓國簽證種類全解析:哪種最適合你?(한국 비자 종류 완벽 가이드: 당신에게 가장 적합한 비자는?)
2. 留學簽證申請步驟詳解:從準備到批准 (유학 비자 신청 과정 상세 설명: 준비부터 승인까지)
3. 在韓工作簽證(E-7)申請攻略 (한국 취업 비자(E-7) 신청 공략법)
4. 韓國打工度假簽證:申請條件和注意事項 (한국 워킹 홀리데이 비자: 신청 조건과 주의사항)
5. 如何延長你的韓國簽證:程序和所需文件 (한국 비자 연장 방법: 절차와 필요 서류)
6. 韓國結婚簽證:與韓國人結婚後的居留權指南 (한국 결혼 비자: 한국인과 결혼 후 거주권 안내)
7. 韓國簽證面試準備:常見問題和回答技巧 (한국 비자 인터뷰 준비: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기술)
8. 簽證被拒?如何申訴和重新申請 (비자 거절? 이의 제기와 재신청 방법)
9. 韓國投資移民簽證:條件、流程和優勢 (한국 투자이민 비자: 조건, 절차, 그리고 장점)
10. 韓國簽證新政策解讀:2024年最新變化 (한국 비자 새 정책 해석: 2024년 최신 변경사항)
### 니-3.韓國生活 (한국 생활)
1. 初到韓國:首爾生活必備APP推薦 (한국 첫 방문: 서울 생활 필수 앱 추천)
2. 韓國租房全攻略:從月租到全稅 (한국 집 구하기 완벽 가이드: 월세부터 전세까지)
3. 韓國交通體系解密:地鐵、公交、計程車使用指南 (한국 교통 시스템 파헤치기: 지하철, 버스, 택시 이용 안내)
4. 韓國飲食文化:禮儀、小費、常見菜單翻譯 (한국 음식 문화: 예절, 팁, 흔한 메뉴 번역)
5. 韓國四季穿搭指南:適應韓國氣候的時尚建議 (한국의 사계절 패션 가이드: 한국 날씨에 맞는 스타일링 팁)
6. 韓國購物天堂:從大型商場到地下街的購物攻略 (한국 쇼핑의 천국: 대형 몰부터 지하상가까지 쇼핑 공략)
7. 韓國醫療體系:如何在韓國看病和買藥 (한국 의료 시스템: 한국에서 병원 가기와 약 구매하는 방법)
8. 韓國銀行開戶和轉賬:外國人理財指南 (한국 은행 계좌 개설과 송금: 외국인 재테크 가이드)
9. 韓國人際交往:社交禮儀和人情世故 (한국의 대인 관계: 사회적 예절과 인정세태)
10. 韓國節日文化:重要節日介紹和慶祝方式 (한국의 명절 문화: 주요 명절 소개와 축하 방법)
### 니-4.韓國職場 (한국 직장)
1. 韓國職場文化解密:從面試到入職的全程指南 (한국 직장 문화 해독: 면접부터 입사까지 전 과정 가이드)
2. 韓國企業等級制度:如何理解和適應 (한국 기업 직급 체계: 이해와 적응 방법)
3. 韓式會議文化:有效參與和表達意見的技巧 (한국식 회의 문화: 효과적인 참여와 의견 표현 기술)
4. 韓國職場人際關係:與同事和上司相處之道 (한국 직장 인간관계: 동료와 상사와의 관계 유지법)
5. 韓國職場禮儀:不可不知的辦公室禮節 (한국 직장 예절: 꼭 알아야 할 사무실 에티켓)
6. 韓國加班文化:如何平衡工作與生活 (한국의 야근 문화: 일과 삶의 균형 잡기)
7. 韓國職場服裝穿搭:打造專業形象的秘訣 (한국 직장 패션: 전문적 이미지를 만드는 비결)
8. 外國人在韓國職場的挑戰與機遇 (외국인의 한국 직장 생활: 도전과 기회)
9. 韓國職場溝通技巧:提高工作效率的語言表達 (한국 직장 소통 기술: 업무 효율을 높이는 언어 표현)
10. 韓國年終考核與升遷:如何在職場中脫穎而出 (한국의 연말 평가와 승진: 직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방법)
### 니-5.韓國創業 (한국 창업)
1. 在韓國創業的基本步驟:從構想到開業 (한국에서 창업하기: 아이디어에서 개업까지의 기본 단계)
2. 韓國創業簽證指南:如何申請和維護 (한국 창업 비자 가이드: 신청 및 유지 방법)
3. 韓國創業資金來源:政府補助和投資機會 (한국 창업 자금 출처: 정부 지원금과 투자 기회)
4. 韓國熱門創業領域:2024年最具潛力的行業 (한국의 인기 창업 분야: 2024년 가장 유 망한 업종)
5. 外國人在韓國創業的法律注意事項 (외국인의 한국 창업 시 법적 유의사항)
6. 韓國創業稅務知識:創業者必知的稅收政策 (한국 창업 세무 지식: 창업자가 꼭 알아야 할 세금 정책)
7. 如何在韓國註冊公司:程序和所需文件 (한국에서 회사 등록하는 방법: 절차와 필요 서류)
8. 韓國創業孵化器和創業中心介紹 (한국의 창업 인큐베이터와 창업 센터 소개)
9. 韓國網路創業指南:從電商到APP開發 (한국 온라인 창업 가이드: 이커머스부터 앱 개발까지)
10. 在韓國創業的成功案例分析:經驗與教訓 (한국에서의 창업 성공 사례 분석: 경험과 교훈)
이 주제들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하거나 창업을 고려하는 외국인들에게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한국의 독특한 직장 문화부터 창업에 필요한 실질적인 정보까지, 폭넓은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 니-6.AI활용 (AI 활용)
1. 韓語學習新革命:AI語言學習工具全面評測 (한국어 학습의 새로운 혁명: AI 언어 학습 도구 종합 평가)
2. 用AI提升韓語寫作:語法檢查和潤色工具推薦 (AI로 한국어 작문 실력 향상하기: 문법 검사 및 문장 개선 도구 추천)
3. AI翻譯在韓國生活中的應用:優劣勢分析 (한국 생활에서의 AI 번역 활용: 장단점 분석)
4. 韓國職場中的AI應用:提高工作效率的秘密武器 (한국 직장에서의 AI 활용: 업무 효율을 높이는 비밀 무기)
5. AI面試準備:韓國企業常用的AI面試工具解析 (AI 면접 준비: 한국 기업에서 자주 사용하는 AI 면접 도구 분석)
6. 用AI規劃韓國旅行:從行程安排到預算控制 (AI로 한국 여행 계획하기: 일정 수립부터 예산 관리까지)
7. AI在韓國商業中的應用:案例研究和未來趨 勢 (한국 비즈니스에서의 AI 활용: 사례 연구와 미래 동향)
8. 韓語AI聊天機器人:語言練習的新方法 (한국어 AI 챗봇: 언어 연습의 새로운 방법)
9. AI如何幫助外國人適應韓國文化:文化智能應用 (AI가 외국인의 한국 문화 적응을 돕는 방법: 문화 지능 애플리케이션)
10. 韓國AI創新企業巡禮:最值得關注的AI新創公司 (한국 AI 혁신 기업 탐방: 주목할 만한 AI 스타트업)
9. 커뮤니티 운영 전략
1. 정기적인 온라인 모임 개최: 주제별 토론, Q&A 세션, 전문가 초청 강연 등
2.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경험 많은 회원과 신입 회원 연결
3. 사용자 제작 콘텐츠(UGC) 장려: 회원들의 경험담, 팁, 리뷰 등을 블로그에 게재
4. 커뮤니티 챌린지 이벤트: 한국어 학습, 문화 체험 등의 목표 달성 챌린지
5. 피드백 시스템 구축: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회원 의견 수렴
6. 소그룹 활동 지원: 관심사별 소모임 형성 및 활동 지원
10. 미래 비전과 확장 계획
우리의 목표는 한국에 관심 있는 번체자 중국어권(대만, 홍콩, 말레시아, 싱가포르) 외국인들에게 실질적이고 유용한 정보와 지원을 제공하는 핵심 플랫폼이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첫 심을 잃지 않고, 초기의 비전을 충실히 이행하면서도 지속적인 발전을 추구할 것입니다. 앞으로의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만(번체자) 중국어 콘텐츠 강화:
- 대만 중국어권 사용자에 특화된 고품질 콘텐츠 지속 개발
- 한국-대만 문화 차이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통찰 제공
2. 슬래시 페이지 플랫폼 최적화:
- 기존 슬래시 페이지 앱의 사용자 경험(UX) 개선
- 모바일 환경에서의 접근성과 사용 편의성 향상
3. 오프라인 이벤트 확대:
- 정기적인 네트워킹 모임 개최
- 한국 문화 체험 행사 기획 및 실행
- 온/오프라인 연계 프로그램 개발
4. AI 기반 개인화 서비스 강화:
-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추천 시스템 개발
- AI를 활용한 개인별 한국어 학습 경로 제시
- 콘텐츠 생성 및 큐레이션 프로세스의 효율화
5. 커뮤니티 참여 활성화:
- 사용자 제작 콘텐츠(UGC) 장려 및 플랫폼 내 공유
- 멘토링 프로그램 확대: 경험자와 신규 유입자 연결
- 주제별 소그룹 활동 지원 및 커뮤니티 내 네트워크 강화
6. 데이터 기반 서비스 개선:
- 사용자 피드백과 행동 데이터 분석을 통한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
- 트렌드 분석을 통한 새로운 콘텐츠 주제 및 서비스 영역 발굴
이러한 계획들을 통해 우리는 번체자 중국어권 사용자들에게 가장 신뢰할 수 있고 유용한 한국 관련 정보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AI 기술과 인간의 경험을 결합한 우리의 접근 방식은 사용자들에게 더욱 풍부하고 실용적인 경험을 제공할 것입니다.
계속 화이탕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과제 정리는 클로드한테 도움을 받았고 정리해 보았습니다. 저보다 한국어 100배 훨씬더 잘하는 클로드한테요! ㅋㅋ ㅎㅎ
화이팅할게요!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