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CK
DECK
🏅 AI 마스터
⚔️ 베테랑 파트너

영상 생성 AI 툴 4종 비교

작년 소라의 최초 발표 이후

여름 Luma가 등장하고, 런웨이 Gen-3, Kling등 지금은 영상생성 AI의 범람이라고 해도 될 정도인데요.

특히 연말 소라가 일반에도 오픈되면서 영상 생성 AI는 춘추전국시대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공개 예정인 툴들도 구글의 Veo-2와 메타의 MovieGen을 탑재했을걸로 추측되는 Edits등

빅테크들의 영상 생성 AI 툴들도 공개를 앞두고 있는데요.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툴인 Sora/Runway Gen-3/Kling/Hailuo를 비교하면서 간단한 장단점을 알아보기로 합니다.

여기서는 각종 편의 기능들은 다루지 않고 간단하게 같은 내용으로 생성한 영상들의 퀄리티만 비교해보겠습니다.

텍스트 투 비디오(T2V)

20250116_2213_Snowboarding Terrier Adventure_simple_compose_01jhqkxmp0f0y8knrj3tvg4snz.mp4
9.04MB

Gen-3 Alpha 1729935034, a west highland terr, M 5.mp4
7.43MB

338023100924739593.mp4
1.51MB

Professional_Mode_16x9_a_west_highland_terrier_surfing_.mp4
3.23MB

a west highland terrier surfing on snow 라는 간단한 프롬프트로 각각 생성된 영상입니다.

귀여운 화이트 테리어 강아지가 눈 위에서 서핑하는 내용의 프롬프트인데요.

프롬프트가 복잡해지면 보다 통일된 내용이 나오겠지만, 각 생성 AI의 특성을 보기위해 프롬프트는 최대한 단순화 했습니다.

소라/젠3/하일루오/클링 순입니다.

소라/하일루오는 제대로 화이트테리어가 나왔고, 특히 소라 같은 경우 매우 사실적으로 나왔는데요.

동작 면에서는 소라/젠3/하일루오 모두 보드를 타고 서핑하듯 눈 위를 미끄러지는 모습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클링은 강아지도 애매하고, 그냥 눈 바닥에서 뒹구는 모습이...

But 그렇다고 프롬프트 이해도가 클링이 가장 떨어지냐면 그것도 아닌데요

이번엔 이미지투비디오 (I2V) 예시를 하나씩 보죠

똑같은 고즈넉한 서양식 거실 이미지를 주고

벽난로에서 물이 쏟아져나와 홍수가 나는 영상을 만들어달라고 입력했습니다.

Water pouring out of the fireplace and flooding the entire living room

20241219_1638_Elegant Living Room Flood_simple_compose_01jfexm05mfgabjcjggeysfyn4.mp4
10.74MB
Gen-3 Alpha Turbo 3914601945, Water pouring out of, deck_6_living_room_-, M 5.mp4
7.64MB
338039653992964099.mp4
2.12MB
Professional_Mode_Water_pouring_out_of_the_firepla.mp4
4.25MB

네 벽난로에서 물이 나와야 한다는 프롬프트를 받아서 벽난로가 어디있는지 이해하고 거기서 홍수처럼 물이 쏟아져 나오는 모든 조건을 만족한건 클링이 유일합니다... 소라는 물 한방울도 안보여주는 모습을 보여줬구요..

이토록 툴마다 잘 나오는 프롬프트나 스타일이 각기 다릅니다. 그래서 되도록이면 다 써보면 좋겠지만.. 높아져만 가는 디지털 월세....

물론 예시로 보여드린 8개의 영상은 각각 첫 시도만에 나온 영상을 보여드린겁니다.
실제로 더 많은 시도를 한다면 다른 경향성을 보일 수도 있겠죠.
결과적으론 그런 경향성을 찾아내서 자신에게 맞는 툴을 찾는 과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결국 한가지, 여유가 된다면 두가지 툴을 구독하고 나머진 그때그때 필요할때 조금씩 전환해가며 써보는 식으로 사용하는게 가장 좋지 않을까 싶네요.

3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