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까지 노션을 메모장을 쓰실 거에요?? 클로드+MCP랑 신나게 써봐요

소개

노션은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아름다운 디자인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간단한 메모부터 복잡한 대시보드까지 만들 수 있죠. 그러나 막상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본격적으로 활용하려고 하면, 직접 테이블을 만들고 컬럼을 세팅하는 작업이 꽤 번거롭습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려면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죠.

이 과정을 조금 더 간편하게 할 방법은 없을까 고민하다가, MCP라는 도구를 알게 되었습니다. MCP를 활용하면 노션 API를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설정은 간단하지만, 결과물은 강력합니다.

진행방법

사용전에 몇가지 설정이 필요합니다.

노션은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설정해야합니다. API를 생성해주는 것인데요. 생성한 API를 내가 접근할 노션페이지에 연결을 해줘야 합니다.

클로드는 MCP관련 설정을 해야합니다.

사용한 도구

Notion

작업 공간과 대시보드를 관리하는 메인 플랫폼입니다.

한국 캐릭터가있는 캘린더

Claude

AI 비서 역할로 MCP 세팅과 데이터 입력을 보조합니다.

한국어는 화면에 표시됩니다

MCP

노션과 클로드를 연결해주는 고마운 존재

과정 상세

노션 API 설정

노션 설정 메뉴에서 외부 접근을 허용하는 "Integration"을 생성합니다.

https://www.notion.so/profile/integrations

로그인을 하시면(이미 로그인이 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올거에요.

이걸 사용하면, 노션페이지와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에게 접근할 수 있다고 합니다.
맞아요. 노션을 외부에서 접근하려면 이 설정을 꼭 해야합니다.
어렵냐구요? 에이 설마요?

새로운 연결 클릭

흰색 배경에 새로운 통합 이미지

연결 등록

통합 이름을 추가하십시오
  1. 연결 이름 짓기

  2. 워크스페이스 선택

  3. type은 혼자 사용할 거니까 internal로 external은 세팅이 복잡

  4. 아이콘 이미지, 필수는 아님

  5. 저장.

통합 스크린 샷이 성공적으로 생성되었습니다

  1. 로고 업로드 하실 분은 하시라.

  2. 전 단계에서 지은 연결(integration) 이름

  3. 설정인데,

  4. 제일 중요한 Key(열쇠)가 숨겨져있습니다. -> 이 키를 MCP세팅할 때 알려줘야 합니다.
    그래야 MCP가 이 Key를 들고, 노션페이지에 열고 들어올 수 있어요. 그리고, Key니까 당연히 아무한테나 주면 안되겠죠? API라는 형태로 연결할 때는 대부분이 이런 Key가 있습니다.
    나중에 이 페이지에 오면 키는 언제든지 복사할 수 있습니다.

  5. 이 연결에서 접근을 허용할 범위를 설정합니다.
    컨텐츠를 읽고, 업데이트하고, 등록할 권한을 설정합니다.

이제 이 연결과 연결할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MCPE- 스크린 샷 썸네일

1번에 표시한 메뉴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메뉴가 나옵니다.

Mac OS X -MCP -MCP -MCP -MCP

1번을 누르면 나오는 메뉴에서

2번 선택하고, 좀전에 만든 GPTERS라는 연결을 선택하시면

GPR은 이것에 액세스 할 것이며 모든 어린이 페이지가 계속 되나요?

빨간색 버튼을 누르면 노션페이지에 API연결하는 설정은 끝입니다.

처음하시는 분들은 한 3번쯤 해보시면 익숙해집니다. 꼭 3번은 해보세요.

연결 잘 되었는 지 확인하는 법

이렇게 뜨면 연결성공!!

클로드에 노션 MCP연결하기

클로드데스크탑을 설치합니다. 웹에서 접속하시면 안되고, 데스크탑앱을 설치하셔야합니다.

핵심은 클로드의 MCP관련 설정파일에 노션MCP 코드를 입력하는 거에요.

클로드데스크탑의 설정에 들어갑니다. 단축키로 맥은 cmd+, 윈도우는 ctrl+, 를 사용하세요.

1번누르고 나오는 화면에서 2번을 누르면 클로드의 MCP설정파일의 경로를 알려줄 거에요.
그 파일을 메모장이나 vscode, 커서 같은 편집기로 파일을 엽니다.

윈드서프로 파일을 연 모습

노션MCP 링크

여러개의 MCP서버가 있는 데, 저는 이걸 이용했습니다.

https://github.com/makenotion/notion-mcp-server

MCP 연결 코드

{
  "mcpServers": {
    "notionApi": {
      "command": "npx",
      "args": ["-y", "@notionhq/notion-mcp-server"],
      "env": {
        "OPENAPI_MCP_HEADERS": "{\"Authorization\": \"Bearer ntn_****\", \"Notion-Version\": \"2022-06-28\" }"
      }
    }
  }
}
```

여기서 개인화 작업을 해야합니다. ntn_**** 부분을 노션에서 만들었던 API키를 넣어주셔야 해요.
그래야 노션이 문열어줍니다.

이렇게 파일을 저장하고,

클로드데스크탑을 완전히 닫았다가, 새로 열어줍니다.

그럼,

안보이던 메뉴가 생겼습니다. 이렇게 되면, 클로드에서 노션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자, 이제 준비완료..

잘 따라오셨나요?

노션에서 중요한 개념 하나..

노션id 라는 게 있어요. 그걸 잘 알고 있으면 클로드와 대화가 쉽습니다.
안그러면 막 싸웁니다. (왜 안되냐? 다시 확인해보겠다. 그것도 모르냐? 등등)

클로드 헷깔리지않게 정확하게 얘기해주는 게 좋습니다.

노션페이지 영문이 들어가면 notion.so/ 다음에 그 영문이 나오고 '-'(대쉬) 뒤에 16진수 32자리로 구성된 복잡한 숫자가 나옵니다. 이걸 UUID이라고 하는 데요. 이게 노션id 입니다.

클로드에 이걸 주면 제일 잘 알아듣습니다.
근데, 그냥 url을 복사해서 알려줘도 잘 알아들어요. 어차피 구조를 알고 있으니까요.

이제 클로드에게 노션관련 질문을 해보겠습니다.

  • 연결된 노션페이지의 id와 내용을 확인해주세요. 한글로 답변해주세요.

도구중에서 페이지 내용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걸 꺼냈네요. 2번버튼을 눌러서 이 도구를 사용하는 걸 승인해주셔야 합니다.

아주 정확한 정보를 가져왔습니다.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보겠습니다. 노션에서 데이테베이스를 활용하면 너무 좋지만, 그 속성(스키마) 등을 만드는 게 여간 힘든게 아니에요. 클로드에게 부탁해보겠습니다.

이 대화에 허용을 누르면!!!

항목의 타입을 결정하는 것도 시간이 걸리는 작업인데, 바로 만들어주었습니다.

좀 길지만, 영상을 보시면 어떻게 활용하는 지 알 수 있어요.

보충 설명

기존 방식은 노션 안에서 직접 테이블을 생성하고 필드를 하나씩 추가해야 했습니다.

MCP를 활용하면 API 기반으로 빠르게 테이블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

Claude를 함께 사용하면 반복 작업을 줄이고, 창의적인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도와줍니다.

연결은 예상보다 쉬웠다

노션 API 설정과 MCP 연결은 10~15분이면 충분했습니다.

활용은 기대 이상이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손쉽게 구축할 수 있었고, 반복 작업 없이 템플릿처럼 빠르게 다양한 대시보드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노션의 활용도가 확실히 높아졌다

메모 수준을 넘어 프로젝트 관리, 일정 관리, 리소스 트래킹까지 확장할 수 있었습니다.

노션활용이 궁금하시면, 노션스터디 놀러오세요.
이모카 님과 16기스터디운영합니다.

https://www.gpters.org/ai-study-list/post/notion-automation-UYDTZaJYFHN7ewd

클로드의 설정파일을 쉽게 관리하려면?

https://www.gpters.org/nocode/post/lets-easily-manage-mcp-7ob33QVABhDw2DT

함께 성장하고 싶다면?

노션을 진짜 '노션답게' 쓰고 싶다면, 혼자 고민하지 마세요. 🚀 GPTers 스터디에서는 이런 실전 경험을 함께 나누고, 직접 해보면서 배우고 있습니다. MCP와 Claude처럼 새로운 도구를 실험하고, 더 좋은 워크플로우를 함께 찾아가고 있어요.

👉 지금 바로 GPTers 스터디에 합류하세요!

더 나은 도구 사용법을 함께 고민하고, 성장하는 팀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MCP와 함께, 지피터스와 함께! ❤️

9
6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