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 및 목적
교육 시장 중, 니치 시장이자 동시에 온라인 마케팅이 중요하고, 온라인으로 수업이 필요한 교육 시장을 찾아보았습니다. 설정의 이유는 제가 교육업에 종사해서 입니다. 그외 gpt와 여러가지 질의응답을 통해 많은 시장들을 조사해보았지만, 마인드맵을 짜기에 적합하기도 하고, 그나마 내용이 괜찮은지 따져볼만해서 선택했습니다.
전반적인 과정은 단순한 사업 아이디어를 gpt를 기반으로 조사 및 내용을 구상하고, 마인드맵 툴로 그 내용을 단순화하는 작업이라고 보면 됩니다.
목적: gpt와 마인드맵 툴을 문제 없이 활용한다면, 빠르게 사업 아이디어를 구조화 및 기획한다는 점에 의의를 둘수 있습니다. 만약 활용이 더디다면, 잘 활용하는 법을 배우는 것을 얻어가겠습니다.
▣ 참고 자료
https://www.gpters.org/wealth/post/branding-done-daily-basis-k0LTa1Ewoaq6KF0
▣ 활용 툴
ChatGPT - GPTs 중 스타트업 컨설턴트 https://chatgpt.com/g/g-QoNBXa0L5-seutateueob-keonseolteonteu ChatGPT - GPTs 중 STP Analysis Assistant https://chatgpt.com/g/g-hOIWgZF5R-stp-analysis-assistant
Mapify : 마인드맵 서비스 https://mapify.so/ko/app/new
▣ 실행 과정
위의 ChatGPT 링크에서 사업 아이디어를 설명함.
실제 입력 프롬프트
사업 아이디어: 해외 거주 학생들 중 한국식 입시 교육을 온라인으로 제공. 혹은 해외 거주 학생들 중 한국 대학 입학을 희망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사업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느끼면, 꼬리 질문을 계속하면서, 피드백 받음.
내용 중 마인드 맵으로 하기 좋은 부분의 텍스트만 추출해서, Mapify로 옮김 (url 방법을 몰라서 텍스트 복붙했습니다. 다음에 다시 배울께요.)
내용 중 추가하고 싶은 것을 추가 함.
▣ 결과 및 인사이트
(글자가 조금 작네요 ㅠ)
마케팅 전략 카테고리는 mapify가 처음에 생성을 안해서, 제가 추가했습니다.
링크 넣고, 만드는 방법을 제가 아직 익숙치 않아서 활용을 못했습니다.
• 아쉬운 점
타겟은 학생이어도, 실제 구매 결정자는 학부모님인데, 그런 부분을 놓침.
교육 사업에서는 구매 결정자가 학부모님이라는 점이 매우 중요해서, 그에 맞는 프로그램 기획 및 마케팅 기획이 필요해서 대단히 중요한 부분입니다. 실제로 성인 대상 영어 교육 사업과 중고등학생 대상 영어 교육 사업은 다른 마케팅 전략이 사용됩니다.
실제 수요가 있다는 근거가 가정에 의한 추측이지 실제 목소리를 들 은 것은 없다고 함.
타겟 설정의 경우, 대단히 다양한 국가 및 상황들이 섞여서 나오는 것 때문에 종류를 섞은 느낌이 나서 조사 방법을 물어보았습니다. 패턴과 가정을 통한 결론이지, 실제 니즈에 대한 목소리를 확인하지 않았고, 따라서 수요의 크기 측정도 불분명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페르소나도 최대한 다양한 예시를 들은 느낌이었습니다.
현장에 있는 커리큘럼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보이고, 관련 내용은 추상적으로 도출함.
교육 프로그램을 단순히 과목, 난이도, 개념 학습과 심화 문제 적용 정도의 수업으로 분류만 하고 있습니다. 교육 프로그램은 수업 방식과 학습 방식을 어떻게 설정하냐가 중요하고, 학부모님들에게 어떤 식으로 소통 및 학습 상황을 보고하는 체계를 만드냐가 중요합니다. 단순히 이런 부분이 없다는 느낌보다는 이런 관점이 없다고 느꼈습니다.
• 좋은 점
빠름. 확실히 빨라서 좋습니다. 뭐든 자료 조사할 때 네이버랑 구글에서 이런 저런거 검색하고, 시트로 정리하고 그런 작업 몇 시간만 하면 피곤하고 힘든데, GPT를 잘쓰면 확실히 빠르게 작업 가능해보입니다.
gpts와 Mapify를 사용해봐서 좋았습니다. LLM과 여러 최신 툴들을 많이 활용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 주변에도 활용 할 줄 잘 모르는 분들이 많은데, 업무 툴들을 많이 활용해서, 업무 퍼포먼스를 올리고 싶다는 욕심이 생겼습니다.
• 느낀 점
단순히 GPT에 의존하기 보다는 그 일에 대해 내가 전문가여야하고, 툴을 목적에 맞 게 활용해야한다고 느끼게 되었습니다.
무조건 많이 해봐야 늘고, 도전 하는게 처음에는 어색해도 매우 쉽고 재밌다고 느꼈습니다.
•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극대화시키는 방법에 대한 추측
GPT가 어떤 데이터를 기반으로 내린 답변이고, 어떤 방식으로 도출한 답변인지 면밀히 살펴보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부족한 부분을 직접적으로 보충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 같습니다.
반대로 특정 데이터를 제한하여 주고, 어떤 방식으로 답을 도출해달라고 요구하는 것도 방법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즉 커스텀화시키는 겁니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앞으로도 많은 시도를 통해 더 많이 배워보겠습니다. 확장 및 발전시키기 위한 인사이트나 방법들은 마구마구 말씀 주시면, 정말 좋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