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Ts로 유튜브 자동화 아이템 도출하기

소개

시도하고자 했던 것과 그 이유를 알려주세요.

유튜브 채널을 새롭게 시작하려는 단계에서 막막함을 느꼈습니다.
어떤 주제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구성하고, 시리즈로 연결할지 방향이 정해지지 않아 고민하던 중
ChatGPT 기반의 콘텐츠 전략 어드바이저 자동화 기능을 활용해보기로 했습니다.
명확한 콘셉트와 방향성이 있다면 이후 콘텐츠 기획도 수월해질 것 같아 시도했습니다.

진행 방법

어떤 도구를 사용했고, 어떻게 활용하셨나요?

16기 유튜브채널 스터디장님이신 스마트대디님의 유튜브 단계별 자동화 가이드를 활용했습니다.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페이지

먼저 사용방법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방법을 입력했습니다.

유튜브 단계별 자동화 가이드의 사용방법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유튜브 채널 운영 7단계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가장 자동화가 필요하거나 어려운 단계를 선택하라는 문구가 나왔습니다.

전체 단계를 한눈에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저는 모든 단계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고,

유튜브 채널을 아직 생성하지 않은 단계에서 가장 필요한 채널기획을 선택했습니다.

1번 채널기획을 선택하니 채널기획 단계에서 2종류의 자동화가 추천 되었습니다.

채널 방향 설정과 콘텐츠 전략 수립을 도와주는 자동화 항목들이었습니다.

  1. 자동화 항목 : 콘텐츠 전략 어드바이저

  2. 자동화 항목 : 유튜브 컨셉 빌더 (GPTs) 기반

한국 문자 메시지의 스크린 샷

저는 채널 성장전략이 필요했고, 콘텐츠 전략이 모호해서 콘텐츠 전략 수립을 도와주는 자동화 항목인 콘텐츠 전략 어드바이저 를 선택 했습니다.

콘텐츠 전략 어드바이저 자동화 구현 가이드에는 아래와 같이 자동화를 구현하는 프로세스와 활용예시를 잘 정리해 주었습니다.

1. 사용자 입력 수집

2. GPTs를 활용한 전략 제안

3. 제안 결과 정리 및 전달


💡 활용 예시

  • 예시 1: 경제 유튜브 채널을 기획하는 직장인

  • 예시 2: 디자인 전공 대학생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페이지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페이지

결과와 배운 점

배운 점과 나만의 꿀팁을 알려주세요.

과정 중에 어떤 시행착오를 겪었나요?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있나요?

앞으로의 계획이 있다면 들려주세요.

이번 1주차 스터디를 통해 유튜브 채널 운영 전반에 걸쳐 자동화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체감했습니다.
콘텐츠 기획뿐 아니라 향후 대본 작성, 썸네일 제작, 성과 분석 등 다양한 단계에도 GPT 기반 자동화를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운영 부담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과정 중 시행착오는 따로 없었습니다.
ChatGPT 사용이 익숙하다면 누구나 무리 없이 따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의 계획은 이번 콘텐츠 전략 어드바이저를 시작으로,
유튜브 채널 운영 전 과정을 1단계씩 자동화로 구현해보는 것입니다.
기획부터 대본, 커뮤니티 관리, 분석 리포트까지 전체를 자동화 체계로 구성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도움 받은 글 (옵션)

참고한 지피터스 글이나 외부 사례를 알려주세요.

1주차 스터디를 하며 스마트대디님이 '유튜브 단계별 자동화 가이드' 를 설명해 주시고 시연해 주신것이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3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