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을 읽고 쓸 때 AI로 생산성을 높이는 5가지 방법

논문을 읽고 쓸 때 AI를 활용하면 더 효율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찾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도 빠르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은 2023년부터 챗GPT를 활용한 의학 논문 작성법을 교육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논문 읽기와 쓰기에 AI를 활용하는 5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1. 논문에서 나에게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찾기

연구를 시작할 때, 주제와 관련된 논문을 많이 읽게 됩니다. 이때 나에게 유용한 논문인지 판단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SciSpace를 활용하면, 논문의 핵심을 쉽고 빠르게 파악하여 내 연구에 유용한지 쉽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먼저 SciSpace에 접속하여 읽으려는 논문을 업로드 합니다. 다음, 채팅 화면에서 요약을 부탁하거나 논문에 대해 궁금한 점을 물어보면, 논문을 미리 읽은 AI 챗봇이 답변해 줍니다.

예를 들어, 논문을 불릿 형태로 요약해 달라고 요청하여 빠르게 핵심을 파악하거나 논문의 약점과 제한점을 확인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 SciSpace를 논문 분석에 활용한 사례 보러가기

2. 챗GPT로 복잡한 그래프 그리기

그래프를 그리려면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합니다. 특히 3D 그래프나 데이터가 많을 경우 더 어려워집니다. 엑셀이나 파이썬 같은 기존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챗GPT를 통해 복잡한 그래프를 그릴 수 있습니다.

먼저 챗GPT에서 공학용 계산기 Wolfram GPTs를 사용합니다. 다음 그래프를 그릴 수식을 입력하면, 챗GPT가 그래프를 만들어 줍니다.

구요한 님은 그래프 제작 도구 OriginPro에서 시간을 들여 그래프를 제작했지만, 챗GPT Wolfram을 사용해 3초 만에 같은 그래프를 제작할 수 있었습니다.

👉 구요한님의 논문 그래프 제작 사례 보러가기

3. 수학 수식을 챗GPT에 입력하는 방법

수학 문제가 이미지로 되어 있거나, 챗GPT에 직접 입력하기 어려운 복잡한 수식인 경우, Equito와 WolframGPTs를 활용하면 손쉽게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수학 문제변환 도구 Equito는 이미지나 복잡한 수식을 입력하면 이를 특수 문서 형식인 LaTeX로 변환해 줍니다. 변환된 LaTeX 문서를 챗GPT의 Wolfram GPTs에 입력하면, 대학 수준의 어려운 수학 문제도 풀 수 있습니다.

나춘배님의 사례를 통해 이 과정을 단계별로 쉽게 따라할 수 있습니다.

👉 수학 수식을 챗GPT에 입력하는 방법 확인하기

4. 논문 요약하는 프롬프트 사용하기

논문처럼 긴 문서를 ChatGPT에 입력하여 원하는 답변을 얻으려면, 목적을 정확히 하고 상세하게 설명해야 합니다. 이러한 설명을 "프롬프트"라고 합니다.

구요한님은 논문을 요약하는 네 가지 프롬프트를 공유해 주셨습니다. 이 프롬프트를 사용하면, 논문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거나, 연구 대상, 방법, 결과로 나누어 요약 할 수 있습니다.

👉 논문 요약하는 프롬프트 보러가기

5. 여러 논문을 한꺼번에 분석하기

연구 초기에는 주제와 관련된 논문을 읽으며, 유행하는 세부 주제나 어떤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AI를 활용하면 여러 논문을 일일이 읽을 필요 없이 손쉽게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많은 논문을 보유한 RISS 같은 웹사이트에서 크롤링 서비스 ‘리스틀리’를 사용합니다. 리스틀리는 검색한 주제를 바탕으로 웹사이트에 있는 논문을 구글 시트로 옮겨 줍니다. 구글 시트의 링크를 복사해 챗GPT에게 분석을 요청하면, 챗GPT가 구글 시트에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어떤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된 단어 같은 세부적인 분석 작업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보배교수님은 이 방식을 사용해 연구 경향을 파악하고 논문의 성격을 분류할 수 있었습니다.

👉 논문 크롤링으로 경향 분석한 사례 보러가기

5가지 사례를 통해 AI로 논문을 더 효율적으로 읽고 쓰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AI를 연구와 논문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무궁무진합니다. “AI로 논문 분석 10배 빨라지는 스터디"에서는 SciSpace, Scholarcy, Slid와 같은 논문 전용 AI 도구를 사용해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을 배웁니다. 연구원과 함께 AI를 업무에 적용하는 방법을 더 알고 싶다면, 아래 스터디 링크를 통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스터디) Scispace, Scholarcy, Slid로 논문 분석 10배 빨라지는 연구원 되기

3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