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AI Deep Research 사용법 및 지피터스 사업에 관한 리서치 진행 사례

소개

OpenAI Deep Research가 성능이 어마하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습니다. 이를 활용하면 우리가 사업 아이디어를 검증할 때 잘 쓸 수 있겠다 싶어서, 이런 "Open AI Deep Research로 사업 검증하기" 스터디를 오픈했어요. 첫 사례로 제가 해 본 것을 공유드립니다.

먼저, Open AI Deep Research 사용법

소개

OpenAI Deep Research (이하 OpenAI 딥리서치)는 추론 모델이 인터넷에서 자율적으로 검색, 읽기 및 정보 분석을 수행하여 복잡한 주제에 대한 포괄적이고 출처가 명확한 보고서를 생성하는 기능

구현

  • 웹 검색, 파이썬 툴, 그리고 이런 툴을 사용하기 위해 특별히 미세 조정된 o3 모델을 사용

  • 유료 사용자 (Plus, Team, Enterprise, Edu) 월 10회, PRO 사용자 월 120회 한도

잘 하는 것

  • 20-500개의 유용한 문서를 검색해서, 이것들을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결합하는 데 있어서 매우 뛰어남

  • 새로운 주제, 새로운 스킬을 배울 때 쓰기

못 하는 것

  • 한계

    • OCR 성능은 뛰어나지 않음. 이미지로 만들어진 PDF 잘 못 읽음

    • 페이월, 로그인 등으로 막혀 있는 글, PDF들을 검색해 올 수 없음

    • 동적으로 만들어지는 웹사이트를 읽을 수 없음 (유튜브, x.com, 페이스북)

  • 이런곳에 쓰지 말기

    • (이제는 사실이 아닌) 예전의 오래된 웹사이트 정보를 가져오는 것 혹은 저품질의 웹 데이터를 가지고 와서 사용하는 것

    • 로그인 등이 필요한 곳의 PDF, 콘텐츠, 복붙을 할 수 없는 이미지로 된 PDF, 동적으로 만들어지는 표 - 등을 가져오지 못하는 것

    • 몇 번의 검색으로 발견한 수백개의 문서 정리는 잘 하지만, 수백번의 별도의 웹 검색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정보를 리서치 하는 것은 안됨

최소 사용 방법

  • o3-mini-high 모델을 사용해서 먼저 내 요구 사항을 구체화하기

    • 명확한 지시 사항

    • 명확한 목표

    • 결과물의 포맷

  • 최대한 구체적인 사항을 포함하여 Deep Research 실행

    • 이전에 했던 리서치, PDF 파일, 방법론 문서, 검색 키워드 포함하기

    • Activity 탭을 통해서 어떤 식으로 리서치 했는지 살펴보기 → 더 나은 프롬프트 발견

    • Web-search 기능을 사용한 후속 질문 하기

딥리서치 사용 사례

더 복잡한 사용 방법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검은 색 화면

<출처: https://www.threads.net/@choi.openai/post/DGo16g8yBHt/>

사업 검증 방법의 기본 이론, JTBD 알기

이번 스터디에서 핵심으로 사용할 사업 검증 방법은 JTBD 이론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아래의 JTBD 이론처럼 내 사업 아이디어에서 Job을 분석해 내고, 현재의 대안 대비 내 해결 방안이 얼마나 더 나은지 딥리서치를 통해서 조사하는 것입니다.

사업가들에게 JTBD 이론을 잘 설명해 주고 싶어. 어린 아이도 듣고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JTBD 이론을 설명해 줘.

JTBD 이론, 쉽게 이해하기

JTBD(Jobs-to-be-Done) 이론은 이렇게 생각해보세요: 사람들이 왜 물건을 사거나 서비스를 이용할까요? 그것은 그들이 해결하고 싶은 "일"이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는 Claude 가 만들어준 JTBD 요약입니다.

간단한 예시로 이해하기

  1. 밀크셰이크 이야기: 한 패스트푸드점에서 아침 시간에 많은 사람들이 밀크셰이크를 샀어요. 왜일까요? 연구해보니, 이 사람들은 출근길에 배고픔을 달래고, 한 손으로 쉽게 마실 수 있으며, 오랫동안 포만감을 주는 것이 필요했던 거예요. 밀크셰이크는 이 "일"을 위해 '고용'된 것입니다.

  2. 드릴 비유: "사람들은 6mm 드릴을 원하는 게 아니라, 6mm 구멍을 원한다"는 말이 있어요. 더 나아가면 사실 구멍조차 원하는 게 아니라, '벽에 사진을 걸고 싶은 것'이 진짜 목적이죠.

JTBD 핵심 개념

  1. 진짜 목적 찾기: 사람들이 말하는 것(더 빠른 말)이 아니라, 진짜 원하는 것(더 좋은 목적지)을 찾는 겁니다.

  2. 세 가지 차원의 '일':

    • 기능적 일: "이 문제를 해결하고 싶어요" (예: 빨리 식사하기)

    • 감정적 일: "이런 기분을 느끼고 싶어요" (예: 안심하고 싶어요)

    • 사회적 일: "다른 사람들에게 이렇게 보이고 싶어요" (예: 똑똑해 보이고 싶어요)

  3. '고용'과 '해고'의 개념: 사람들은 특정 '일'을 위해 제품이나 서비스를 '고용'하고, 더 나은 대안이 생기면 기존 것을 '해고'합니다.

어린이용 JTBD 설명

상상해 보세요. 여러분이 학교에 갈 때 가방이 필요하죠? 왜 가방을 '고용'했을까요?

  • 책과 준비물을 편하게 들고 다니기 위해서 (기능적)

  • 가방이 있으면 안심이 되니까 (감정적)

  • 멋진 가방을 메면 친구들에게 멋져 보이니까 (사회적)

만약 누군가 더 편하고, 더 안심되고, 더 멋진 방법을 만들어내면 어떻게 될까요? 여러분은 가방을 '해고'하고 새로운 방법을 '고용'할 지도 몰라요!

사업가를 위한 핵심 질문

  1. 고객이 정말로 해결하려는 '일'은 무엇인가요?

  2. 그 '일'을 위해 현재 무엇을 '고용'하고 있나요?

  3. 현재 해결책의 단점은 무엇인가요?

  4. 여러분의 제품이나 서비스가 그 '일'을 어떻게 더 잘 해결할 수 있나요?

JTBD 이론의 핵심은 제품이나 기능 자체가 아니라, 고객이 정말로 성취하고자 하는 '일'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생각하면 더 혁신적이고 고객 중심적인 해결책을 만들 수 있어요!

JTBD로 사업 분석 사례

JTBD를 활용한 사업 검증 하기

1. 내 사업 아이디어를 JTBD 관점에서 딥리서치 하기

내가 막연하게 가지고 있는 사업 아이디어를 최대한 자세하게 풀어서 전달한 뒤, 그것을 바탕으로 1차 딥리서치를 진행해서, 사업에 대한 매우 자세한 보고서를 얻는 것

# 사업 가설 연구 지침

제가 아이디어를 제공할 것입니다. 당신이 해야 할 일은 다음 6가지 차원으로 구성된 사업의 가설들을 
연구하고 제시하는 것입니다:

1. 수요: 당신이 관심 있는 세상의 큰,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 (현재 문제 또는 임박한 문제들)
2. 현재 상황: 사람들이 현재 이를 어떻게 해결하려고 시도하는지 (또는 가까운 미래에 어떻게
해결할 가능성이 있는지). 그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채택하
고 있는지?
3. 10배 개선: 10배 개선된 솔루션은 무엇일까요? 우리가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그들의 바
람은 무엇인가요?
4. 제안: 이 10배 개선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핵심 혁신은 무엇인가요?
5. 가치 확보: 이를 통해 어떤 방식으로 돈을 벌 수 있을까요? 어떤 제품들이 가능한가요?
6. 복합적 잠재력: 한번 견인력을 얻으면 이것이 대체 불가능할까요? 비즈니스+ 경쟁 장벽 가설

모든 항목에 대해 완벽하거나 완전한 답변을 얻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각 항목에 대한 확신 수준
과 가장 불확실한 부분이 무엇인지도 자유롭게 언급해 주세요.

# 제공하는 아이디어

[여기에 본인들의 아이디어 넣기]

2. Grok3 (혹은 Gemini Deep Research) 사용해서 고객 반응 조사

오픈AI의 딥리서치는 x.com, Facebook 등의 동적으로 생성된 웹사이트의 검색을 하지 못하므로, 이를 할 수 있는 Grok3 Deep Search, Gemini Deep Research를 통해서, 최신의 경쟁 제품/서비스와 고객의 실제 반응 대한 조사를 진행합니다.

# Context

[ 딥리서치로 1차 분석한 사업 내용 복붙하기 ]


# Instruction

X / 트위터만을 대상으로 포스트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수행하세요. http://x.com/ 또는 https://x.com 이외의 다른 웹사이트는 검색하지 마세요. 이 연구/분석의 목적은 다음을 철저히 이해하는 것입니다:

[ 이하 생략. 원문은 https://x.com/tedx_ai/status/1892963910401032673 ]

<원문 바로 보러 가기>

3. 딥리서치를 사용해서 더 심도있는 최종 심층 리서치를 진행

Grok3 Deep Search 혹은 Gemini Deep Research를 통해서, 더 최신의 경쟁 제품/서비스와 고객의 실제 반응을 조사하여 보고서를 얻었습니다. 이제 이 내용을 맥락으로 더 전달하면서 최종 결과 리포트를 쓰게 합니다. 이때 JTBD 방법을 다시 한번 적용해서 경쟁사 조사, 시장 규모 조사 등 사업에 필요한 모든 조사를 진행하게 합니다.

# Context

나는 아래 나와 있는 사업을 만들고 싶습니다.

[ 최초 딥리서치로 분석한 내 사업 아이디어 복붙 ]

다음은 제가 이미 수행한 일부 사전 연구입니다. 이를 활용하여 최종 분석에 영향을 주되, 반드시 귀하만의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건너뛰지 마세요.

[ Grok3로 얻은 시장, 경쟁 상황 분석 복붙 ]

# Instruction

다양한 기사, 팟캐스트 대본, 레딧, 앱스토어 리뷰, 리뷰 웹사이트 및 사용자들이 유사한 제품/서비스/기능을 자주 논의할 수 있는 인터넷의 다른 출처에서 콘텐츠를 분석해 주세요. 이 연구/분석의 목표는 다음 사항을 철저히 이해하는 것입니다:

[ 이하 생략. 원문은 https://x.com/tedx_ai/status/1892963914297561313 ]

<원문 바로 보러 가기>

4. 객관적으로 리포트 읽어보고 사업의 리스크를 파악하기

이제 생성된 리포트를 직접 읽어보면서, 어떤 사업의 리스크가 있을지 파악하고, 내가 이 리스크를 해결할 수 있을지 아니면, 이 리스크를 감수할 수 있을지 아니면 이 리스크 때문에 사업의 요소를 바꾸는 다른 길을 찾을지 결정하면 됩니다!

이 전체 내용을 포함하는 AI 토크 발표 자료

14
5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