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피터스를 알고, 부트캠프에서 새로운 사람들과 새로운 세계를 매일 만나며 정신 못차리고 있는 중입니다.
저는 미국 캘리포니아 살며, 생각만 하던 시니어하우징 사업을 Chat GPT를 이용해서 준비해보려 공부중인데 쉽지 않네요, 솔직히 부트캠프 들어오기전에는 gpt 몇번 써봤던 정도였어서, 숙제만 하자란 심정으로 준비했습니다.
숙제 1
마인드맵 그리기 - RCFE (시니어하우징) 중심으로 오른쪽은 하드웨어, 왼쪽은 소프트웨어에 해당하게 분류하여 마인드맵을 일일이 적어가며 만들어보았습니다. gpt와 대화하며 그리는줄은 몰랐다는 ㅎㅎㅎ
숙제 2
사례 발표자료 1차
RCFE 란?
RCFE는 Residential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의 약자로, 65세 이상 노인들을 위한 주거형 시설.
RCFE는 독립적인 생활을 유지하면서 일상생활에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주거 시설로, 주거 외에 목욕, 옷 갈아입기, 식사, 화장실, 약물 관리 등의 일상생활 도움 제공.
왜 RCFE?
노인 인구 증가와 RCFE 수요:
2022년 기준으로 캘리포니아 주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약 600만 명임. 이중 60 여만명이 RCFE와 같은 시설 거주.
베이비부머 고령화로 인해 2030년에는 이 수치가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따라서, 노인 주거시설의 수요가 증가.
RCFE 운영과 규정:
RCFE 는 라이센스를 가진 전문가에 의해 운영.
사회보장국(California Dept. of Social Service, CDSS) 규정에 따라 까다로운 관리와 감독을 받고 있으며, 규정 위반시 면허 취소의 위험 상존.
도우미의 필요성:
원활한 시설 운영 위해 규정 준수와 시설 운영 도와줄 수 있는 전문가 필요.
현재는 시설 운영, 고객 영업 등 개별 컨설팅이 존재하지만, 비싸고 통합적인 서비스 제공에는 한계.
통합적인 운영 서비스를 저렴하게 제공, 폭증하는 RCFE 신규 진입 수요를 고객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챗봇 개발 _ 1단계: 규정 Q&A
https://chat.openai.com/g/g-Cu2zphkXG-rcfe-regulations-assistant
개발 프로세스: GPT Builder 이용, 자연어로 개발
Persona: RCFE Operation Consultant
챗봇의 기능: RCFE Regulations 관련 질문에 규정에 따른 가장 적절한 답 제시
자가 학습: RCFE 규정집 URL 제공하고, 자가 학습 완료
Title 22 Division 6 / Health & Safety Code
대화 시나리오 및 플로우 설계
질문자가 질문하는 언어로 답변하도록 설정
Key Word & Narrow Down 대화 방식:
질문자가 Key word 입력하면,
챗봇이 Key word와 매칭되는 가능한 답변 카테고리를 다수 제공하고,
질문자가 찾고 싶은 답변 카테고리 선택하며, 선택된 답변 카테고리에서 narrow down 된 답변 카테고리를 2-3회 제시
질문자가 바라는 답변 카테고리가 제시된 항목에 없으면, none of the above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위 제시된 항목 이외의 항목을 다시 제시하도록
2-3회 답변 카테고리 제시 후에도 바라는 답변 카테고리가 없으면, 질문자가 답변을 구체적으로 직접 기술하도록 요청
질문자의 최종 선택 답변 카테고리에 대해 markdown 방식으로 답변
<aside> 💡 아래와 같이 최종 답변 형식를 요청했는데, 계속 코드번호와 규정원문은 못끌어 오더라구요
질문 내용 요약
질문에 대한 답변
질문과 관련된 규정
코드 번호
규정 원문
이러한 시설을 운영하면 일년에 한두번씩 정부에서 시설감독을 나옵니다.
이때 지적되었던 사항들, 어떻게 처리되었는지에 대한 리포트가 상당히 디테일하게 웹사이트에 올라와 있는데,(약 3만여건) 이 리포트들을 학습시켜, 운영자들이 맞닥드리는 문제가 있을때, 손쉽게 선례를 찾아볼 수 있다면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생각합니다. 문제는 이 리포트들을 어떻게 학습시켜야 하는지를 모르겠다는 ㅜㅜ
혹시 아시는 선생님들 계시면 좀 알려주세요 (URL에 올려져 있는 문서형식의 리포트들을 어떻게 학습시키는지), 미리 감사드립니다.
다음주 생각하고 있는 챗봇계획입니다.
챗봇 개발_ 2단계 : Key Mentoring _ Facility 중점 관리 사항 CDSS Report 러닝 ⇒ 중점 관리 항목 선정 (by 지적 사항 빈도)
챗봇 개발_3단계 : Problem Solver_Facility Management CDSS Report 러닝 ⇒ Facility에서 문제 발생시, 가장 바람직한 솔루션 제시
***** 두 개발 단계 모두 CDSS Report (십 수 만개 추정)를 어떻게 Learning 시키느냐가 관건***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