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8n 자동화 설정 기획

소개

자동화에 앞서 육하원칙에 따라 사고, 그 중 '어떻게' 이전 '무엇을' '왜' '누가(누구에게)'에 집중

진행 방법

GPT와 대화 형식으로 기획 단계에서 자동화 툴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커넥팅할 것인지 협의

글로벌 비즈니스 마케팅 전개 및 홍보용으로 사업과 연관된 컨텐츠를 제작해서 유튜브 및 각종 SNS에 배포, 피드백 교류 과정을 진행하고 싶어. 이해했으면 OK

ChatGPT의 말:

OK!

나의 말:

아래 순서에 따라 분석 및 설명 진행해.

===

1) 1인칭 관점에서 "SNS 마케팅,홍보 및 피드백" 역할로 제한

2) 이 역할에 필요한 업무의 구조를 세분화하고 각 구조의 형식과 특징을 파악

3) 자동화 100%, 자동화 50%(반자동), 자동화보다는 수동화를 추천.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프로세스를 그룹화

ChatGPT의 말:

1) 1인칭 관점에서 "SNS 마케팅, 홍보 및 피드백" 역할로 제한

  • 나의 역할: 나는 글로벌 비즈니스를 성공적으로 알리기 위해 SNS 마케팅과 홍보를 주도하며, 고객과의 피드백을 통해 브랜드를 지속적으로 성장시키는 핵심 역할을 맡고 있다.

  • 목표:

    1.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초기 고객층을 확보.

    2. 정기적으로 콘텐츠를 배포하여 고객과 소통.

    3. 피드백을 분석해 브랜드 전략과 제품을 개선.

  • 주요 플랫폼: 유튜브, 인스타그램, 트위터, 페이스북, 틱톡.

  • 성과 지표: 조회수, 좋아요/댓글 수, 팔로워 증가, 공유 횟수, 고객 피드백 반영도.


2) 이 역할에 필요한 업무의 구조 세분화 및 형식과 특징 파악

(1) 콘텐츠 기획 및 제작

  • 세분화:

    • 트렌드 분석: 타겟 시장의 인기 있는 콘텐츠 스타일 및 주제 파악.

    • 캠페인 아이디어 개발: 브랜드와 연관된 창의적인 콘텐츠 기획.

    • 스토리보드 및 스크립트 작성: 유튜브 동영상이나 릴스 콘텐츠 준비.

    • 미디어 제작: 영상 촬영, 이미지 편집, 애니메이션 제작.

  • 특징:

    • 창의성과 분석력이 요구됨.

    • 타겟 고객층의 관심사에 맞춘 톤 앤 매너 필요.

    • 콘텐츠 품질이 직접적으로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침.

(2) 콘텐츠 게시 및 관리

  • 세분화:

    • 콘텐츠 캘린더 관리: 정해진 일정에 따라 게시물 준비.

    • 다채널 게시: 플랫폼별로 최적화된 형식으로 업로드.

    • 해시태그 및 키워드 전략: 검색 도달률 증대.

    • 게시물 성과 분석: 게시물의 도달, 참여율, 클릭률 측정.

  • 특징:

    • 시간 관리와 세부적인 계획 필수.

    • 알고리즘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해야 함.

    • 즉각적인 문제 대응 (예: 이미지 해상도 문제).

(3) 피드백 수집 및 반응

  • 세분화:

    • 댓글 및 메시지 모니터링: 고객의 질문과 반응 파악.

    • 설문조사 실행: 고객의 요구와 불만 확인.

    • 데이터 분석: 플랫폼 통계, 고객 의견 패턴 분석.

    • 피드백 기반 개선: 제품/서비스나 콘텐츠에 반영.

  • 특징:

    • 고객과의 적극적인 소통이 필수.

    • 부정적인 피드백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활용.


3) 자동화 100%, 자동화 50%(반자동), 수동화 추천으로 그룹화

(1) 자동화 100% 추천 업무

  • 소셜 미디어 게시 예약:

    • 도구: Buffer, Hootsuite, Later.

    • 이유: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반복적인 게시물 업로드 자동화 가능.

  • 성과 추적 및 보고서 생성:

    • 도구: Google Analytics, Sprout Social.

    • 이유: SNS 성과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시각화.

  • 피드백 데이터 통합:

    • 도구: n8n을 통한 플랫폼 통합.

    • 이유: 댓글, 메시지, 설문 응답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수집하고 저장.

(2) 자동화 50% (반자동) 추천 업무

  • 트렌드 분석 및 키워드 조사:

    • 도구: Google Trends, AnswerThePublic.

    • 이유: 자동화된 도구로 데이터 제공, 최종 선택은 수동 필요.

  • 설문조사 실행 및 결과 분석:

    • 도구: Typeform, Google Forms.

    • 이유: 설문 생성 및 배포 자동화 가능, 결과 해석은 수동.

  • 댓글 및 메시지 관리:

    • 도구: ChatGPT 플러그인, ManyChat.

    • 이유: 자동으로 일반 답변 처리, 중요한 이슈는 직접 응대.

(3) 수동화 추천 업무

  • 콘텐츠 기획 및 제작:

    • 이유: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정성적 접근이 필요하며, 자동화 어려움.

  • 부정적인 피드백 대처:

    • 이유: 민감한 상황에서 인간적인 공감과 맞춤형 대응이 중요.

  • 피드백 기반 개선:

    • 이유: 고객의 복잡한 요구와 시장의 변화를 분석하여 전략적으로 반영해야 함.


이 분석을 통해 업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자동화와 수동화의 조화를 통해 최대의 성과를 낼 수 있습니다. 추가로 더 알고 싶은 부분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나의 말:

좋아. 1번부터 해보자. 1번을 실행하기 위한 n8n 자동화 scheme을 순차적, 적용 필요한 node의 구체적인 예시, node 설치 시 유의 사항(필수 설정 등)을 각 프로세스 별 표로 정리해줘. 이는 향후 마인드맵 형태로 멤버들에게 설명이 필요하므로 이를 감안해서 표 작성해줘. 또한 각 자동화의 초기 세팅 시 소요 시간은 1시간 미만으로. 이해했으면 ok 후 스타트.

ChatGPT의 말:

OK! 작업을 시작하겠습니다.

아래는 1번: 콘텐츠 기획 및 제작을 위한 n8n 자동화 스키마입니다. 각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정리하고, 필요한 노드, 유의 사항, 초기 세팅 시간을 표로 정리했습니다.


1번: 콘텐츠 기획 및 제작 프로세스

프로세스 단계

필요 노드 및 예시

설치 및 설정

유의 사항

초기 세팅

소요 시간

1. 트렌드 분석

- HTTP Request: Google Trends API 호출
- Set Node: 검색 키워드 입력
- Function Node: 트렌드 데이터 정제

- Google Trends API

  사용을 위해 API Key 생성
- 요청 URL 및 쿼리 매개변수

  정확히 입력 필요

30분

2. 콘텐츠 아이디어 생성

- OpenAI Node: GPT 기반 아이디어 생성
- Set Node: 주제 및 톤 설정

- OpenAI API Key 필요
- 프롬프트 구체화(예: "비즈니스 서비스 관련 유튜브 콘텐츠 아이디어 5개 생성")

20분

3. 콘텐츠 스토리보드 제작

- Notion Node: 콘텐츠 아이디어를 Notion에 저장
- Function Node: 콘텐츠 구조화(예: 제목, 주요 포인트, 이미지/영상 계획)

- Notion API 통합 설정 (Token 발급 및 데이터베이스 연결)
- Notion 데이터베이스의 열 이름과 n8n 필드 매칭 필요

40분

4. 작업 일정 관리

- Google Calendar Node: 콘텐츠 제작 스케줄 생성
- Set Node: 제목, 날짜, 담당자 설정

- Google Calendar API 통합 설정 (OAuth 2.0 인증)
- 캘린더 ID를 정확히 입력

30분

5. 협업 및 승인 요청

- Slack Node: 콘텐츠 초안을 Slack 채널에 공유
- Webhook Node: 팀원 피드백 수집

- Slack Webhook URL 생성
- 채널 ID 입력
- 피드백 수집을 위한 Webhook URL 적절히 설정

30분


프로세스 설명 및 마인드맵 활용 시 고려사항:

  1. 트렌드 분석:

    • 구체적인 검색어 데이터를 수집해 콘텐츠 방향 설정.

    • 트렌드 데이터를 시각화해 팀과 공유 가능.

  2. 아이디어 생성:

    • AI를 통해 초기 아이디어를 빠르게 생성.

    • 사용자 정의 프롬프트로 팀의 요구 사항 반영 가능.

  3. 스토리보드 제작:

    • Notion과 연계하여 팀 협업 가능.

    • 팀원들이 수정 및 의견을 쉽게 추가 가능하도록 설계.

  4. 일정 관리:

    • 일정 미스를 방지하고, 모든 작업을 체계적으로 관리.

  5. 협업 및 승인:

    • Slack과 Webhook으로 빠른 피드백 루프 형성.

    • 팀원들 간 실시간 소통이 가능하도록 설정.


이 표는 마인드맵으로 전환 시, 각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하위 작업을 나열하면 효과적입니다. 추가 요청 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나의 말:

1번 프로세스 진행 시 추천해준 node외에 별도 필요한 코드가 있다면? 함께 알려줘.

ChatGPT의 말:

1번 프로세스를 진행하면서 추천한 노드 외에 필요한 코드를 사용해야 할 경우, 아래에 단계별로 예시 코드를 정리했습니다. 이를 각 노드에 적합하게 추가하거나 조정하면 됩니다.


1. 트렌드 분석

  • HTTP Request Node: Google Trends API 호출 후 데이터 정제

    javascript

    복사편집

    {{(() => { const data = $json.default.trendingSearches; // API 응답에서 주요 검색어 추출 return data.map(item => ({ keyword: item.title.query, traffic: item.formattedTraffic, })); })()}}

    • 설명: 응답 데이터를 keywordtraffic 형태로 정리.

    • 적용 위치: HTTP Request의 후처리.


2. 콘텐츠 아이디어 생성

  • OpenAI Node: 프롬프트 기반 텍스트 생성

    javascript

    복사편집

    {{`다음 주제로 유튜브 콘텐츠 아이디어를 생성해줘: ${$json.topic}. 5개의 간결한 아이디어를 추천해줘.`}}

    • 설명: Set Node에서 topic 값을 받아 OpenAI로 전달.

    • 적용 위치: OpenAI Node의 Prompt 필드.

  • Function Node: 결과 정리

    javascript

    복사편집

    {{(() => { const response = $json.choices[0].text.split('\n').filter(Boolean); return response.map((idea, index) => ({ id: index + 1, idea })); })()}}

    • 설명: OpenAI 응답 텍스트를 각 줄로 분리하고 번호를 붙여 배열로 변환.

    • 적용 위치: OpenAI Node 출력 후 Function Node.


3. 콘텐츠 스토리보드 제작

  • Notion Node: 콘텐츠 구조 정리

    javascript

    복사편집

    { "title": "{{ $json.idea }}", "type": "Blog", "sections": [ { "heading": "Introduction", "content": "Explain the context of the topic." }, { "heading": "Main Content", "content": "Describe key points in detail." }, { "heading": "Conclusion", "content": "Summarize and include a CTA." } ] }

    • 설명: 콘텐츠 구조를 정리한 JSON 데이터. Notion에 저장될 데이터베이스 항목 형식.

    • 적용 위치: Notion Node의 Body 필드.


4. 작업 일정 관리

  • Google Calendar Node: 이벤트 데이터 생성

    javascript

    복사편집

    { "summary": "{{ $json.title }}", "start": { "dateTime": "{{ new Date($json.start).toISOString() }}" }, "end": { "dateTime": "{{ new Date($json.end).toISOString() }}" }, "attendees": [ { "email": "[email protected]" } ] }

    • 설명: 일정 시작/종료 시간과 참여자 이메일 포함.

    • 적용 위치: Google Calendar Node의 Event 필드.


5. 협업 및 승인 요청

  • Webhook Node: 피드백 요청 처리

    javascript

    복사편집

    {{(() => { const feedback = $json.feedback; // Webhook 응답에서 피드백 추출 if (!feedback) return { status: "No feedback received" }; return { status: "Feedback received", details: feedback, }; })()}}

    • 설명: Webhook 응답에서 피드백 여부 확인 및 상태 반환.

    • 적용 위치: Webhook Node의 후처리.

  • Slack Node: 피드백 요약 공유

    javascript

    복사편집

    { "channel": "#team-feedback", "text": 새로운 피드백이 도착했습니다: {{ $json.details }} }

    • 설명: 팀 피드백 채널에 새 피드백 알림 전송.

    • 적용 위치: Slack Node의 메시지 필드.


추가 고려 사항

  1. 디버깅용 로그: 각 단계에서 데이터 정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Function Nodeconsole.log 추가 가능.

  2. 데이터 형식 변환: API 응답 구조가 다를 경우 JSON 경로를 수정하거나 정규화를 진행.

  3. 조건부 처리: 특정 조건에 따라 다른 작업을 수행해야 할 경우 Switch Node를 활용.

이 코드는 각 노드의 기본 기능을 확장하거나 데이터를 정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추가 질문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결과와 배운 점

기획이 가장 어려운데 또 어려운 자동화가 함께 찾아왔습니다. 나중에는 그러지 않겠지만^^;

도움 받은 글 (옵션)

박정기님 강의 중 추천해 주신 GPTs N8N Nshka님과 대화 진행

4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