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개
만약 내가 이 회사의 대표라면, 어떤 방향으로 브랜드를 키워야 할까?
이 질문을 가지고 회사의 현재 브랜드 맵과 마케팅 전략을 키워드 분석 관점에서 살펴보기로 했어요.
ERP 시장 안에서 우리 회사가 어떤 위치에 있는지, 어떤 키워드를 중심으로 고객과 소통해야 할지를 직접 탐색해봤습니다.
## 진행 방법
### 🧰 사용한 도구
- Claude McP
- ERP 관련 키워드와 인기 콘텐츠를 찾아주는 도구
- 무료 토큰 한도로 작업이 중단되긴 했지만, ERP 시장 전반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었어요
- 네이버 키워드 도구
- ERP
, 중소기업
, MES
중심으로 연관 키워드를 조사
- 소상공인정책자금
, 지원금
등 의외의 연관 키워드를 통해 새로운 마케팅 타깃 발굴 가능성을 확인했어요
ChatGPT
우리 회사의 홈페이지를 기준으로 PRD를 만들어 보았어요 -> 평범하게 내가 아는 내용이네요.
여행가J님의 @ 게으름뱅이 컨설턴트J님을 초대하여 "해당 브랜드의 확장 가능성과 추천하고 싶은 마케팅 가이드를 알려줘"를 질문 했습니다.
-> 기존 마케팅 내용 외에 여러가지 방향성의 제안을 주었어요
그중 "우리 고객의 일상 문제를 ERP로 어떻게 정확히 해결해 줄 수 있을까? 브랜드 개발 로드맵"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문제 기반 ERP 진단 퀴즈 를 추천","문제 중심 SEO 콘텐츠 “원가팀 야근 줄이는 법” 등 바로 리드를 수집하고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방향성이 많이 도출이 되었습니다.
관련 내용은 아래의 링크로 공유해요
https://chatgpt.com/share/683f2132-be18-8006-9703-6f0b08c790b3
## 결과와 배운 점
- CEO 마인드로 “우리 브랜드는 어떤 고객을 향해, 어떤 키워드로 소통해야 할까?”라는 관점이 생겼어요.
- 단순히 마케팅 팀에서 주는 자료를 따르는 게 아니라, 직접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업 방향을 고민해보는 경험이었습니다.
- '소상공인정책자금'과 같은 키워드는, 기존에 생각하지 못했던 잠재 고객 대상으로 고려해볼 수 있을것 같아요
- 이런 키워드 기반 분석은 마케팅뿐 아니라, 향후 브랜드 콘텐츠 전략이나 세일즈 피치 구성에도 유용하다고 느꼈습니다.
##도움 받은
온어닷님이 알려준 @ 이로 gpts 호출 하는 방법
여행가J님이 알려준 네이버 키워드 연관검색
토요일 클로드에서 Mcp 를 열심히 따라할수 있게 해준 타이칸님(클로드는 유료 결재를 해야되나 고민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