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드와 노코드 툴 ‘버블’로 서비스 만들기

아이디어는 있지만 개발 지식이 없어 실현하기 어려웠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클로드와 노코드 툴 ‘버블’을 활용하면 개발을 몰라도 서비스로 만들 수 있습니다.

클로드는 챗GPT와 비슷한 생성형 AI지만, 추론과 코딩에 더 뛰어납니다. 버블은 자유도가 매우 높은 노코드 웹앱 빌더입니다. 프레이머나 웹플로우 같은 도구들과 달리 API 연동, 웹훅 등 고급 기능 구현이 가능합니다.

이 두 도구를 함께 쓰면 한 시간 만에 MVP(최소 기능 제품)를 만들 수 있고, 실제로 이 조합으로 출시된 서비스도 있습니다.

이 글을 다 읽고 나면 여러분도 클로드와 버블로 실제 서비스를 만들 수 있을 거예요.

1. 버블에 GPT API 연동하기

주황색 배경과 페이지의 다른 부분을 가리키는 화살표가 있는 페이지의 스크린샷

버블의 강점 중 하나는 다양한 API를 연동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GPT API를 연동하면 내가 제작한 서비스에 챗GPT를 사용할 수 있어요. API란 간단히 다른 서비스의 기능을 내 서비스에 가져와 쓸 수 있게 해주는 연결 통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연동 과정은 크게 두 단계로 이뤄집니다. 먼저 OpenAI API 플레이그라운드에서 API 키를 받고, 버블에 API Connector를 설치합니다. 그 다음 이 둘을 연결하면 됩니다.

API 설정과 연동 방법이 복잡해 보이지만 다혜님이 작성한 아래 가이드에서 모든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여 있어 쉽게 따라할 수 있습니다.

노코드 툴 Bubble.io 에 API 연동하는 법 보러가기

2. 버블로 실제 서비스 출시하기

한국 전화 앱 스크린샷

Koo님은 버블과 GPT API를 활용해 AI 음성 상담 서비스 '블랙미러'를 출시했습니다. '블랙미러'는 한국어 최초의 AI 음성 상담 서비스로, 사용자의 감정일기를 기반으로 맞춤형 심리상담을 제공합니다.

개발자 없이 버블만으로 구현된 블랙미러는 여러분도 버블로 실제 서비스로 만들고 출시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버블로 구현 가능한 다양한 기능들을 '블랙미러' AI상담 서비스 런칭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블랙미러’ AI상담 서비스 런칭사례 보러가기

3. 클로드로 서비스 기획하기

휴대전화의 gtdo 앱 스크린샷

클로드를 활용하면 서비스 기획 과정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먼저 아이디어를 클로드에게 제시하고, 대화를 통해 제품 컨셉을 구체화합니다. 이후 클로드에게 "프로젝트 계획서 작성해줘", "핵심 고객은 누구일까?", "경쟁 서비스는 무엇이 있을까?" 등의 질문으로 빠르게 기획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 단계에서도 클로드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간단한 와이어프레임을 제공하면 디자인 개선 제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클로드와 함께 기획한 일정관리 서비스 '골스페이스' 사례를 통해 클로드를 활용한 서비스 기획의 전 과정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클로드와 개인 목표 관리 서비스 기획 사례 보러가기

4. 클로드로 게임 서비스 제작하기

한국어 아이콘이 있는 한국어 앱의 스크린샷

클로드를 활용하여 게임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먼저 간단한 게임 규칙을 클로드에게 설명하면, 필요한 API 사용법과 코드를 작성해 줍니다.

CodePen을 통해 클로드가 작성한 코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대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한 다음 Netlify와 같은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해 손쉽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

클로드만을 이용해 제작된 포켓몬 메모리 카드 게임 사례를 통해 클로드가 작성한 코드의 높은 완성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클로드를 사용해 메모리 카드 게임 만든 사례 보러가기

이제 클로드와 노코트 툴 ‘버블’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을 알게 되셨어요. 사례를 보고 흥미롭다면 매월 MVP 만드는 1인 개발 스터디에 참여하세요. 클로드와 버블의 활용 방법을 누구보다 빨리 배우게 됩니다.

👉 매월 MVP 만드는 1인 개발 스터디 신청하기

3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