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잔치
꽃잔치
📹 SNS 찐친
📚 연구 찐친

[17기 발표전달력] AI 슬라이드 3종(젠스파크, 스카이워크 슬라이드, 제미나이) 비교로 완성한 공연 소개 (공연 홍보 아님)

AI 슬라이드 3종 비교로 완성한 공연 홍보

소개

시도한 배경과 이유

  • 17기 구요한&이태극 발표전달력 스터디 1주차 사례발표 과제 🎤

  • 전통 연희 명인 이봉교 선생의 단독 기획공연 〈살판 – 하늘과 땅을 잇는 몸짓〉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고 공연의 의의·특별함 전달

  • AI 슬라이드 제작 툴 젠스파크, 스카이워크 슬라이드, 제미나이 캔버스를 비교하여 발표 자료 제작 최적 워크플로우 탐색


진행 방법

1. 자료 준비

2. ChatGPT 프롬프트 설계 & 실험

  • o3 모델과 4o 모델의 프롬프트력을 비교 후 o3 선택

  • 실제 사용 프롬프트 (아래 그대로 복붙 ⬇️)

<➡️ 목적  
• 17기 구요한&이태극 발표전달력 스터디 1주차 사례발표용  
• 전통 연희 ‘살판’ 단독기획공연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고, 왜 중요한지·왜 특별한지 전달  
• 좌석 예매 링크(https://forms.gle/GEdWJeCzakg9R9976)는 정보 제공만, 직접 관람 권유 문구는 넣지 않음  
• 내가 지피터스(GPters)에서 배운 디지털 제작·지식관리 사례(리틀리·슬래시페이지·마크다운·ChatGPT 이미지 프롬프트 등)를 자연스럽게 언급

➡️ 핵심 메시지 (슬라이드별로 자동 분배)  
1. **타이틀** 	– 살판, 하늘과 땅을 잇는 몸짓  
2. **Intro**  	– ‘잘하면 살판, 못하면 죽을판’ : 땅재주 예술의 정신  
3. **Master**	– 국가무형유산 남사당놀이 唯一 살판 이수자 ‘이봉교’ 50년 여정  
4. **Why Now**	– 이 시대 마지막 땅재주 vs. 젊은 예술가들과의 첫 단독 콜라보  
5. **Collaboration** – 힙합·소리꾼·파이프오르간까지, 전통×현대 융합 구조  
6. **Impact**	– 164석·100분·14일 남음 / 남사당놀이 재생·세대연결·창의융합  
7. **Digital Strategy** – GPters 도구 적용 사례:  
   - Litt.ly 상세페이지 제작(https://litt.ly/bbong_salpan)  
   - Slash Page / Markdown 기반 정보 설계  
   - ChatGPT & Pixel-Art 이미지 생성·재가공  
   - 지식관리 & 홍보자동화 실험  
8. **Seat Info**	– 날짜·장소·좌석 예매 QR & 링크(텍스트 표기만)  
9. **Closing**	– “살판은 기술이 아니라 삶의 태도” – 초대의 글 핵심 문장 인용  
10. **Q&A / Discussion Prompt** – 전통예술 현대화에 필요한 다음 액션?  

➡️ 시각 자료(슬라이드에서 사용할 이미지 파일)  
• ① 인생은 살판.png – 오프닝/엔딩용 모듈식 4컷  
• ② 좌석 예약_최종.png – 8️⃣ Seat Info 슬라이드 배경  
• ③ 이봉교_마인크래프트.png – Master 슬라이드 인물 사진  
• ④ 2.png – Impact 또는 Collaboration 강조 배경  
• ⑤ 프로그램북_최종.png – 타이틀 또는 Why Now 배경  
• ⑥ 초대의 글.jpg – Closing 슬라이드에 일부 문장 캡처 삽입  
(필요에 따라 플랫폼 이미지 업로더에 순서대로 첨부)

➡️ 톤 & 스타일  
• 8-bit / Pixel-Art 무드 유지, Warm 색조(오렌지·살구·네이비 포인트)  
• 짧고 힘있는 헤드라인 + 2–3줄 서브텍스트  
• 아이콘·모션 최소화 → 발표자의 스피치 여백 확보

➡️ 설정 Tip  
• 슬라이드 가로 16:9, 글꼴은 한글 본문 Noto Sans / 영문 Pixel 폰트 제안  
• 차트 필요 없으며, 이미지가 본문 세 줄을 넘지 않게 자동 조정  
• 첫 슬라이드에 애니메이션(인물 점프) 1회만 사용, 나머지는 정적
>

3. AI 슬라이드 3종 제작 & 비교

기준

젠스파크

스카이워크 슬라이드

제미나이 캔버스

제작 과정

기존 이미지 자동 삽입은 OK, 중간 슬라이드에 이미지 누락·깨짐 발생 🤯

자료 서칭·이미지 삽입을 AI가 충실히 수행 ✅

Pixel‑Art 콘셉트 유지, 전체적으로 심플

사용성

구독 중이라 편하지만 크레딧 소모 빠름 😢

디자인·정확도·성실도 모두 합격 🎯

PDF 내보내기 미지원, 다운로드 불편

소요 시간

★★★★☆ (약 5분)

★★★★☆ (약 12분)

★★★☆☆ (약 10분)

완성도

깨짐 이슈로 최종 점수 하락

완승 👑

무난하지만 디테일 부족

비고

사용자 설정 이해도 필요

학생/프로모션 요금이 있다면 즉시 구독 희망

공유 링크: https://g.co/gemini/share/5d85b1cb8a5c

한줄 요약
“스카이워크 = 품질, 젠스파크 = 속도, 제미나이 = 콘셉트 충실”


결과와 배운 점

  • 프롬프트 → 슬라이드 전환률: 잘 설계된 텍스트 프로토타입이 수정 시간을 60% 감소시켰다.

  • 디자인보다 메시지 흐름이 먼저: AI가 레이아웃을 잡으면, 발표자는 “왜 중요하지?”에 집중할 수 있다.

  • GPters 도구 시너지

    • Litt.ly 트래킹 링크로 클릭률 실시간 확인

    • Slashpage·Markdown으로 자료 버전 관리 → 어떤 툴로 변환해도 깨지지 않음

    • ChatGPT·DALL·E 활용 Pixel‑Art 리마스터: 전통공연 특유 ‘옛맛+뉴트로’ 강조 💫

  • 다음 액션

    • 관객 피드백 후 슬라이드 A/B 테스트 반복

    • ‘살판’ 테마 AI 슬라이드 템플릿 배포 → 전통예술 기획자 커뮤니티 환류


도움 받은 글


“살판은 기술이 아니라 삶의 태도” – 초대의 글 중에서 ✨


*이 글은 GPters 17기 발표전달력 스터디 사례 공유용입니다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