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투자 업무를 하다 보면, 특히 바쁜 시즌이 있습니다. 1분기/2분기/3분기/4분기 기업들의 실적 발표 시즌입니다. 4분기 실적이 발표되는 1월 말~2월 중순과, 1분기 실적이 발표되는 4월 말~5월 중순은 25년의 업황을 면밀히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나 중요한 계절입니다.
최근에는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고객사를 많이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기업의 실적 뿐만 아니라 해외 기업들의 실적 내용과 컨퍼런스 콜에서 그 기업의 CEO, CTO, CFO 등이 제시하는 방향성을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내 기업 뿐만 아니라, 해외의 수 많은 기업들을 확인해야 하다 보니 컨퍼런스 콜을 라이브로 듣거나 전문을 보는게 가장 좋지만, 핵심 내용을 얻기 위해서 Chat GPT를 활용하면 어떨까 싶었습니다.
진행 방법
Chat GPT를 활용하고자 했고, 처음에는 기업 컨퍼런스 콜의 "전문_스크립트"를 가져와 요약해달라고 했습니다.
Eaton의 컨퍼런스 콜 요약 예시 (컨퍼런스 콜 스크립트 삽입 → 요약 요청)
"위 내용은 이튼의 4분기 컨퍼런스 콜 내용이야. 매출액, 영업이익, 투자, 고객사들의 수요에 대해 숫자 중심으로 잘 요약해봐"
나와
이와 같이 생각보다 준수하게 요약하는 것을 볼 수가 있었습니다.
사실 Eaton 컨퍼런스 콜 내용은 데이터 제시하는 포인트들이 많았고, 제가 생각한 요약 내용에 꼭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 향후 시장 전망, 수요 등이 잘 들어가 있었습니다.
알파벳의의 컨퍼런스 콜 요약 예시 (컨퍼런스 콜 스크립트 삽입 → 요약 요청)
그런데 알파벳의 컨콜을 요약하라고 삽입을 했더니, Eaton과 달리 엉망으로 요약하기 시작했습니다.
답답해서 뭐라고 했지만, 개선되는 면은 별로 없었습니다.
알파벳의의 컨퍼런스 콜 요약 예시 (컨퍼런스 콜 스크립트 삽입 → 요약 요청 / ChatGPT o3-mini)
그래서 같은 요약 작업을 최근에 공개된 ChatGPT o3-mini에 시켜봤습니다.
10초 간의 생각의 시간을 거쳐서 gpt4o보다 훨씬 좋은 성과를 보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요약 봇"을 충분히 지침을 통해서 만들어 볼 수 있다라는 점과, 좋은 성과를 위해서는 지침에 GPT o3-mini를 핵심으로 사용하라고 문구를 넣어야 겠다는 점이었습니다.
컨퍼런스 요약 챗봇 만들기
** 주요 지침 구성
아래와 같이 주요 지침을 길게 구성해 봤습니다.
주요 지침 구성이 길어진 것은, 여러번 요약을 시킬 때마다 랜덤성이 컸고, 제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내용이 잘 안들어갔기 때문입니다....
제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문장은
"고객사의 AI 사용량 증가: 18개월 내 클라우드 AI 컴퓨팅 사용량 8배 증가"
이 문장인데, 어쩔때는 이거를 포함하고 어쩔때는 이 문장이 어떠한 형태로도 들어가 있지 않고 해서 이런 저런 지침을 넣고 빼고 하면서 가장 원하는 형태로 만들어보고자 했습니다.
## 실적 컨퍼런스 콜 원문을 제시하면, 해당 기업의 컨퍼런스 콜을 요약하기
## 해당 분기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을 컨퍼런스 콜과 첨부된 파일을 참고해 요약할 것
## 회사가 컨퍼런스 콜에서 강조하는 핵심 키워드를 정리해서 관련 내용을 제시할 것
## 회사가 강조하는 핵심 성과와 앞으로의 비전에 대해서도 정리할 것
## 자료 내용을 정리할 때, 숫자, 관련 데이터 등을 중점으로 정리할 것
## 컨퍼런스 콜 원문과 관련 pdf 자료를 업데이트 해주면 같이 조합해서 정리해볼 것
## 컨퍼런스 콜 요약은 다음과 같은 순서를 따라볼 것 ##
"1. 회사의 이번 분기 실적 요약"
-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정리 및 이와 같은 실적을 기록한 이유 설명
- 해당 내용을 정리할 때는 전체 사업부, 개별 사업부별로 정리가 가능하면 그렇게 할 것
"2. 회사가 강조하는 핵심 성과"
- 제품, 기술, 사업부의 성과가 얼마나 증가했는지에 대한 데이터가 있는 문장이면 중요 문장이니깐 꼭 포함할 것
- 특히 무엇인가의 "수요", "공급", "고객" 에 대한 언급은 중요한 포인트임
- 얼마간의 기간 동안 무엇이 많이 증가했다는 것도 중요한 포인트니 요약할지 고려해 볼 것
"3. 회사의 앞으로의 사업적 계획 및 전망 제시"
- 실적 전망, CAPEX 등의 내용이 있으면 꼭 포함
"4. yahoo finance, investing.com, CNBC, bloomberg, 등 주요 외신에서 회사 실적에 대한 반응 요약"
## 특별한 요청이 없는 한 ChatGPT O3-Mini를 핵심 모델로 사용하여 요약을 제공할 것 ##
*최종적으로는 급할 때 요약해서 볼만한 요약으로 까지는 올라온 것 같습니다.
결과와 배운 점
결과적으로 여전히 요약을 시킬 때마다, 당연히 랜덤성이 크고, 투자자가 판단하기에 중요한 성과 지표를 요약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긴합니다. 그래도 업무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될 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
과정 중에 지침을 어 떻게 넣냐에 따라 반응이 계속해서 달라지고, 핵심으로 들어가야 하는 요약 내용을 끌어내기 위해 지침을 계속 바꿔보는 시행 착오를 겪었습니다.
앞으로는 여러 기업들의 컨퍼런스 콜 자료를 요약시켜보면서 핵심 요약 문을 어떻게 더 잘 뽑아낼 수 있을지 고민해보고자 합니다.
※ 추가 사례 - Coherent 컨퍼런스 콜 요약 사례 + 컨퍼런스 콜 스크립트 + IR 프리젠테이션 자료 같이 업로드 + 첫 요약 이후 "좀 더 다세하게 정리해봐" 할 경우.
처음 요약
"좀 더 자세하게 정리해봐" 시킬 경우
표까지 그려가면서 열심히 정리해주는 gpt 보니깐 놀랍기도 하고 감동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