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키워드 선정
키워드 선정은 안 하기로 했습니다. 이는 전략적 선택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개별 글의 노출을 위해 키워드를 선별해 내고, 노출이 잘 되는 내용으으로 글을 쓰는 것이 내가 하고자 하는 비즈니스에 장기적으로 도움이 될까 ?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가 계급사회 인 것은 맞는데, 우선되어야 하는 것은 내 콘텐츠의 양과 질로 만들어진 탄탄한 기반(BaseCamp)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 AI 의 활용 방법
그렇다면 AI기반의 글쓰기 프로세스를 변경해야 할 텐데... 지속적인 독자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서는 일단 독자가 어떤 경로로 나의 글을 접하더라도 개별 글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다른 글, 다음 글을 기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결론. 일단, 노출보다 양과 질에 집중하는 걸로,,, 이를 위해서 AI 는
개별 글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정보 수집의 수단으로
지속적인 글이 갖추어야 하는 구조를 파악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기로 방향 수정
3. 2번째 AI 글쓰기 시작
.
.
.
o1 이 만들어 내는 ,,,
1. 산업분석의 필요성
1) 성장성 파악
거시적 시각에서 산업이 향후에 얼마나 성장할지를 미리 가늠한다. 아무리 우수한 기업도 속한 산업이 정체 중이라면, 장기적인 투자 매력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
2) 위험요소 식별
규제나 기술 트렌드 변화, 경쟁 심화 같은 리스크는 특정 기업에 한정되지 않고 산업 전반에 영향을 준다. 위험요소를 사전에 파악하면 보다 적절한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다.
3) 합리적인 투자 판단 기준 마련
동일 업종에 속해 있는 기업이라도, 각 회사의 재무상태와 전략은 다르다. 산업 전체 상황을 이해하면
:
가이드 문서 와 지침을 잘 넣어야 사람처럼 말을 듣는다. ^^
4. 네이버 글 꾸미기 및 이미지 추가하기
민철님의 가이드를 따라 두번째 네이버 글꾸미기 시작 ,,,,
궁금하다. chatGPT 신제품 그림그리기 ㅋㅋ
최근 유행인 지브리 풍의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크,,, 잘 나오는 군요.
그래서 만들어진 두번째 글입니다.
https://blog.naver.com/theredturtle/223819065102
5. 무엇을 느끼고 배웠을까요 ?
우선, 지브리풍 그림 느낌 좋네요. 유행할 만 하군요.
여전히 머리보다 손이 느리네요. 훈련만이 시간을 줄이는 방법일 듯 합니다.
아직은 시장에 부응하기 보 다 나의 원칙을 유지하는 게 51% 인 듯합니다.
매일 글을 블로그에 게재하기 위한 준비를 단단히 해야겠네요. 큰 그림없이 글쓰기를 하려니 우왕좌왕 하네요.
책 한권을 쓴다는 자세로 일단 시리즈 글에 도전해 봐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