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지식관리(PKM)을 위한 Building MOC GPT 만들기

## 소개

> 시도하고자 했던 것과 그 이유를 알려주세요.

옵시디언 스터디에 참여하면서의 목표이기도 했고 가장 어려운 걸림돌이기도 했던 부분이 "나만의 지식관리 체계(MOC)"를 잡는 것이었습니다. 요한님이 공유해준 CMDS라는 훌륭한 프레임워크가 있었지만 나에게 맞게 수정을 하는 것도 만만치는 않은 작업이었습니다.

그런데 원소스 멀티유즈 스터디에 청강 갔다가 태현님이 툭 던지신 'ChatGPT의 성능을 100% 이상 끌러올리는 법'을 듣고 한 번 적용해보면 좋겠다 싶어서 진행해보았고, 나쁘지 않은 결과물을 얻었습니다. (어제 뉴스레터에 해당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요.)

그리고 옵시디언 스터디 참여하신 분들 중 다수가 비슷한 고민을 가지고 계신 것 같아서 내친 김에 커스텀 GPT까지 만들어 보았습니다.

## 진행 방법

> 어떤 도구를 사용했고, 어떻게 활용하셨나요?

> **Tip:** 사용한 프롬프트 전문을 꼭 포함하고, 내용을 짧게 소개해 주세요.

> **Tip:** 활용 이미지나 캡처 화면을 꼭 남겨주세요.

> **Tip:** 코드 전문은 코드블록에 감싸서 작성해주세요. ( / 을 눌러 '코드 블록'을 선택)

- 모든 과정은 ChatGPT로 진행되었습니다.

#### 개인 MOC 작성

- 먼저 GPT에게 요한님의 지식관리체계인 CMDS 정보를 주고 분석을 요청했습니다.

- GPT의 좋은 말 대잔치(요한님 👍)

한국어 텍스트가 있는 검은 화면
검은색 바탕에 한글이 적혀 있다

- 그리고 저의 목적에 맞게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물어보았습니다.

한국어 텍스트가 있는 검은 화면

- 이에 기존 체계를 풀어서 줄줄이 설명을 해주었는데, 그보다 주목한 것은 결국 내가 어떤 질문에 대답해야 하는가 였습니다. GPT가 몇가지 질문을 던져주었고 이에 대해 시간을 두고 정리해보았습니다.

검정색 배경에 한국어가 적혀 있어요

- 개인적인 정보를 포함해서 관리하기 원하는 영역들을 쭈욱 정리해서 GPT에 던져주면서 "GPT의 성능을 끌어올리기 위한 마법의 주문"을 함께 시전했습니다.

```

목차 구조를 작성하기 전에 먼저 추가로 필요한 정보가 있는지 판단하고, 충분한 정보가 확보될 때까지 나에게 질문을 한 뒤, 목차 구조 작성을 진행해줘.

```

한국어 텍스트가 포함된 한국어 웹사이트 스크린샷

- 그렇게 GPT가 저에게 주는 질문의 답에 계속 위 프롬프트를 포함해서 진행했더니 총 15개의 질문을 주고 받은 후 목차가 작성되었습니다.

한국어로 된 단어가 있는 검은 화면
다양한 항목이 표시된 검은색 화면의 스크린샷

#### Building MOC GPT 만들기

최종적인 수정과 감수는 필요하겠지만 꽤 그럴 듯한 결과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다른 스터디원분들에게 참고용으로 괜찮지 않을까 싶어서 GPT로 만들어보기로 했습니다. 마찬가지로 마법의 주문 한 방울을 추가했습니다.

```

지금부터 내가 질문한 부분에 궁금한 지점이 없어질 때까지 질문해주세요.

```

검정색 배경에 한국어 텍스트 스크린샷

- 그 결과 GPT는 내용에 대한 부분뿐만이 아니라 사용자의 UX까지 고려해서 다양한 질문을 던졌고, 총 28개의 질문과 답변을 통해 GPT 지침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검은 화면에 한국어 스크린샷

- 하지만 너무 많은 질문을 주고 받아서 그런지 최초에 제 목차를 만드는 과정에서 주고 받았던 질문/답변에서 요청했던 내용들이 지침에 반영되지 않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아래와 같이 GPT 나름의 체크리스트를 가지고 요청사항을 관리했나본데 28개의 질문에서 나온 부분들만 리스팅 되어 있었습니다.

- 그래서 처음 진행해서 나왔던 목차 결과물과 그 과정에서 주고 받았던 질문을 다시 정리해서 전달했습니다.

한국의 상위 10개 게임 목록

- 그 결과, Building MOC GPT의 큰 틀은 마련되었고, UX 측면에서의 마이너한 수정과 원하는 포맷의 결과물이 출력되게 하기 위한 파인튜닝을 거쳐 GPT를 만들었습니다.

- [Building My MOC with CMDS]

  • 순차적으로 사용자 정보 입력 유도

  • 입력 포맷 예시 제공

  • 주제에 대한 변주와 확장 기능

  • 결과물 다운로드 기능

## 결과와 배운 점

> 배운 점과 나만의 꿀팁을 알려주세요.

> 실패담도 괜찮아요. 시행착오나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있나요?

> 앞으로의 계획이 있다면 들려주세요.

이 과정을 통해 얻은 나만의 목차를 조금 더 다듬어서 얼른 머릿속 생각과 지식들을 구조화하고 싶네요.

태현님의 꿀팁을 통해 내가 원하는 결과물을 얻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내가 생각하지 못했던 부분까지 끌어낼 수 있는 방법을 배웠다는 것이 가장 큰 유익이었습니다.

## 도움 받은 글 (옵션)

> 참고한 지피터스 글이나 외부 사례를 알려주세요.

[지피터스 뉴스레터]

8
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