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기 SEO 글쓰기 부트캠프] 코너스톤 컨텐츠로 구조화된 글 만들어 보기

SEO 글쓰기 부트 캠프에서 매주 사례를 작성하다 보니 어떻게 블로그를 구성해야 할지 조금은 감을 잡았습니다. 지난주에 받은 숙제는 5개의 주제에 맞는 블로그를 발행하고 필러 콘텐츠 또는 코너스톤 콘테츠를 내부 링크로 연결해서 글을 발행하는 것입니다. 막상 해 보려니 당황스럽긴 했지만 코너스톤 글을 발행한 사례입니다.

  1. 코너스톤 컨텐츠를 설정하기

  2. 비슷한 주제의 글을 5개 발행하기

  3. 코너스톤 콘텐츠에 구조화 된 글 만들어 발행하기


1. 코너스톤 컨텐츠 설정하기

예시카 님의 콘텐츠 전략 도우미를 이용해 정규 콘텐츠와 코너스톤 콘텐츠에 제목은 먼저 만들어 놓은 상태라 주제 설정하는 것은 비교적 쉬웠습니다. 큰 분류로 만들어 놓은 정규 컨텐츠를 이용해서 코너스톤 콘텐츠로 이용하려고 합니다.


콘텐츠 전략 도우미로 새로운 정규 콘텐츠를 만들었고 5개 글을 만들어 내부 링크로 사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2. 비슷한 주제의 글을 5개 발행하기

5개 글은 대니 님의 SEO Writing Assistants로 글을 만들고 발행을 했습니다. 일단 코너스톤 콘텐츠를 만들어 보기 위해 제시한 글을 수정하지 않고 발행을 했습니다. 정규 콘텐츠에 제시된 순서로 글을 작성했는데 글의 내용이 중복되거나 하는 부분은 일부 제외하거나 어색한 부분은 GPT를 이용해 글을 다시 작성 시켰습니다.


3. 콘너스톤 콘텐츠에 구조화 된 글 만들어 발행하기

발행한 5개 글을 하나로 묶어 내부 링크를 만들기 위해 GPT에 다음과 같이 제안을 했습니다. 5개 문서의 제목과 URL을 제시하고 코너스톤 콘텐츠의 주제와 타겟 키워드를 주고 초안 작성을 시켰습니다.


만들어진 본문을 분석해 보면 제시한 5개 블로그에 대한 목차 설명 같아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이번에는 만능 콘텐츠 제작자 GPTs를 이용해서 동일하게 제시하고 블로그 글 작성을 시켰습니다. 앞서 만들어진 글보다는 더 자연스럽게 글을 연결해 줍니다. 글의 일부는 목차 소개 비슷하지만 이 부분은 조금씩 수정해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코너스톤 콘텐츠로 내부 링크 연결해서 발행한 글입니다. 일단 초안만 잡아 놓은 상태로 내용을 추가하거나 글의 순서를 잘 정리하면 좋은 글이 될 것 같습니다.


2주 차에 만들어 놓은 코너스톤 콘텐츠를 왜 만드는지 궁금했는데 이렇게 정규 콘텐츠로 발행한 글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 같습니다. 블로그 내의 글들이 서로 연관성 있게 구조화 시키는 것이 블로그의 SEO에 도움이 되는지 확인해 봐야 되는 또 다른 숙제가 남아 있습니다.


코너스톤 콘테츠로 만들 블로그 글입니다. https://hwakjupe.com/complete-guide-to-canva-color-and-font-combinations-for-beginners/

2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