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클로드와 MCP를 활용해 자료를 스프레드 시트로 정리하고 데이터 기반 마케팅 전략을 세워보았습니다.
진행 방법
필요한 MCP를 설치했습니다.
클로드 개발자 환경 설정을 변경해주었습니다.
"playwright": {
"command": "npx",
"args": [
"@playwright/mcp@latest"
]
},
"actors-mcp-server": {
"command": "npx",
"args": [
"-y",
"@apify/actors-mcp-server"
],
"env": {
"APIFY_TOKEN": "apify_api_개인 api 키 입력"
}
},
"google-sheets-mcp": {
"command": "node",
"args": [
"[설치경로]/mcp/google-sheets-mcp/dist/index.js"
]
},
결과와 배운 점
Playwrite mcp로 시장조사해보기
Playwrite mcp를 이용해서 "낙상 감지"관련 상품을
쿠팡에서 검색해서 상위 제품 10개의 상품명과 회사, 가격, 판매량을 조사해주세요
이 내용을 구글 스프레드 시트에 정리해주세요
결과
이 스프레드 시트를 활용하여 Apify를 이용해 인스타그램 포스트 분석하기
이 스프레드 시트의 제품정보 시트에서
1등 상품을 포스팅한 인스타그램 포스트를 Apify MCP를 사용해서 스크랩해서 정리해주세요
"시트 주소"에 새로운 시트를 추가해서 정리해주세요
기존 시트에서 새로운 시트 추가됨
인스타그램에 있는 내용들을 시트로 정리해서 한눈에 파악하기 쉬움
분류를 스스로해서 데이터 분석 가능
포스트 유형
계정명
포스트 내용/설명
URL
좋아요 수
댓글 수
게시일
관련 해시태그
비고
광고전략 분석
"시트 경로"의 "낙상경보기 인스타그램 포스트"을 확인해서 APIfy MCP로 해당 브랜드의 광고 라이브러리를 확인해서 광고전략을 분석해주세요
# 낙상경보기 브랜드 광고 전략 분석 보고서
## 📊 요약 (Executive Summary)
**핵심 발견**: Meta 플랫폼(Facebook/Instagram)에서 낙상경보기 관련 공식 광고는 거의 없으며, 대부분 유기적 콘텐츠와 B2B 채널을 통한 마케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 🔍 인스타그램 포스트 현황 분석
### 포스트 유형별 분석
| 유형 | 계정명 | 참여도 | 특징 |
|------|--------|--------|------|
| **B2B 상품 판매** | @riothewarehouse | 낮음 (42 좋아요) | 건설/도배업계 타겟 |
| **교육 콘텐츠** | @baeksung_hye | 낮음 (14 좋아요) | 낙상 예방 운동 정보 |
| **개인 경험담** | @we_park | 매우 높음 (31K 좋아요, 1,388 댓글) | 감정적 스토리텔링 |
### 주요 인사이트
- **감정적 스토리텔링**이 압도적으로 높은 참여도를 보임 (31,000:42 비율)
- B2B 상품 판매는 참여도가 낮음
- 교육/정보 제공 콘텐츠도 상대적으로 낮은 참여도
## 🎯 Meta 광고 라이브러리 분석 결과
### 검색 키워드별 결과
| 키워드 | 한국 시장 | 글로벌 시장 | 분석 |
|--------|-----------|-------------|------|
| 낙상경보기 | 0개 | 0개 | 한국어 브랜드명 광고 없음 |
| 낙상감지 | 0개 | 0개 | 일반적 한국어 키워드 광고 없음 |
| fall detection | 0개 | 0개 | 영어 키워드 광고 없음 |
| elderly safety | 0개 | 검색 중 | 관련 분야 광고 부족 |
## 📈 시장 기회 분석
### 1. 광고 시장의 공백
- **Meta 플랫폼에서 낙상경보기 관련 공식 광고가 전무함**
- 경쟁업체들도 소셜미디어 광고에 적극적이지 않음
- **선점 기회**가 매우 높음
### 2. 콘텐츠 전략 방향성
#### ✅ 효과적인 접근법
- **감정적 스토리텔링**: 개인 경험담이 31,000배 높은 참여도
- **가족 관점**: 부모/조부모를 걱정하는 자녀 세대 타겟
- **예방의 중요성**: 사고 후 후회보다는 사전 예방
#### ❌ 비효과적인 접근법
- 단순한 제품 스펙 나열
- B2B 중심의 딱딱한 마케팅
- 기술적 기능만 강조
## 🎯 권장 광고 전략
### 1. 타겟 세그먼트
- **1차 타겟**: 50-70세 중장년층 (직접 구매자)
- **2차 타겟**: 30-50세 성인 자녀 (부모님을 위한 구매)
- **지역**: 1차 한국, 2차 고령화 선진국 (일본, 유럽)
### 2. 콘텐츠 전략
#### 감정 마케팅 중심
```
"엄마, 혼자 계실 때 넘어지시면 어떡하죠?"
→ 제품 소개
→ "이제 안심이에요"
```
#### 스토리텔링 시나리오
1. **걱정 시나리오**: 혼자 사는 부모님에 대한 자녀의 걱정
2. **해결책 제시**: 낙상경보기 도입
3. **안심감**: 가족 모두의 마음의 평안
### 3. 플랫폼별 전략
#### Facebook 광고
- **타겟팅**: 50+ 연령층, 건강/의료 관심사
- **형식**: 동영상 광고 (감정적 스토리)
- **CTA**: "가족의 안전을 지키세요"
#### Instagram 광고
- **타겟팅**: 30-50세 성인 자녀층
- **형식**: 카루셀/스토리 광고
- **해시태그**: #부모님안전 #낙상예방 #가족사랑
## 💰 시장 진입 전략
### Phase 1: 인지도 구축 (1-3개월)
- 감정적 스토리텔링 동영상 광고
- 인플루언서 협업 (실제 사용 후기)
- 브랜드 인지도 측정
### Phase 2: 교육 마케팅 (3-6개월)
- 낙상 예방의 중요성 교육 콘텐츠
- 의료진 추천 콘텐츠
- 케이스 스터디 공유
### Phase 3: 전환 최적화 (6개월 이후)
- 리타겟팅 광고
- 계절별 맞춤 캠페인 (겨울철 안전 강조)
- 구매 후 만족도 케이스 확산
## 🚀 즉시 실행 가능한 액션 아이템
1. **감정적 동영상 광고 제작** (예산: 소규모부터 시작)
2. **Facebook/Instagram 픽셀 설치** (데이터 수집 시작)
3. **경쟁사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월 1회 Ad Library 체크)
4. **인플루언서 리스트 작성** (건강/시니어 분야)
5. **A/B 테스트 계획 수립** (메시지별 성과 비교)
## 📊 성공 지표 (KPI)
- **브랜드 인지도**: 설문조사 기반 측정
- **광고 참여도**: CTR, 동영상 시청률
- **전환율**: 랜딩 페이지 방문 → 구매
- **고객 획득 비용**: CAC 트래킹
- **리텐션율**: 재구매 및 추천 비율
---
*본 분석은 2025년 5월 24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시장 상황 변화에 따라 정기적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클로드의 최종 전략
아직 회사에 전문 마케터가 채용되지 않아서 mcp를 활용한 분석만으로도 현업에 도움이 많이 될 수 있을것 같습니다. 특히 아직 인스타그램이에서는 관련 상품들이 전략적인 마케팅을 하고있지 않아서 운이 좋으면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습니다.
전문 마케터는 아니지만 mcp를 활용한 것만으로도 전문 마케터들이 하는 시장 분석과 전략 세우는 것이 가능한 시대가 되었네요. 이제는 개인 실력과 경험도 중요하지만 ai툴을 어떻게 잘 활용하느냐에 따라서 개인의 능력이 평가될 수 있다는 것이 놀라울 뿐입니다.
내년에 연봉 협상때 좀 더 기대해 봐도 좋을지도...
가장 어려웠던 일
google의 스프레드 시트와 연동하는 것이 가장 힘들었습니다. 큰 도움을 주신 스터디장님께 감사드립니다!
도움 받은 글 (옵션)
스타트업 실험실, CTO 오프모임 자료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