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Gemini advanced가 나왔죠.
구독해서 사용해보고 있는데, 가끔 GPT보다 더 괜찮다고 느낄 때가 있는 것 같아요.
아직도 잘 모르는 구글 SEO의 구성요소에 대해 궁금해졌는데, 구글은 구글이 만든 Gemini가 더 잘 알지 않을까싶어서 물어봤습니다.
여러가지를 추천해주기는 하는데, 뻔한 말을 늘어놓습니다. 제가 질문의 범위를 너무 넓게한 것 같아요.
SEO는 항상 이런게 어려운 것 같아요. 당연한 것 같은 내용을 잘 파악해서 꾸준히 해야하는 것..
그래서 질문을 바꿨습니다. SEO의 구성요소가 아닌 SEO 분석을 해주는 구글 서치콘솔의 해석 방법에 대해서요.
제가 또 너무 넓은 범위로 물어봤나봅니다. 마음에 들지않아 보고서 별 중요한 인사이트를 얻는 법을 물었습니다.
실제 대시보드를 보면서 분석을 할 인사이트를 기르는 것도 중요할 것 같아서 지표를 보는법도 요청을 했습니다.
예시 케이스 (낮은 노출, 높은 CTR)
키워드 타겟팅 필요 (우리사이트가 어떤 검색어에서 노출되길 원하는지?)
더 많은 노출을 위해 메타 타이틀 디스크립션 수정 (메타 키워드는 이제 사용되지 않음)
경쟁 웹사이트 지정
타겟 키워드로 상위에 노출되는 웹사이트의 콘텐츠, 백링크 프로필 분석
유저의 키워드 검색 의도(트렌드)를 반영한 콘텐츠 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