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드 속으로 모셔온 정부지원사업 심사위원분들

클로드 아티팩트로 사업 계획서 쓰기를 주제로 스터디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이디어 정리를 위해 린 캔버스 작성하고 마인드맵도 그려보고
사업 계획서를 쓰기 위해서
경영전략을 위한 SWOT 분석(강점(strength), 약점(weakness),기회(opportunity), 위기(threat)), 및 고객 페르소나 찾기를 진행 했습니다

사업 계획서 양식은 지원 사업별로 차이가 있겠지만,
평가에 필요한 최소한의 요소로 PSST (Problem, Solution, Scale up, Team)
시장 규모 추정을 위한 tam sam som 이론을 필요로 했고,
뿐만 아닌 여러 비즈니스 기법과 이론들을 (3C 분석, STP 분석, SCAMPER, 6 hat 등)
추가로 정리해야만 했습니다

위 기법들을, 구상하는 사업 아이디어 별로 전부 일일이 대입해서 결과를 얻고 있었는데,
지난주 스타트업 이모카님 발표에서 에이전트 기반 워크플로우 설정하는 사례를 보면서 힌트를 얻어 보았습니다

화면에 한국어가 나와요

우선, 팀을 이루어 피드백을 줄 심사위원 페르소나 설정을 위해 이석구님 STP GPTs를 사용
https://chatgpt.com/g/g-hOIWgZF5R-stp-analysis-assistant

한국어 페이지 이미지가 있는 한국어 페이지

그리고, 피드백을 주실 정부지원사업 심사위원분들을 custom instructions 자리로 모셔옵니다
각 페르소나는 기술, 투자, 마케팅, 법률, 컨설팅 분야의 전문가 입니다

프로젝트에 대한 사용자 정의 지침을 만드는 방법

여기에는 ->>>>>>
각 페르소나가 정부지원사업 심사 과정에서 사업자들에게 조언하는 과정이 담겨있습니다

##심사위원들이 사업자들의 아이디어를 평가하고 조언하는 방침
##심사위원들이 준수해야 할 지침
##5명의 심사위원 페르소나 예시
##심사위원들의 언어적 접근을 설명한 'Market Language Fit'
##심사위원들이 제공할 수 있는 가치

▼▼ 상세 내용 확인 ▼▼

사업계획서 instruction added.pdf
82.31KB

다음으로 가지고 있는 자료들로 Project knowledge 에 첨부할 PDF 자료들을 정리합니다
비즈니스 기법에 관한 PDF 자료를 얻기 위해 구글링 합니다.
_ (필요자료명 뒤 'PDF' 기입)
13가지 자료들을 클로드 Project knowledge 에 첨부했습니다.
- (500페이지 분량까지 첨부가능)

한국어 웹사이트 스크린샷
한국 프로젝트 지식 페이지 스크린샷


------------------------------------------------------------------------------------------
예시) 구체화 된 사업 아이디어 아닌, 러프한 아이디어로 대화시도 해 보았습니다

_ 플라스틱과 ESG 경영을 접목하여 정부지원 사업에 관한 구상을 하려고 한다
의 내용으로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와 마인드맵을 요청했습니다


*프로젝트 사용시 대화창 아래에 ' Add content ' 사용해서 추가로 내용과 파일 첨부 가능합니다.

1_ 클로드 일반챗

▼▼ 내용확인 ▼▼
https://aiarchives.org/id/loqO9y9DblyJa4soMfZO-p

한국어 텍스트가 포함된 페이지의 스크린샷


2_클로드 프로젝트 사용챗

▼▼ 내용확인 ▼▼
https://aiarchives.org/id/E5nsk7AEThpbkRV5NjoO-p

한국어 텍스트가 있는 웹사이트의 스크린샷


동일 knowledge 를 첨부하고 다양한 페르소나 팀을 여러 프로젝트로 만들어 반복되는 내용 취합하시는 방향도 일부 의견에 편향되는 일반화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

Agentic Workflow 방식으로, 1개의 프로젝트 대화 안에서
위원들의 의견을 교차 수집할 수 있겠습니다
" 김재훈 위원 보시기에 박정숙 위원 의견은 어떻습니까?"
"장민우 위원 의견에 이은지 위원 의견을 더해서 디벨롭 시켜봅시다"

또는 파일로 첨부한 이론과 기법들 중
특정 기법만 기반으로 질문을 유도해서 좀 더 상세한 답변을 받아낼 수 있다
"000 해당 문제에 관하여 six hat 기법을 이용하여 다각도로 분석할 수 있게 해줘."
"000 해당 관점에서 모든 심사위원의 의견이 필요하다"

Project knowledge 와 custom instructions 내용을 풍부하게,
그리고 구체화 된 사업 아이디어 내용을 상세히 기재할수록 피드백을 다양하게 받을 수 있고,
사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핵심가치, 가치수익 예상, 중.장기 목표 로드맵, 또는 손익분기점 도달에 대한 부분도 예측 가능하게 됩니다.


6
10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