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ke로 숏츠 자동화: 유튜브 입문기

  • 시도하고자 했던 것: Make를 활용해 유튜브 숏츠 제작 과정을 자동화하려는 시도를 했습니다. 이를 통해 유튜브에 쉽게 입문하고, 간단한 자동화를 통해 꾸준히 영상을 업로드하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했습니다.


진행 방법

  • 도구 및 학습 과정(오프모임): 오프라인 스터디를 통해 Make의 블루프린트를 받아 학습했습니다. 특히 오프라인에서 직접 배우며 몰입감을 느꼈고, 3시간이 30분처럼 느껴질 만큼 흥미로운 경험이었습니다.

  • 제공된 작성내용 챗gpt로 분석하기

    한국어로 된 문자 메시지의 스크린샷
  • 블루프린트 내용 수정: 제공된 블루프린트는 시니어를 대상으로 한 퀴즈 숏츠 제작이었으나, 이를 제 콘텐츠인 초등 수학 퀴즈로 변경했습니다. 변경 과정에서 챗GPT의 도움을 받아 다음과 같은 수정을 진행했습니다:

  • 텍스트가 있는 페이지의 스크린샷
    흰색 배경에 한국어 텍스트
    '세부 사항'이라는 단어가 적힌 종이 한 장
    • 질문: 초등수학 개념과 관련된 내용으로 변경.

    • 음악: Suno에서 생성한 음악으로 교체.

    • 이미지: 수학 관련 심플한 이미지를 추가.

  • 문제점: 수정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습니다:

    1. Suno에서 생성된 음악이 원하는 6초짜리가 아닌 2분 이상으로 제작되어 추가 편집이 필요했음.

    2. 수식을 읽는 과정에서 AI가 잘못 읽는 경우가 발생.

    3. 퀴즈를 단원별로 내도 이상하게 88+8 , 88/8, 88+0 등 8과 관련된 문제만 계속 출제하고 있음.

      중국어 키보드의 스크린샷
      한국어가 포함된 YouTube 앱 스크린샷

결과와 배운 점

  • 결과물과 현재 상태: 현재 업로드한 숏츠는 조회수 0~1로 시작 단계에 있습니다. 아직 반응은 적지만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개선하며 반응을 지켜볼 계획입니다.

  • 배운 점:

    1. 챗GPT를 활용하여 내게 필요한 컨텐츠로 변경하는 과정을 경험하는 것이 유의미했습니다.

    2. Make의 블루프린트를 분석하며 맞춤형 콘텐츠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많은 학습이 이루어졌습니다.

  • 개선 및 향후 계획:

    1. Suno에서 음악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추가로 연구.

    2. 수식 오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 모델을 보완하거나, 별도의 검증 단계를 도입.

    3. 퀴즈의 퀄리티를 높이고, 질문의 깊이를 강화할 수 있는 프롬프트 실험 진행.

5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