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AI로 영상은 만들었는데 영상만으로는 심심하더군요. bgm을 넣으니 낫긴 하지만 역동적인 화면에 bgm만 있으니 이것도 심심하더군요. 그래서 효과음을 넣기로 했습니다.
(내용 입력)
진행 방법
AI는 영상 분석을 하지 못한다? 라고 알고 있는 분들도 많을텐데요. 사실 가능합니다.
https://aistudio.google.com/prompts/new_chat
구글 AI 스튜디오 인데요 어기서는 영상을 넣어 분석시키거나 피드백을 받을 수 있죠. 그래서 저는 제 위의 영상을 넣고 분석을 시켰습니다.
정말 별 말 안하고 알아서 분석하라고만 했죠. 그러나 답변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렇게 20초 까지 다 분석을 해줍니다. 내가 뭐라고 표현해야할지 모르는 하나하나 장면을 그냥 매우 쉽게 표현해주죠.
그 후에 효과음 넣을 것을 분석해달라고 합니다. 스피치 투 텍스트라서 프롬프트가 횡설수설하고 괜히 길어졌지만,
자기가 적당히 알아 듣고 분석을 해 줍니다. 매우 구체적으로 표현해주죠. 각 장면에 뭐가 필요한지 매우 상세히 해줍니다. 너무 구체적으로 너무 많은 효과음을 넣으라고 하기에, 이후에
"딱 필요한것만 골라서 최소로 넣어줘." 같은 요청을 할까 했지만 우선 그대로 해봤습니다.
이제 '일레븐랩스'의 ''효과음 생성' 파트로 넘어갑니다. '일래븐랩스'는 목소리 더빙 뿐 아니라 효과음 생성 등 다양한 기능이 있습니다
그리고 일래븐랩스 화면을 한쪽에 둡니다. 그 옆에 구글 스튜디오에서 아까 분석한 프롬프트를 넣습니다. 소리를 듣고 영상을 보며 알맞는 소리를 찾고 다운 후 넣고 반복합니다. 그 과정중에 오디오 전환 효과나 볼륨 조절, 속도조절 , 소리가 작아졌다 크게 하고 그런 자연스러운 부분을 찾아가며 편집을 진행합니다
영상에 알맞게 원하는 편집을 하면 완성입니다. 편집된 영상은 아래 올리겠습니다 .
일래븐랩스와 영상 특성상 편집이 필요하지만 내가 원하는 효과음이 생각이 안나거나 프롬프트가 생각이 안난다면 써보기 좋습니다.
하지만 일래븐랩스에서 이 방법을 하니 크레딧이 너무 달더군요. 다음에는 캡컷을 사용해 해보려 합니다.
SNS 채널
https://www.threads.net/@lumios.x
https://www.instagram.com/lumios.x/
<정리>
AI로 영상 분석부터 효과음 제작·편집까지 한 번에!
안녕하세요. 최근에 짧은 영상을 만들면서 “영상만으론 뭔가 심심한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 하고 고민했는데요. 단순 BGM만 깔아두니 역시 부족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생각해낸 방법이 AI를 활용해 영상 분석을 하고, 상황에 맞는 효과음을 추가하는 것이었습니다. 아래는 제가 실제로 진행한 방식과 팁을 간단히 정리해본 글입니다.
1. AI를 이용한 영상 분석
우선 Google AI Studio를 사용해 영상 파일을 업로드했습니다. “분석해 줘” 정도의 간단한 지시만 해도, AI가 장면별로 카메라 움직임·텍스트·배경 변화를 세세히 짚어주더군요.
주요 특징: 카메라 줌 인/줌 아웃, 텍스트 효과 변화, 스포트라이트 등장 등
활용 포인트: 직접 장면 하나하나를 설명하기 어려울 때, AI가 정확히 뽑아준 분석 결과를 참조해 편집 방향을 쉽게 잡을 수 있음
2. 효과음 구상 & 최소화 전략
AI 분석 결과, 장면마다 “이 부분에 바람 소리, 여기엔 엔진 사운드” 등 꽤나 세세한 효과음 리스트가 나왔습니다. 처음엔 너무 많아 “이걸 다 넣어야 하나?” 싶었지만, 일단은 제안대로 만들어보았습니다.
팁: 너무 과도한 효과음은 오히려 정신없을 수 있으니, 필요한 것만 골라서 최소한으로 삽입하는 걸 권장합니다.
3. ElevenLabs로 효과음 제작
다음 단계는 ElevenLabs의 효과음 생성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었습니다.
기능 소개: 보통 TTS(음성 합성) 툴로 유명하지만, 다양한 사운드 효과도 생성 가능
예시: “엔진 사운드를 점점 커지게”라든지 “시계 톱니바퀴 소리를 역방향으로” 등 프롬프트를 입력해 원하는 스타일의 효과음을 뽑아낼 수 있음
주의점: 생성할 때마다 크레딧이 소모되므로, 대량 작업 시에는 다른 방법(CapCut 등)도 고려 필요
4. 편집 툴에서의 최종 완성
마지막으로, 프리미어나 다른 편집 프로그램에 영상을 불러와서 AI가 만들어준 효과음을 볼륨 조절·속 도 조절 등을 통해 장면에 자연스럽게 녹여 넣었습니다.
참고: 오디오 전환 효과를 적절히 사용하면 장면 전환 시 이질감이 줄어듦
작업 과정:
분석 결과로 필요한 효과음 선택
볼륨·배치·타이밍 조정
최종 미세 조정 후 렌더링
마무리
이렇게 AI로 영상 분석 → 효과음 생성 → 편집 툴 적용까지 한 흐름으로 작업하니, 저처럼 “어떤 효과음을 넣어야 할지 잘 모르겠다”는 초보자분들도 쉽게 시도해볼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장점: 시간 절약, 창의적인 사운드 아이디어 확보
단점: 일부 툴은 크레딧(유료 사용량) 빠르게 소진
영상 편집에 적당한 효과음을 찾거나 삽입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신다면, Google AI Studio와 ElevenLabs 같은 AI 서비스를 함께 활용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