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냐하면
박카스님이 만드신 자동화 프로그램이 있으니까!!
이번 사례글에서는 그걸 실습해본 과정을 간략히 기록합니다.
< 진행 방법 >
일단 글을 excel 파일로 준비해야 함....
박카스님 제작하신 프롬프트로 제미니에 gem를 만든다.
제미니한테 딥리서치를 시킨다.
gems 는 딥 리서치 못하나보네요?
일단 넘어갑시다.
딥 리서치는 따로 해서 가져와야 할 듯... 이전 채팅방 기록 읽는 기능 있는지... 아! docs로 만들어달라고 해서 주면 되겠군요
블로그 글로 만들어달라고 한다.
엑셀 양식에 글을 복붙한다.
양식 쉬우니까 그냥 직접 만들어도 됩니다.
프로그램 실행
박카스님이 수강생에게 배포해주신 천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내용을 입력하고 [시작]을 누른다.
로그 뜨는 거 신기...
알아서 잘해주는 걸 감상하며 놀라워한다.
캬아 쩐다~~~
< 배운 점, 느낀 점 >
처음에 이어글쓰기 버튼 잘못 눌러서 두 글이 합쳐졌었습니다
프로그램이 알아서 잘할텐데 건드리지 말자는 교훈!
가끔 겜 돌려놓고 집안일 하는 거 좋아하는데, 이거 잘만 하면 딱 되겟구먼 하는 마음
md 파일 넣게 하면, 클로드 프로젝트나 퍼플렉시티 등에서 뽑아낼 때 적절하겠구나
프로그램 수정해보고 싶어서 박카스님께 코드 달라고 찡찡 거려서 받아냈는데요
파이썬부터 다시 깔라고 하네요...
제미니도 클코의 분석이 적절하다고 했습니다.
ㅇ_ㅇ...
그리고 md 파일로 한다고 해도 문제는...
엑셀은 행이 여러 개 있으니까, 글을 한번에 여러 개 써주는데 md로 하면 1번에 글 1개만 올려야 할 거 같은..... 프롬프트를 잘 쓴다고 해도 헷갈려 할지도 모르고요...
아니면 프로젝트 파일 몇 번 몇 번을 엑셀로 뽑아달라고 해야 하나?
발행이 아니라 임시저장 해놓기, 순차적으로 쓰기 등에서 세심함을 느꼇습니다
2번째 샘플 글의 경우 마크다운이 잡혀있는데, 이건 네이버 블로그가 이해못한단 말이죠... 마크다운을 지워달라고 하는 게 간단하긴 하지만, 인용구를 일일이 넣어야 하고 제목 지정을 일일이 해야 합니다. 이 부분이 좀 귀찮은데 이건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
아무튼 이 놀라운 프로그램과 함께여서 저는 제 기반만 잘 세팅해놓으면 꿀 빨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꿈과 희망이 생깁니다 ㅎㅎㅎ
글 발행 자주 하는 인플루언서도 꿈이? 아닐? 지도? 아직은? 꿈? 이지만?
참고 글
https://www.gpters.org/marketing/post/lumysstage-first-public-blog-lgNmk0UHrlvwCT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