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욱영
김욱영
Moderator
🌿 뉴비 파트너

일론 머스크의 공개 입찰은 OpenAI의 영리화를 방해합니다

지피터스 뉴스레터는 모두가 AI 발전 속도에 뒤처지지 않도록 커뮤니티의 가장 흥미로운 AI 활용법을 전합니다.

  • AI가 해준 조언이 효과가 없다면, AI에게 이야기 해주기

  • 클릭 한 번으로 사내 증명서 발급하기

  • 키워드만 입력하면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아 뉴스레터 작성

  • 고양이의 행동, 품종을 분석하는 앱을 스트림릿으로 만들기

지피터스 뉴스레터를 구독해서 뉴스레터를 편지함에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단어가있는 한국 배너 '

직접 AI를 써보고, 멤버들과 활용 사례를 공유하면서 수 천개의 AI 활용 사례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뉴스레터에 소개된 모든 사례들이 지피터스 AI 스터디에서 나왔습니다.

대기자 신청하기 →


일론 머스크의 OpenAI 공개 입찰은 OpenAI의 영리화를 방해합니다

일론머스크가 OpenAI를 974억 달러에 인수하겠다고 제안했습니다. 이 제안 때문에 OpenAI의 가치가 더 높게 평가해야 하는 압박이 생겼습니다. 비영리 제단의 이사회는 자산을 저평가해서 넘길 수 없는 의무가 있기 때문입니다. OpenAI의 가치가 높아지면 OpenAI가 영리화 하는 과정에서 더 많은 자본이 필요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일론머스크의 공개 입찰이 OpenAI의 영리화를 방해합니다.

엔트로픽에 의하면 AI는 업무를 자동화하기 보다는 업무를 더 잘하는데 사용됩니다

엔트로픽이 실제 사용자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업무에 AI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서 Anthropic Economic Index를 공개했습니다. AI 활용 사례의 57%는 AI와 대화하며 작업을 개선하거나, 학습하는 등 업무를 더 잘할 수 있는데 사용하고 있고, 업무의 43%만이 AI에게 업무를 위임하는 자동화와 관련되어 있었습니다. AI를 가장 많이 활용한 사례는 AI와 대화하며 함께 업무를 개선하는 것이었습니다.

구글 딥마인드의 새로운 AI가 수학 올림피아드를 휩쓸고 있다

구글 딥마인드가 수학 문제를 잘 해결하는 AlphaGeometry2를 출시했습니다. AlphaGeometry2는 50개의 문제 중 42문제를 풀어내어 금메달리스트의 평균 점수인 40.9점을 넘어섰습니다. 수학은 일반적으로 AI가 잘 하지 못하는 분야였습니다. 이제 AI는 수학 올림피아드 금메달리스트보다 수학 문제를 더 잘풉니다.


AI가 해준 조언이 효과가 없다면, AI에게 이야기 해주기

화살표가있는 한국 문자 메시지.

기본기: AI가 해준 조언이 효과가 없다면, 그 경험을 토대로 규칙을 만들어달라고 요청하는 것이 방법입니다. 이러면 이후에는 해당 방법을 추천해주지 않습니다.(커서, 챗GPT 메모리 기능)

프롬프트:

Retool에서는 Return으로 코드가 끝나야 합니다. 이 사실을 기억해 규칙을 업데이트 하세요.

클릭 한 번으로 사내 증명서 발급하기

한국어 텍스트와 화살표가있는 문서

요약: 재직 증명서 같은 각종 사내 증명서를 발급하는 것은 매번 반복되는 업무입니다. 달달한 님은 증명서 발급을 담당하는 직원이 매번 각종 정보를 복사하고, 타이핑하는 것을 보고는 클릭 한 번으로 사내 증명서를 발급할 수 있게 자동화해냈습니다.

단계별 방법:

  1. 사내 증명서를 발급할 팀원의 정보를 구글 시트에 작성합니다. 그리고 사내 증명서 양식을 구글 닥스로 만듭니다.

  2. 챗GPT에게 구글 시트와 구글 닥스의 문서 ID를 주고, 구글 시트에 있는 내용으로 구글 닥스의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는 구글 앱스크립트 코드를 부탁합니다.

  3. 구글 앱스크립트 코드를 작동시켜 클릭할 때 마다 사내 증명서를 발급할 수 있도록 자동화했습니다.

흥미로운 점: 사내 증명서 발급을 할 때 마다 담당자에게 부탁하는 것은 부담스러운 일이었습니다. 이걸 모두가 할 수 있게 클릭 한 번으로 자동화하여, 매번 반복되는 업무를 자동화한 부분이 흥미로웠습니다.

프롬프트:

앱스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아래 작성된 구글 독스와 시트에서 데이터를 입력받아 pdf를 구글 드라이브에 저장하는 자동화를 만들거야

아래 내용을 반영하여 앱스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해줘

구글 독스 1v-YXJ0R----------------KrH61xKs
구글 시트 1QFNF-------------------oELQnQ

구글 시트의 a열에서 체크박스에 체크가 입력되면 시트 행에 해당하는 내용을 구글 독스에 반영하여 pdf로 저장되도록 트리거 설정해줘

구글 독스에는 이름, 생년월일은 표에 입력하고
소속란에는 사업부와 부서를 입력
직급, 입사일자, 제출처를 그대로 입력하고
증명서 하단 날짜는 파일 작성날짜를 입력해줘.

사례 따라해 보기 →


키워드만 입력하면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아 뉴스레터 작성

요약: 만들고 싶은 콘텐츠 관련 키워드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뉴스 콘텐츠를 찾아 클로드 AI로 요약하여 뉴스레터를 만드는 사례를 노코드 자동화 툴 Make를 이용해 이모카님이 자동화하셨습니다.

단계별 방법:

  1. 노션 DB에 뉴스를 찾을 때 쓸 프롬프트와 뉴스를 정리할 때 쓸 프롬프트를 작성합니다.

  2. 설문조사를 받을 수 있는 툴인 Tally에서 키워드를 입력하면 키워드를 퍼플렉시티가 관련 뉴스를 검색합니다. 이때 노션DB에 있는 프롬프트로 검색하게 됩니다.

  3. 클로드가 퍼플렉시티가 검색한 결과물을, 노션 DB에 작성한 프롬프트를 이용해 정리하여 뉴스레터 형태로 만듭니다.

  4. 클로드가 정리한 뉴스레터를 노션 DB에 정리합니다.

흥미로운 점: 노션DB에 프롬프트를 미리 작성해두어서 퍼플렉시티나 클로드의 프롬프트를 관리하기 쉽게 한 지점이 흥미로웠습니다. 자동화 툴인 Make에서 직접 프롬프트를 수정하는 것 보다 노션에서 관리하는 것이 훨씬 간편하기 때문입니다.

사례 따라해 보기 →


고양이의 행동, 품종을 분석하는 앱을 스트림릿으로 만들기

요약: 김병철님은 고양이 사진을 분석해 어떻게 하면 더 고양이의 행복도를 높일 수 있을지 알려주는 앱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그래서 우선은 고양이의 사진만 입력하면 고양이의 행동을 분석하고 품종이나 털 색 등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스트림릿으로 만들어 내셨습니다.

단계별 방법:

  1. Gemini 2.0 모델에 고양이 사진을 넣고, 고양이의 정보를 잘 파악하는지 확인했습니다. (잘 확인했습니다!)

  2. 커서를 이용해 빠르게 배포할 수 있는 스트림릿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이때 제미나이를 통해 이미지 분석을 하게 했고, 정해진 형태(JsonSchema)로 답변하게 하여 코드에서도 답변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했습니다.

  3. 스트림릿을 통해 무료로 배포하여 고양이의 행동, 털 색, 품종, 나이를 분석해주는 서비스를 손쉽게 만들었습니다!

흥미로운 점: 고양이의 행복도를 높이는 앱을 만들기 위해, 더 간단한 고양이 분석 앱 부터 만든다는 지점이 좋았습니다. 스타트업의 성공 방정식인 린스타트업을 보는 느낌이었습니다!

사례 따라해 보기 →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