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를 활용한 디지털 아트테라피의 가능성 확인과 STP 분석"

배경 및 목적

  1. ‎​배경
    필리핀 가족관계치유협회에서 가족의 회복과 개인의 자존감, 정서적 어려움을 치유 활동을 하면서 접하게 된 도구들이 미술, 음악, 독서와 쓰기를 활용한 상담과 치유였습니다. 코로나의 팬데믹 상황에서도 줌을 통해서 그러한 사역을 이어갔습니다.
    줌을 통해서 여러 분야의 상담 및 치유 전문가들을 초대해 세미나를 가지면서 적절한 AI와 디지털 도구들을 잘 활용하면, 온라인상에서도 좋은 결과를 가져 올 수 있고, 오프라인에서의 시간과 공간적 제한, 상상력 발현의 한계를 넘을 수 있겠다는 가능성을 보게 되었습니다.

  2. 목적
    a. AI와 디지털 도구들을 활용해서 자신의 자존감 회복과 정서적 치유를 돕는다.
    b. AI와 디지털 도구들을 활용해서 가족 및 대인관계에서의 관계회복을 돕는다.

  3. 사업계획서 초안을 만들면서 얻고자 하는 것
    a. 기본적인 아이디어 정리
    b. 디지털 아트 테라피의 가능성과 장애물 분석
    c. SWOT에서의 SO(강점과 기회) 전략수립
    d. STP 분석을 통해서 정확한 타켓팅과 포지션 전략 수립

참고 자료

활용 툴

  1. ‎​ChatGPT
    STP Analysis Assistant
    (https://chatgpt.com/g/g-hOIWgZF5R-stp-analysis-assistant)
    스타트업 컨설턴트(https://chatgpt.com/g/g-QoNBXa0L5-seutateueob-keonseolteonteu)
    Idea Generator-BRANISTORMER v2(https://chatgpt.com/g/g-giwg7w8Hv-idea-generator-brainstormer-v2/c/d237b46d-736a-4af3-9443-828b93b1ed01)
    SWOT Bot(https://chatgpt.com/g/g-ceOYtI7M6-swot-bot/c/38828194-f5e5-4926-8bd4-e4d2f9c0f119) - SWOT에 대한 봇이 많아 검색되었는데, 이것이 단순해 보여서

  2. CLAUDE

  3. Mapify: 마인드맵 서비스(https://mapify.so/ko/app/new)

실행 과정

‎​‎1) 아이디어 정리(Idea Geenerator, CLAUDE)
2) 사업 가능성 점검 및 SWOT 분석(스타트업 컨설턴트, SWOT Bot)
3) SPT Analysis(SPT Analysit Assistant, Cloude)
3-1. 타켓팅
3-2. 포지셔닝맵
3-3. 포지셔닝 전략
3-4. 브렌딩 작업
4) 마인드맵 작업

1. 아이디어 정리 단계
활용 툴들을 이해하고 나 자신의 생각을 정리를 하기 위해서, 먼저 각각의 AI툴에게 설명과 잘 사용하기 위한 질문들을 물어 보고, Idea Generator을 통해서 기본적인 생각을 정리했습니다.(중간에 사용 한도 초과로 한 참을 기다렸네요.ㅠㅠ,)

아무 말 대잔치입니다. 생각나는 것들을 이것 저것 물어 봤습니다.

이렇게 어느 정도 생각을 정리하고 무엇을 할지를 정했습니다. 이런 1단계 작업에서 무엇을 해야 할지, 그리고 작업의 범위를 좁히고 구체화했습니다. 디지털 아트 테라피의 가능성 확인, SWOT 분석을 통한 SO 전략 수립, 마지막으로 STP 분석을 통해서 타켓팅과 그에 따른 기초적인 포지션 전략 수립 정도로 오늘 해야 할 목표를 정했습니다.

2. 디지털 아트테라피의 가능성 확인과 SO(강점과 기회) 전략 수립
'디지털 아트 테라피'을 '스타트업 컨설턴트'와 'SWOT Bot'을 활용하여 앞으로의 전망과 예상되는 어려움을 살펴보고, 내가 가지고 있는 장단점과 현재의 상황에 대해 SWOT 분석을 이용해서 객관화하고 이것을 토대로 SO 전략을 세워 봤습니다.

1) 스타트업 컨설턴트는 전망 가능성에 대해서
- 심리치료 및 정신 건강 분야의 성장
- AI 기술의 발전
- 교육 및 인증 시장의 가능성
- 디지털 아트의 접근성
- 사회적 임팩트
2) 장애와 한계에 대해서
- 윤리적 및 법적 문제
- 기술적 도전
- 효과성 입증의 어려움
- 대상자와 치쇼사의 신뢰 문제
- 시장 진입 장벽 및 경쟁
- 사업 운영상의 어려움
3) 개인적인 생각
- 가능성에 대한 시장조사의 필요성과 검증
- 장애물의 극복 방안 탐색
- 차별화 방안 모색
- SWOT분석을 통한 객관화 작업

SWOT Bot에서 나와 현재 내가 처하고 있는 상황을 입력하고 시각적으로 보여 달라고 요구했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토대로 SO 전략 수립을 제안하도록 했습니다.

3. 분명한 타켓팅하기(세그멘테이션, User Journey Map 만들기)
1, 2단계에서 기본적인 생각을 정리하고, 만족스럽지는 못하지만, 어느 정도의 가능성을 살펴 봤습니다. 여기서부터는 1주차에서 배운 부분을 활용했습니다.(보내주신 영상을 복습하면서요. 그런데, ChatGPT 사용한도가 또 뜨네요. ChatGPT 나뻐ㅠㅠ)


GPTs에서 작업을 하던 클로드에서의 작업을 변경했습니다. 'STP Analysis Assistant'에서 받은 결과 내용을 참고하고, 스터디장님의 영상을 보면서 클로드를 활용했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SPT 분석이 주 목적이라서 그것에 맞게 질문을 수정해 가면서 결과물을 산출해 봤습니다.


우선, 2단계에서의 SO전략을 수정 보완한 내용을 고려해서, 그에 따른 주된 1차 대상의 페르소나를 만들어 봤습니다.


그리고 그 페르소나의 가치와 니즈, 그리고 행동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이미지화 시켜 봤습니다.


클로드에서 얻은 내용과 GPTs에서 얻은 내용 종합해서 페르소나를 완성했습니다. 우선, 이 페르소나에 대한 정리 구글문서에 정리했습니다. 또 타켓팅 페르소나에 대해서 보다 분명히 이해하기 위해서 페르소나 김현숙의 마인드 맵을 만들었습니다.

페르소나 김현숙 그룹이 가지는 가치와 필요, 그리고 어려움을 일반화 시켜보고 그들의 행동패턴도 살펴 봤습니다.

이렇게 정리된 페르소나를 가지고 'STP Analysis Assistant'과 'Claude'에서 'User Journey Map'을 내용을 만들고 이것을 시각적으로 보고 싶어서 구글링을 했습니다. 마땅한 AI가 못 찾겠더라고요. 그래서 'STP Analysis Assistant'에 요구하니깐, 잘 만들어 주더라고요.(다만, 정리 이전의 페르소나에 대한 User Journey Map이고, 이 생성이후로는 사용초과로 내일 다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없다고 하네요. 결제하라고 요구하네요. 그래도 꿋꿋하게 버팁니다. 나는 시간부자^^) 그리고 드디어 하루 지난 오늘 수정했습니다.

잘만 만들며 시각적으로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그러나 아직은 전체적인 내용이 들어오지는 않네요. 이런 것을 만들어 주는 GPTs 봇을 만들어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3-2. 포지셔닝 맵 만들기
이렇게 'STP Analysis Assistant'의 도움을 받아서 세그멘테이션과 타켓팅을 분명히 한 후에는 포지셔닝을 할 차례입니다.
먼저 포지션맵을 그려 달라고 했습니다.

데이터 값을 수정하고 x, y축 이외에 z축을 만들어서 3차원적으로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STP에서 구현한 이미지 결과물은 마음에 들지 않았습니다. 데이터 결과물을 ChatGPT에 넣어서 프롬프트 코드를 생성하고, 이것을 DALL-E, FLUX.1, Image에서 이미지를 만들어 봤습니다.


텍스트가 들어가는 부분은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많았습니다. 그나마 Image에서 생성된 것이 좋네요.

'STP Analysis Assistant'에서 포지셔닝 맵에 대한 해석은

김현숙 페르소나의 최적의 프로그램으로 디지털 아트 테라피가 나왔습니다. 이를 교차검증하기 위해서 포지셔닝 맵에 김현숙 페르소나를 넣어 봤습니다.

3-3. 포지셔닝 전략 수립 단계
지금까지의 작업을 토대로 페르소나 김현숙을 일반화한 타켓 그룹으로보고 포지셔닝 전략을 'STP Analysis Assistant'에게 요청했습니다.

3-4 . 브렌딩 작업1(Market Language Fit, Value Promise, Landing Page 문구)
GPTs에서 작업한 내용을 클로드에서 입력해서 Market Language Fit, Value Promise, Landing Page 문구의 내용을 만들었습니다.(오늘은 시간이 없어서, 다른 시도는 못하고 구글문서에 이 내용을 정리하면서 주된 페르소나 타켓팅에 따른 복붙하면서 정리했네요.)

4. 마인드 맵 만들기 단계
구글문서로 정리한 이유는 이것의 공유링크를 'Mapify'에 넣어서 마인드 맵을 생성하려는 계획이었습니다.(그러나 구글링크를 인식을 못하네요.)
다시 PDF 파일로 다운받고 이를 업로드해서 마인드맵을 생성했습니다. 크래딧을 많이 사용해서 지인들에게 추천하고 충전했습니다.

시간이 되면 Landing Page까지 다시 정리하고 너무 복잡한 마인드 맵을 단순화 시켜봐야 겠습니다.

결과 및 인사이트

  1. 머리 속에 두고 있었던 생각을 구체적인 아이디어 발전시켰습니다.

  2. 스터디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다양한 시도를 하면서 GPTs와 클로드의 생성 내용을 비교해 볼 수 있었습니다.

  3. 아이디어를 객관화하고 정확한 타켓 층을 만들어 볼 수 있었습니다.

  4. 어떻게 소비자에게 접근해야 하는지도 살펴 볼 수 있었습니다.

  5. 복수의 생성형 AI에서 산출된 결과값을 교차 비교하고 더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6. 브렌딩에 필요한 기본적인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습니다.

  7. 이것이 있었으면, 하는 생각이 든다면 찾아보면 대개가 있고, 없으면 만들어봐야 겠죠.

    ** 무엇보다는 판단과 결정은 인간의 몫이고, 결국 내가 주체가 되어서 AI를 통해서 얻은 자료를 살펴보고 내 것으로 만들어야 함을 보게 되었습니다.

5
3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