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기 상세페이지] 교육/강의 분야 벤치마킹

제품 상세 페이지를 6개 정도 카테고리도 나누었는데 교육 분야는 인원이 많이 2개조로 분할이 되었고, 저는 3조로 배정이 되었습니다.

교육분야도 세부적으로 나눌 수가 있을 텐데, 이번에 조원분들이 너무 바쁘신지 6명이 다 모이지 못하고 2명만으로 첫 온라인 미팅을 마치고,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1. 교육중에서도 각자 새분화 카테고리를 정하기

예) OOO-생성AI교육/강의

OOO-디지털마케팅OO

2. 벤치마킹할 사이트 찾아 벤치마킹할 상세페이지 2개 정도

찾아 URL 공유하기

-예) 생성AI강의 : https://class101.net/ko/products/62834a3531c628000e1cefa8

https://www.wadiz.kr/web/campaign/detail/243347

3. 상세페이지를 섹션별로 분해하여 목차, 주요 내용 발췌 (엑셀로 만들면 어떨까 합니다)

- 이미지 내의 내용도 핵심내용을 텍스트화

4. 교육분야 상세페이지의 평가 기준 마련

(제가 바드, 코파일럿, 챗지피티 종합해서 해 보겠습니다)

5. 각자 작성한 2번 URL, 3번 (엑셀)파일을 4번 평가기준 기반으로 평가

6. 가장 평가결과가 좋은 것을 입력정보 우선안으로 선정

7. 6번 기반으로 GPTs 초안 작성

8. 입력정보 우선안 및 본인상세 카테고리 입력정보의 결과값 비교

9. 챗봇 완성


벤치마킹을 위해 챗gpt4를 통해 상세페이지의 구조를 분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봤습니다. (교육/강의 분야 중심으로)

10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주네요.



이번에는 BARD(Gemini로 바뀌었죠)를 통해 해 봤는데, 저는 이 결과가 좀 더 맘에 들었습니다.

교육 및 강의 분야 상세 페이지를 벤치마킹하기 위해 구조를 나누는 것은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페이지 구조만 보고 모방하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효과적인 벤치마킹을 위해서는 목표와 타겟 사용자를 고려하여 구조를 나누는 것이 중요합니다.

먼저, 벤치마킹의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조회수 증가, 전환율 향상, 브랜드 이미지 구축 등 목표에 따라 분석할 부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타겟 사용자가 누구인지 파악하여 그들의 니즈와 관심사에 맞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분석해야 합니다.

여기 몇 가지 구조 분할 방법을 제안해 드리니, 목표와 타겟 사용자에 따라 적절히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1. 콘텐츠 유형별 구조:

  • 강의 소개

  • 강의자 소개

  • 강의 목표 및 대상

  • 강의 구성 및 시수

  • 강의 내용 상세 설명

  • 학습 방법 및 지원

  • 수강료 및 결제 방법

  • FAQ

  • 리뷰 및 후기

2. 사용자 여정별 구조:

  • 페이지 진입 시 첫 인상 (타이틀, 헤드라인, 디자인)

  • 정보 전달 방식 (텍스트, 이미지, 영상)

  • 신뢰성 구축 요소 (강의자 이력, 기관 정보, 리뷰)

  • 액션 유도 버튼 및 문구

  • 모바일 페이지 최적화

3. 핵심 요소별 구조:

  • 가치 제안 (이 강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가치)

  • 차별성 (다른 강의와 비교했을 때 장점)

  • 소구 해결 (타겟 사용자의 문제 해결 방안 제시)

  • 신뢰성 구축 (강의자 전문성, 기관 신뢰도)

  • 전환 유도 (무료 강좌 신청, 구매 등)


이번에는 상세페이지 평가기준을 바드,빙챗, 챗GPT4 종합하여 만들어봤습니다.


다음은 강의/교육분야의 상세페이지 중에서 참고할 만한 좋은 사이트를 찾아 보았습니다.

제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생성)AI 분야를 찾아 보니 많지 않았고

클래스101과 와디즈에서 찾은 상세페이지를 스터디해 보았습니다.

콘텐츠 구조를 분류해 보고, 핵심요소별 특징을 확인해 봤습니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duBmQG8b-mgXle8Dlgvmd8Nq0UHo1OGnl6_CpE1zk9w/edit?usp=sharing


상세페이지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를 해 봤는데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해 좀 더 해 보고

궁극적으로 벤치마킹했던 사례들을 모아

다음주에는 교육 분야의 상세페이지 GPTs 만들어지길 바랍니다.

2

(채용) 유튜브 PD, 마케터, AI엔지니어, 디자이너

지피터스의 콘텐츠 플라이휠로 고속 성장할 팀원을 찾습니다!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