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누리
윤누리
Admin
🧙 AI 위자드
🎻 루키 파트너
🌈 지피터스금손
🚀 SNS 챌린지 달성자

'이제'는 이제 그만! 불필요한 말버릇 교정기 만들기

사람들은 왜 불필요한 말버릇을 가지게 되었을까?


저는 말을 할 때 ‘막 그러니까’, ‘이제’, ‘~ 것 같아’ 라는 표현들을 필터없이 마구마구 쓰는 편입니다. 왜 쓰는지도 모르겠고, 딱히 의미 전달에 도움도 안 되고, 오히려 매끄러운 말하기에 방해가 되는 불필요한 말버릇들. 생각보다 가지고 계신 분들 많더라고요.

ChatGPT 에게 왜 불필요한 말버릇이 생기는지 물어보았습니다.

음.. 그렇다고 합니다. 그래서 스스로 인지하지 못하고 쓰는 1) 불필요한 말버릇을 알려주고, 2) 교정하게 도와주어, 3) 보다 매끄럽게 대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 너무 재밌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타임라인을 위와 같이 잡고 가능하면 한 달 안에 아주 단순한 형태의 서비스로 구현해보기로 했습니다.


방법

1. 불필요한 말버릇 리스트업

  • chatGPT 및 각종 문헌에서 불필요한 말버릇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조사

  • N명 이상의 - 일상 대화 혹은 회의 내용을 녹음하여 불필요하지만 자주 쓰는 단어가 있는지 확인하여 리스트에 추가


2. 텍스트 추출하여 분석 방법

  1. 음성에서 텍스트 추출 (툴들)

    • Whisper

    • Vrew 등


  1. 추출된 srt 파일을 txt로 변환

  • https://www.veed.io/

  • txt나 srt 파일로 상호 변환 가능

  • 대화하는 사람이 여러 명인 경우, 대화 내용의 발화자가 누구인지 구분되어야 함


3. 해당 txt를 chatGPT에 입력

  •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어

  • 불필요하게 사용된 단어를 리스트업해달라고 함




테스트

1. 본인의 지난주 사이드프로젝트 스터디 발표를 텍스트로 추출했습니다.

  • 발표 내용 → 미드저니를 활용해서 캐릭터를 그려 당근마켓에서 판 썰

  • whisper ai 아, 어, 음 과 같은 간투어를 빼버림 → 일단 chatGPT로 넣어 분석


2. ChatGPT로 발표 내용 분석 결과

가장 많이 쓰는 단어

  1. "그림" - 27번

  2. "제가" - 26번

  3. "이" - 23번

  4. "그래서" - 14번

  5. "사진" - 13번

불필요하게 사용된 단어

  1. "그래서" - 14번: 주제 전환을 위해 사용되었지만, 과도하게 사용됨.

  2. "정말" - 5번: 강조를 위해 사용되었으나, 필요 이상으로 반복됨.

  3. "너무" - 8번: 강조나 설명을 위해 사용되었으나, 과도하게 사용됨.

  4. "이런" - 7번: 설명을 위해 사용되었지만, 다양한 표현을 사용할 수 있음.

  5. "여기" - 7번: 위치나 상황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으나, 더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할 수 있음.

화자는 주로 "그림", "제가", "이", "그래서", "사진" 등의 단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어, 이러한 단어들이 주요 주제와 관련이 깊습니다. 그러나 "그래서", "정말", "너무" 등은 과도하게 사용되어 발표의 명확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어의 사용을 적절히 조절하면 더 명확하고 전문적인 발표가 될 것 같습니다.

대체표현 추천

물론입니다. 불필요하게 사용된 단어들을 대체할 수 있는 표현을 몇 가지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1. "그래서" (14번 사용)

    • 대체 표현: "따라서", "결과적으로", "이에 따라"

    • 예시: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 "정말" (5번 사용)

    • 대체 표현: "실제로", "진심으로", "매우"

    • 예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3. "너무" (8번 사용)

    • 대체 표현: "매우", "상당히", "아주"

    • 예시: "상당히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습니다."

  4. "이런" (7번 사용)

    • 대체 표현: "해당", "특정", "같은 종류의"

    • 예시: "특정 상황에서는…"

  5. "여기" (7번 사용)

    • 대체 표현: "이 부분에서", "이 지점에서", "해당 위치에서"

    • 예시: "이 부분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이러한 대체 표현을 사용하면 발표가 더 명확하고 전문적으로 들릴 수 있습니다.


3. 간투어를 살리는 방법 고민하다가 > Vito라는 툴을 추천 받았습니다

  • 영어 , 숫자 , 간투어 테스트


  • 간투어 필터 미적용 → 불빌요한 말 버릇을 잘 살려줍니다!


  • 간투어 필터 적용



베타테스터 50명을 모아라!

지피터스, 개인 브런치, 지인을 총 동원하여 본인의 불필요한 말버릇 리포트를 받고 싶은 베타테스터 50명을 모집할 예정입니다.

  • 통화녹음, 일상대화 녹음, 발표 영상 등을 제공 받고

  • 이를 분석하여 말버릇 리포트를 제공해주고

  • 서비스 개선에 반영할 예정입니다.

  • 가능하신 분들은 추가 인터뷰도 하면 좋겠네요!


에어테이블로 베타테스터 신청 링크를 만들었습니다.


내용

'이제'는 이제 그만! 🙅‍♀️
|말 할 때 마다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이제', '막', '그', '있잖아', '그러니까' 와 같은 말버릇들. 발표나 회의, 혹은 일상 생활에서도 무의식 중으로 사용하는 말버릇 인지하고 계신가요?

스스로 인지하지 못하고 쓰는 1) 불필요한 말버릇을 알려주고, 2) 교정하게 도와주어, 3) 보다 매끄럽게 대화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저는 '불필요한 말버릇'을 교정해주기 사이드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윤누리라고 합니다. 👋 현재 아이디어 기획 > 서비스 구현 기획 단계에 있습니다.

나의 불필요한 말버릇이 궁금하신 베타테스터 분들을 모집 중에 있습니다. 일상대화나 통화 녹음, 발표 영상, 회의 녹화본 등을 제공해주시면 '말버릇 리포트'를 선물로 드릴 예정입니다.

아래 폼을 작성해주시면 2주 내로 연락 드리겠습니다. 🥰



과연 다음 주에 어디까지 기획 및 실행을 업데이트 할 수 있을지 지켜봐주세요!

그리고 이 글을 읽고 계신 당신, 혹시 무의식적으로 쓰고 있는 말버릇이 궁금하지 않으십니까? 그럼 베타테스터 신청하시죠! 👉 링크 (잘… 해드릴게요!)

8
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