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디어에 날개를 다는 셀프 상표등록 해보기

사례글이 될런지는 모르겠는데. 그래도 기록을 남겨두고 싶었어요 ^^

저는 요즘 여행가 J님의 STP 프롬프트를 통해 가지고 있는 아이디어를 정리해보고 있는데 정말 요술램프 입니다. 그러면서 상표출원도 직접해보기로 했어요.

사실 직접 상표출원서를 마크인포(markinfo.kr)를 통해 상표출원을 몇가지 시도적이 있었는데 그때는 너무 바빠서 대행만 하고, 대행업체와 충분한 의사소통을 하지 못해 지정상품 서비스류도 마음에 안들고 의견제출통지서도 다시 돈내기 아까워 포기했었거든요.

돈 날린 아래 같은거 2018년부터 뭐 이런게 수도 없습니다. ㅋㅋㅋㅋㅋ

마르 킨포

물론 상표출원 없이도, 뭐 그럭저럭 쿨럭 업무들을 해나갔지만, 이제는 gpters를 만나서 해보고 싶은 아이디어들이 몽글몽글 올라오니 대행업체에게조차 제가 명확하게 지시하지 못해서 보류되면 그냥 돈 날리며 포기하고 말았던 일들을 하나씩 직접해볼 마음이 생겼어요 .

✅진행 방법

일단 GPTS를 활용해서 특허 및 상표 출원 개요서를 직접 작성해보기로 습니다.

아래 프롬프트를 활용했습니다.(프롬프트의 내용은 지적자산 상표 관련해서 일단 스킵할꼐요)


https://chatgpt.com/g/g-679e97ab92148191944220305f29ed47-teugheo-culweon-eosiseuteonteu
아래 내용이 PDF나 문서로 잘 정리되어 나와요. 특허/디자인 출원 개요 문서서 작성도 GPT의 도움을 열심히 받고 있어요

  1. 상표명

  2. 상표종류

  3. 지정상품 및 서비스 범위 (제 9류, 16류, 35류, 41류, 42류까지 나오네요 )
    *요게 직접 혼자서 할때는 제가 전문가가 아니라서 어떤 류로 속해야하는지를 몰라서 그냥 마크인포에서 추천해주는 뭔지도 잘 모르고 서비스로 신청했는데, 지정상품/서비스/설명을 제시해주니까 너무 좋았어요.
    왜냐면 상품서비스 분류 카테고리를 잘 잡아 가는게 중요하거든요.

    [지정상품 및 서비스]

    국제 분류

    지정 상품/서비스 예시

    제9류

    다운로드 가능한 진단 소프트웨어, 앱

    제16류

    인쇄된 워크북, 리포트

    제35류

    컨설팅 서비스

    제41류

    교육, 서비스, 워크숍, 세미나

    제42류

    웹 기반 도구 개발,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

5. 상표의 사용 목적 및 사업 아이템 개요

6. 상표의 고유성 및 차별성

  1. 유사 상표 등록여부

✅ 다음 단계

  1. 상표등록 사전 검색:https://www.kipris.or.kr

    (유사 상표 존재 여부 확인): 확인 완료

  2. 특허청 등록절차 진행은 그래서 셀프로 직접 해보려구요. 결과까지는 아마 17 기수 스터디가 진행될때나 성공/실패 사례를 알수 있을 듯 하지만요. 우선심사까진 안할꺼라 )

✅ 결과와 배운 점

제 가장 문제점 중의 하나인 CTO &실험실 연합 특강때 개발자 F님의 명강연. 쵝오였어요

주황색 배경과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한국 앱
오렌지 배경에 한국어 텍스트

아직도 물론 지금 이미지 및 도안상표를 만들어보고 있는데 아직도 제 언어를 잘 못알아들어요. ㅎㅎ 디자인은 디자이너분을 만나 요청드리겠지만, 구체적이고 세심한 꼬리질문을 통해 작업을 해갈 계획이랍니다.

멀티학습이 가능한 스타트업 실험실 감사해요

한국에서 여성의 이미지가있는 검은 배경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검은 색 화면
2
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