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글에서 사업 아이디어와 마인드맵, SWOT 분석을 다뤘습니다.
이번에는 정부지원사업과 사업계획서 초안을 말아봤습니다.
먼저 정부지원사업은 우리 J소장님이 공유해주신 벨루가 챗봇을 이용해 찾아봤습니다.
그런데 굳이 창업한다면, 번잡스러운 서울에 있을 필요가 없겠죠?(파워I 인증)
마침 어머니가 제주도에 계셔서 따뜻한 남쪽 섬나라로 갈 수 있는 상황입니다.
추가로 제주도의 창업지원사업을 물어봤습니다.
다음으로 사업계획서를 간략히 작성해 봤습니다.
제가 지난 번에 사업 아이디어를 뽑으면서 썼던 내용에 주현영님의 미니강의를 (텍스트만) 참고해서 물어봤습니다.
# 시간관리 서비스 사업계획서
## 1. 문제 (Problem)
- 많은 사람들이 시간을 잘 관리하지 못 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2. 솔루션 (Solution)
- 시간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간편하고 직관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3. 시장 기회 (Market Opportunities)
- 시간관리 서비스 관련 시장은 계속 성장하고 있어, 적극적인 참여가 가능합니다.
## 4. 경쟁사 (Competitor)
- 기존 시간관리 서비스와의 차별성:
- 강력한 데이터 분석 기능
- 심미적이고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
- 개인 맞춤형 시간관리 기능
## 5. 추진력 검증 (Traction Validation)
- 기존 시간관리 서비스의 성과:
- 사용자 증가율
- 긍정적인 피드백 및 리뷰
- 다양한 매출 및 이용 통계
## 6. 제품 (Product)
- **시간비전(TimeVision):**
- 간편한 시간 기록 및 분석 기능
- 맞춤형 추천 및 개선 제안
- 직관적이고 아름다운 시각화 대시보드
## 7. 비즈니스 모델 (Business Model)
- 구독 기반 모델:
- 무료 체험 기간 후 유료 구독 제공
- 프리미엄 기능 및 개인화 서비스에 대한 추가 요금
- 광고 및 제휴를 통한 수익 창출
흠… 뭔가 너무 간략한 느낌이네요. 좀 모자란 항목을 조금 더 디테일하게 캐물어봅시다.
## 1. 문제 (Problem)
### 1-1. 시간 관리를 잘 하지 못한 현상에 관련된 기사
- 많은 사람들이 현대 생활에서 시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다룬 기사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뉴스 기사에서는 일상적인 업무, 스마트폰 사용, 뉴미디어 소비 등이 시간 관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다루고 있습니다.
### 1-2. 시간 관리 관련 책 현황 (Amazon 데이터 활용)
- Amazon의 시간 관리 관련 책 판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분야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명 저자들의 책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는 많은 독자들이 시간 관리에 대한 개선을 원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 1-3. 시간 관리 관련 유튜브 영상 예시
- 유튜브에서 시간 관리와 관련된 콘텐츠를 소개하는 채널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간 절약 라이프해킹"이나 "효율적인 시간 활용법"과 같은 주제로 영상을 제작하는 크리에이터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시청자들이 시간 관리에 대한 동영상 콘텐츠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 3. 시장 기회 (Market Opportunities)
### 3-1. 시간 관리 관련 서비스의 등장 및 이용 실태
- 최근에는 다양한 시간 관리 관련 서비스들이 등장하며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할일 목록 관리, 시간 추적 기능, 스케줄링 도구 등이 포함된 애플리케이션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더 효율적으로 시간을 활용하기 위한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 3-2. 시간 관리 관련 서비스 시장 현황
- 글로벌 시간 관리 관련 서비스 시장은 꾸준한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양한 기업들이 이 분야에 진출하며, 사용자들에게 차별화된 기능과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시간 관리 서비스 시장은 다양한 세그먼트로 나뉘어 세분화되고 있으며, 특히 모바일 플랫폼에서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동향은 우리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시장에 진입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주어진 서비스 중에서 여러 강점이 동시에 포함된 것은 없지만, 각 서비스가 특정 강점을 갖고 있습니다. 주어진 서비스 중에서 제가 만들 서비스와 비교하여 고려해볼 만한 후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Toggl:
시간 추적 및 기록 서비스로, 시간 기록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입력된 시간을 기록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 별로 작업한 시간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특정 인물의 데이터를 활용하는 부분은 Toggl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2. RescueTime:
사용자의 컴퓨터 및 모바일 사용 패턴을 추적하여 시간 관리를 도와주는 서비스입니다.
시간 기록 및 사용 현황을 분석하는 측면에서 유사하나, 시간을 직접 기록하는 측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특정 인물의 데이터를 활용하는 부분은 RescueTime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3. Forest:
집중 시간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앱으로, 일정 시간 동안 휴대폰 사용을 자제하며 나무를 키워나가는 게임적인 측면이 있습니다.
일정 시간 동안 집중을 유지하며 기록하는 측면에서 유사하지만, 입력된 시간을 토대로 개인의 시간 사용 현황을 분석하는 측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특정 인물의 데이터를 활용하는 부분은 Forest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추가로 뽑아낸 내용을 바탕으로 사업계획서 ver0.00001을 완성했습니다.
# 시간관리 서비스 사업계획서
## 1. 문제 (Problem)
- 많은 사람들이 현대 생활에서 시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다룬 기사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일상적인 업무, 스마트폰 사용, 뉴미디어 소비 등이 시간 관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언론 보도가 많습니다.
- Amazon의 시간 관리 관련 책 판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분야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유명 저자들의 책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는 많은 독자들이 시간 관리에 대한 개선을 원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 시간 관리와 관련된 콘텐츠를 소개하는 유튜브 채널도 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간 절약 라이프해킹"이나 "효율적인 시간 활용법"과 같은 주제로 영상을 제작하는 크리에이터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시청자들이 시간 관리에 대한 동영상 콘텐츠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 2. 솔루션 (Solution)
그래서
1) 사용자가 스마트폰이나 키보드로 손쉽게 시간을 입력할 수 있고
2) 입력한 데이터를 일(day), 주(week), 월(month), 연(year) 단위로 분석하여 효율적인 시간 활용을 도출하는
서비스를 만들고자 합니다.
## 3. 시장 기회 (Market Opportunities)
- 최근 다양한 시간 관리 관련 서비스들이 등장하며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할일 목록 관리, 시간 추적 기능, 스케줄링 도구 등이 포함된 애플리케이션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더 효율적으로 시간을 활용하기 위한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 글로벌 시간 관리 관련 서비스 시장은 꾸준한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양한 기업들이 이 분야에 진출하며, 사용자들에게 차별화된 기능과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시간 관리 서비스 시장은 다양한 세그먼트로 나뉘어 세분화되고 있으며, 특히 모바일 플랫폼에서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동향은 우리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4. 경쟁사 (Competitor)
경쟁 서비스 현황 및 우리 서비스 대비 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Toggl:
• 시간 추적 및 기록 서비스로, 시간 기록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 입력된 시간을 기록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 별로 작업한 시간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특정 인물의 데이터를 활용하는 부분은 Toggl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2) RescueTime:
• 사용자의 컴퓨터 및 모바일 사용 패턴을 추적하여 시간 관리를 도와주는 서비스입니다.
• 시간 기록 및 사용 현황을 분석하는 측면에서 유사하나, 시간을 직접 기록하는 측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특정 인물의 데이터를 활용하는 부분은 RescueTime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3) Forest:
• 집중 시간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앱으로, 일정 시간 동안 휴대폰 사용을 자제하며 나무를 키워나가는 게임적인 측면이 있습니다.
• 일정 시간 동안 집중을 유지하며 기록하는 측면에서 유사하지만, 입력된 시간을 토대로 개인의 시간 사용 현황을 분석하는 측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특정 인물의 데이터를 활용하는 부분은 Forest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 기존 시간관리 서비스와의 차별성:
- 강력한 데이터 분석 기능
- 심미적이고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
- 개인 맞춤형 시간관리 기능
## 5. 추진력 검증 (Traction Validation)
- 기존 시간관리 서비스의 성과:
- 사용자 증가율
- 긍정적인 피드백 및 리뷰
- 다양한 매출 및 이용 통계
## 6. 제품 (Product)
- **시간비전(TimeVision)**
- 간편한 시간 기록 및 분석 기능
- 맞춤형 추천 및 개선 제안
- 직관적이고 아름다운 시각화 대시보드
## 7. 비즈니스 모델 (Business Model)
- Freemium 모델:기본 서비스는 무료, 추가적인 기능 및 특별 리포트는 유료로 제공.
- 구독 서비스 모델: 일정 기간 동안의 효율적인 시간 관리 및 개선 제안을 지속적으로 받고 싶어하는 사용자를 위한 구독 서비스 도입.
- 광고 및 제휴 모델: 무료 사용자에게는 광고를 통한 수익 창출, 유료 사용자에게는 특별 혜택을 받는 제휴 서비스 도입.
부트캠프 듣기 전에 혼자 뚝딱뚝딱 만질 때는 이렇게 잘 뽑아주지 않았는데, 이번에 공부하면서 물어보니까 정말 잘 뽑아주네요. 데이터를 더 넣으면, 조금 더 그럴 듯하게 뽑아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종석님 포스팅을 참고해서 조금 더 보강해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