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시도하고자 했던 것과 그 이유를 알려주세요.
무인 프렌차이즈 업계에서 일하고 있는데 관련된 단톡방이 엄청 많습니다.
1500명 가득차있는 톡방이 10개 가까이 있는데 여기에 나온 글들을 다 읽을수도 없는데
읽다보면 사업에 인사이트가 될 수 있는 부분들이 많이 있어서
놓치기도 애매한 상황입니다.
특히 여기 단톡방에서 요즘 유행하는 상품들에 대한 내용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관련된 정보들을 취합해서 사업에 활용하면 아주 좋을 것 같습니다.
진행 방법
어떤 도구를 사용했고, 어떻게 활용하셨나요?
메이크 한번도 못써봤고 이번주에 해당 내용들을 적용해보려고 합니다 ㅋㅋ
챗 gpt에 이렇게 물어봤고
"카카오톡에서 대화를 다운받아서 구글 드라이브에 넣고 해당 내용을 make 에서 받아와서 내용을 요약하고 노션에 업로드 하고싶어. 워크플로우 짜줘"
AI 게시글 작성해달라고 한 결과가 아래와 같 습니다
↓↓↓↓
소개
시도하고자 했던 것: 카카오톡 대화 내용을 요약하고, 이를 노션에 자동으로 업로드하는 워크플로우를 만들고자 했습니다. 반복적인 작업을 줄이고 중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이 과정을 자동화하려 했습니다.
목표: 대화 요약과 저장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시간 절약과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것.
진행 방법
1단계: 카카오톡 대화 저장
카카오톡 대화 내보내기:
카카오톡 앱에서 대화창 오른쪽 상단 메뉴 클릭 → "더보기" → "대화 내보내기" 선택.
이메일이나 메신저로 전송 후 로컬 디바이스에 저장.
구글 드라이브에 업로드:
구글 드라이브 앱 또는 웹에서 해당 대화 파일을 업로드.
Make에서 해당 드라이브 폴더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지정 폴더"로 저장.
2단계: Make에서 파일 처리 및 요약
Make에서 시나리오 생성:
트리거: Google Drive → "Watch Files in Folder" 설정.
특정 폴더에 새 파일 업로드 시 감지.
액션 1: Google Drive → "Download a File"
업로드된 파일 다운로드.
대화 요약 프로세스:
텍스트 변환: 파일 내용을 텍스트로 변환.
요약 생성:
GPT API 활용하여 대화 내용을 요약.
사용한 프롬프트:
Please summarize the following conversation into key points. Output should include: - Major topics discussed - Any key decisions or action items
3단계: 노션에 요약 내용 업로드
Make 액션 추가:
Notion 액션: "Create a Page"
요약한 내용을 노션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
노션 페이지 구성:
대화 주제, 요약 내용, 대화 날짜 등의 메타데이터 포함.
결과와 배운 점
성과:
카카오톡 대화를 요약하여 노션에 자동 업로드하는 프로세스를 완성했습니다.
반복 작업을 제거하고 중요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었습니다.
배운 점:
대화 파일의 인코딩 형식(UTF-8)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GPT API 사용 시 요약의 품질과 비용 간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필요했습니다.
나만의 꿀팁:
Make의 Google Drive 모듈과 Notion 모듈을 잘 활용하면 다양한 작업을 쉽게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도움 받은 글 (선택)
Make 공식 문서
GPT API 활용 가이드
카카오톡 대화 내보내기 도움말
[이미지 플레이스홀더]
구글 드라이브 폴더 설정 화면 캡처
Make 시나리오 구성 화면 캡처
노션에 업로드된 요약 내용 스크린샷
50% 정도 이해가 되는데 이걸 실제로 구현을 해봐야겠습니다!
카톡 대화 엑셀로 받는게 귀찮을것 같은데 일단 한번 해보져 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