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욱영
김욱영
Moderator
🌿 뉴비 파트너

프로파간다 기법을 콘텐츠 마케팅에 이용하기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 — 페이스북의 5천만명의 데이터 유출 사건을 통해 유명해진 정치 컨설팅 기업입니다.

개인 데이터가 어떻게 정치 선동에 이용될 수 있을지를 보인, 데이터 사이언스를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린 스캔들을 만들어냈습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어떠한 방식으로 이용했고 왜 문제가 되었는지를 알아봅시다.

This is your digital life, 사건의 발단

출처 : '페이스북 정보유출' 핵심인물 코건, 언론 통해 사과 | 서울경제

2013년, 케임브리지 대학의 강사였던 알렉산더 코건은 성격검사 어플인, This is your digital life를 공개합니다.

연구 목적으로 27만명의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페이스북 앱으로 친구 정보의 접근 권한까지 동의를 하여, 5천만명의 개인정보를 수집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그렇게 얻은 정보를, 데이터 분석 회사인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에 넘기게 됩니다. 즉, 5천만명의 개인데이터가 넘어가게 되죠.


클러스터링 가격을 낮추기

출처 : Psychographics: the behavioural analysis that helped Cambridge Analytica know voters’ minds

개인의 성향이 정치성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이제는 정설입니다.(인과관계가 있음) 이를 기반으로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는 수집한 데이터를 가지고, 클러스터링을 정말 값이 저렴하게 진행을 합니다.

한 개인이 정치와 관련된 무언가의 콘텐츠를 올렸을 때, 좋아요를 누른 사람을 하나로 분류를 해버린 것입니다.

즉, 누군가 정치 콘텐츠를 올렸으면, 그 정치 콘텐츠에 좋아요를 누른 모든 친구는 하나의 공통된 집단으로 평가하고 A/B 테스트와 프로파간다를 계속해서 반복하는 것이죠.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는 이를 2016년 미국 대선에서 이 방법을 사용했다는 이야기가 나와, 전 세계적으로 큰 문제가 발생합니다.

정말 큰 범죄지만, 세련된 데이터 분석 기법이기도 합니다.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의 방법과 백링크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수집한 이 사건은 큰 문제를 야기했지만, 마케팅적으로 배울 지점은 정말 많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는 이걸 ‘백링크’와 유사성이 높다고 생각해요.

Neilpatel의 백링크 Checker를 이용하여 그 방법을 더 자세히 알아가보고자 합니다.

자발적으로 생성한 백링크는, 더 강력한 추천이라고 생각합니다. 즉, 특정 웹사이트를 이용한 웹사이트는 공통된 특징을 가질 확률이 더 높죠.

위 사진은 backlink checker에서 Zapier.com 홈페이지를 검색한 결과입니다. 그리고 아마 이 웹사이트들은, zapier와 공통범위가 있는 콘텐츠를 공유하고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백링크 분석을 이용하면, 경쟁사, 혹은 나의 홈페이지를 추천한 다른 웹사이트들을 알 수 있습니다.


프로파간다 기법을 콘텐츠 마케팅에 이용하기

위는 gpters.org를 백링크 분석기에 넣은 결과물입니다. 이 방식을 콘텐츠 마케팅이 아니라, 퍼포먼스 마케팅에 이용하려면, 저 제목이나 앵커 텍스트를 구글 서치 ads에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콘텐츠 마케팅 관점에서는 키워드를 찾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결과물 전체를 복붙하여, 챗GPT에게 질문을 했어요.

위 결과는 경쟁사인 '[]'를 백링크 checker에 넣었을 때의 결과물 입니다. 이 결과물을 토대로, 경쟁사의 핵심 키워드를 10개 알려주세요.

저는 이 방식을 이용하여 경쟁사의 핵심 키워드를 찾는데 유용하게 사용을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백링크를 결과물을 기반으로, 이메일로 부탁하기

백링크를 조사한 결과물에서 gpters.org를 백링크한 글이 많습니다. 이때 백링크를 부탁하는 글을 챗GPT를 이용하여 부탁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경쟁사를 백링크한 게시글]

이 게시글을 읽고, [나의 게시글]

를 백링크로 업데이트 해달라는 이메일 요청글 작성해주세요.

어느정도 정돈한다면 꽤나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글의 제목만 거창하고 별 내용은 없네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9기콘텐츠마케팅

10
7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