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조건으로 쓴 [ChatGPT vs 인간 에디터] 글쓰기 비교하기

우리팀은 적지 않은 구독자와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었지만, 응집되지 못하는 부분때문에 그동안 생산해놓은 콘텐츠들을 구조화하고 재정비해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우연히 윤경님의 콘텐츠를 보고, 블로그를 중심으로 유튜브, 인스타그램, 보도자료 등의 콘텐츠를 구조화할 수 있겠다고 판단하고 실행에 옮겼습니다.


블로그 글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인간 에디터와 ChatGPT가 쓴 글을 비교하고, 글을 작성하는 과정을 정량화할 수 있다는 가설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스터디는 별로 진행하지는 못했지만, 아이디어 공유 차원에서 첫번째 글을 공유합니다.


일단 GPT에 몇가지 물어봐서 글을 전달할때, 아래의 6가지 조건을 전달하는 것으로 초안을 정했습니다.

  1. 제목

  2. 목적

  3. 주요내용

  4. 키워드

  5. 대상독자

  6. 요청사항


회사 내부 정보가 많아서 결과만 공유하는점 양해바랍니다.


  • 1단락

ChatGPT

인간 에디터

디벨롭 요소-1 : 글 도입부에 반드시 포함해야하는 특정 앵커 텍스트 키워드를 지정

디벨롭 요소-2 : 의문문으로 문단을 마무리할지, 평서문으로 마무리할지 등 글의 성격에 따라 문단의 마무리를 지정


  • 2단락

ChatGPT

인간 에디터

디벨롭 요소-3 : 외부링크할 콘텐츠는 내용을 요약해서 설명 추가 or URL을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플러그인 사용

디벨롭 요소-4 : 삽입할 이미지에 대한 설명 추가


  • 3단락

ChatGPT

인간 에디터

디벨롭 요소-5 : 문단의 핵심 주제 요약해서 추가


  • 4단락

ChatGPT

인간 에디터

디벨롭 요소-6 : 경험적인 소재 필요시 내용설명 추가


  • 5단락

ChatGPT

인간 에디터

디벨롭 요소-7 : 직설적인 문장보다 우회적인 문장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좋다면, 화법 지정

디벨롭 요소-8 : CTA 문구는 특정 슬로건이나 마무리 멘트 지정 고려


이 과정을 몇번을 반복하면 원하는 글이 나올까요?^^

2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