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시트 & 루커 스튜디오 : 상품 매출 대시보드로 데이터 시각화하기

소개

  • 현재 마케터로 협업 중인 에듀테크사의 B2B 상품 매출 데이터를 구글 시트 & 루커 스튜디오를 활용해서 시각화하는 연습을 해보았어요.

  • 중요하게 생각했던 점은 데이터를 단편적으로 시각화하는 것이 아니라 “경영자의 입장에서 어떤 데이터와 인사이트가 필요할까?” 였어요.

  • 처음 연습했던 사례글 : https://www.gpters.org/data-science/post/create-sales-analysis-dashboard-yiviNuGGfZK74p2

진행 방법

1️⃣ 활용한 툴

  • Google sheets : 매출 데이터 전처리

  • Looker studio : 대시보드 시각화

  • Chatgpt : 중간중간 조언 요청 + 데이터베이스 잡일시키기


2️⃣ 데이터 분석 목표 세우기

  • 현재 이 회사의 매출원은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판매하는 (가칭)”교육카드” 예요.

  • 교육카드가 지금까지 얼마나/어떤 패턴으로/누구에게 많이 팔렸는지 한눈에 볼 수 있는 대시보드로

  • 앞으로의 세일즈 및 포지셔닝 전략에 도움이 되는 인사이트를 얻고자 했어요.


3️⃣ 구글 시트에서 데이터베이스 정의하기

raw 매출 데이터에서 분석 목표에 맞는 데이터만 뽑아, 구글 시트에서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만들었어요. (연습용으로 재가공)

한국 및 중국 번호를 가진 스프레드 시트의 스크린 샷


4️⃣ 구글 시트-루커 스튜디오 연결하기

2가지 방법으로 구글 시트 데이터를 루커 스튜디오와 연결할 수 있어요.

  • 루커 스튜디오에서 : 빈 보고서 > Google Sheets 데이터 연결 > 만들어둔 시트 선택

  • 구글 시트에서 : 메뉴 > 확장 프로그램 > Looker Studio > 보고서 생성 (근데 제 경우엔 이렇게 하니 보고서 자동 저장이 안돼서 한 번 날렸어요...! 😭)


5️⃣ 루커 스튜디오에서 대시보드 시각화하기


1) 차트 넣기

가장 먼저 기간별 매출 추이, 거래처별 매출 순위, 카드유형별 매출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적합한 형태의 차트들을 선택해 넣어줬어요.

  • 상단 메뉴 > 차트 추가 > 원하는 형태의 차트를 선택

  • 측정기준 선택 > 연필 모양을 누르면 이름/데이터 유형 등을 수정할 수 있어요.

  • 측정항목 선택 > 콤보차트의 경우 측정항목을 여러 개 선택할 수 있어요.

  • 스타일 > 차트 제목, 선/막대 선택, 축 위치, 참조선 넣기 등의 디테일한 설정을 할 수 있어요.

컴퓨터 화면에 그래프가 표시됩니다

2) 스코어 카드 넣기

KPI, 목표대비 달성도 등을 보여줄 수 있는 스코어 카드를 상단에 넣어줬어요.

  • 상단 메뉴 > 차트 추가 > 원하는 형태의 스코어 카드 선택

  • 스타일 > 축약 번호(숫자 간단하게 보여줌), 비교 라벨 표시 여부 등을 설정할 수 있어요.

Google Analytics Dashboard의 스크린 샷

3) 컨트롤 넣기

보고서를 원하는 조건값으로만 소팅해서 볼 수 있는 컨트롤들도 넣을 수 있어요.

  • 상단 메뉴 > 컨트롤 추가 > 원하는 형태의 컨트롤 선택

  • 기간 컨트롤 : 대시보드 전체에 일괄 적용되는 기간을 설정할 수 있어요.

  • 드롭다운 목록 : 저는 거래처/카드 유형 2가지를 컨트롤 필드로 넣었어요.

한국의 Google 검색 페이지의 스크린 샷

4) 필드 추가하기

기존에 연결한 구글 시트 데이터베이스에 없는 필드를 루커 자체에서 추가할 수도 있어요.

  • 데이터 > 필드 추가 > 계산된 필드 추가 > 필드 이름 넣고 > 수식에 함수 추가 > 저장 > 완료

  • 함수 모르겠으면 gpt 찬스 쓰기!

    한국 텍스트 편집기의 스크린 샷


결과와 배운 점

이런 식으로 차트, 스코어 카드, 컨트롤을 조합해서 만든 전체 대시보드는 요런 모습입니다.

분홍색 배경과 그래프가있는 대시 보드

루커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의 좋은 점 👍

  • 구글에서 제공하는 무료 솔루션이라 구글 시트와의 연동이 매끄러움

  • 보고서 내 모든 차트가 반응형 (ex. 컨트롤에서 기간을 ‘올해’로 설정하면 해당 기간 데이터로 모두 바뀜)

  • 연결한 데이터베이스 수정 없이 루커 자체에서 필드 추가 등의 기능을 제공함

  • 대시보드 테마 및 레이아웃을 자유롭게 설정 가능


무엇보다도 데이터 분석의 목표를 얼마나 구체적으로 잡느냐에 따라 루커를 활용한 시각화 결과물도 아주 많이 달라진다는 것을 체감했어요.

아직 손을 못댄 기능들도 많겠지만 지금까지 익힌 기능으로 실무에 더 잘 적용해보고 싶어요. 매출 데이터 외에도 웹 유입 데이터, 광고 성과 분석 등에도 차차 활용해 보려고 해요!

도움 받은 글

지난 사례글 댓글에 스터디장님께서 추천해주신 영상!!! 거의 그대로 따라했어요 ㅎㅎ 😉https://www.youtube.com/watch?v=UcosBuIWaCo

5
5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