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콘텐츠의 데이터 분석을 위한 n8n 콘텐츠 유형 분석 자동화 세팅 도전기

소개

영상 콘텐츠 시청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인기있는 주제와 반응들이 나오는 콘텐츠의 이유는 무엇일까?를 분석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내가 당장 확인해보고 싶은 콘텐츠 영상 URL만 지정한 텔레그램 챗봇에 전달만 하면 내가 원하는 형식에 맞게 직관적으로 요약본과 메타데이터부터 어떤 관점을 가지고 제작자의 입장에서 기획부터 제작 및 편집 등을 확인할 목적으로 시작하게 됐습니다.

시스템의 다른 부분��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2번정도 박정기스터디장님의 수업에서 청강입장에서 다른 분들은 어떻게 n8n을 활용하는지를 먼저 확인해보고 이후 나는 어떤 툴을 가지고 무엇을 만들지에 대해 하나하나 만들어보생각보다 텔레그램을 활용을 시작..

처음은 역시 어렵다 느끼지만 툴 하나하나를 만져보니.. 점점 익숙해지는 느낌이라 원하는 속성값을 내가 분석하고자 하는 형태에 맞게 만들기만 하면 되곘다~ 라는 생각이 가득하네요 🙂

진행 방법

주로 GPT와 대화하면서 내가 만들고자 하는 기능을 챗직피티에게 너무 잘한다 잘한다~~ 칭찬만을 던지고 내가 원한는 것을 만들 수 있게 가스라이팅을 반복!

프로젝트 설정을 보여주는 화면의 스크린 샷

거의 만들어둔 상황에서 또 작동이 안되다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칭찬을 먼저 하고 또 질문을 던지고를 반복하니 생각보다 쉽게 노드 연결 문제는 해결!

처음 간단한 기능을 만들고 텔레그램 챗봇에 요약을 요청했으나 원하는 데이터 회신이 없어서 메신저 회신 전 원하는 메타데이터가 정리되어 나오는지를 확인!

이후 첫 답변을 빠르게 받고 싶은 마음에 message 텔레그램을 연동해서 기본 세팅한 요약 답변 틀이 나오도록 쳇직을 또 한번!

띄어쓰기가 없다보니 보기가 불편하여.. text 정렬을 수정 후 반영하니 이제 데이터만 결합해서 나오기만 하면 1차 생각한 정보는 끝?!

평소 분석하는 콘텐츠를 내 브랜드에 맞게 기조와 분위기 방향성 등을 어떻게 적용해 볼수 있을지 하나하나 쉽게 나 대신 분석해 줄 수 있다니.. 역시 AI를 더 많이 해봐야.. 배울건 넘치고 하다보면 시간은 부족하다 느끼고..

또한 처음 시작한 14기에 적응할만하니 4주가 끝나서 좀 시원섭섭한 기분은 저만 그런지 ㅎㅎㅎ;;

결과와 배운 점

프로젝트 관리 도구의 스크린 샷

처음 구성을 알지 못했을때는 이해하기 어려웠으나.. 정기님의 수업을 청강으로 듣다가 INPUT과 OUTPUT의 형태는 항상 같아야 한다는 개념을 확인하고 시작하니 생각보다 n8n이 어렵지는 않았지만, 추가적인 원하는 기능을 구현하는데 시행착오 중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시청자와 제작자의 입장에서 콘텐츠 보는 관점을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게 만들어볼 예정입니다.

도움 받은 글

2월 11일 문과생도 n8n 청강만 듣고 정기님이 따라 보고 하는 것보다 스스로 생각한 내용으로 구성해보는게 좋다 하여, 별다른 유튜브 영상 안보고 시작해봤습니다.

2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