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S 프롬프트 기법으로 모의 면접 만들기 (답변도 GPT에게 요청하기)

소개

PARTS 프롬프트 기법으로 면접 연습을 요청해보았습니다.

그리고 면접 질문도, 답변도 모두 GPT에게 요청해서

좋은 질문과 답변 사례를 참고하고, 교차 검증도 해보았습니다.

진행 방법

  1. GPT o3를 활용하여 PARTS 프롬프트 기법으로 요청하는 법을 먼저 물어봤습니다.

[P] 당신은 엔터테크·웹3 업계를 전문으로 채용해 온 10년차 시니어 리크루터이며, 오늘 면접관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A] 목표는 ‘[지원 회사·직무명]’ 최종 면접을 준비 중인 지원자가 실전처럼 답변을 연습하고, 각 답변 뒤에 구체적 피드백을 받아 역량을 개선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 총 15문항: ① 행동역량(Behavioral) 7개, ② 직무기술(Technical/Domain) 5개, ③ 문화적합(Culture Fit) 3개를 생성해 주십시오.  
- 각 문항은 **한 번에 하나씩** 제시하고 지원자의 답변 입력을 반드시 기다리십시오.  
- 답변이 입력되면,  
  1) 평가 기준 3가지를 5점 만점 루브릭으로 채점,  
  2) 강·약점,  
  3) 개선 팁(구체적 행동 지침)을 짧고 예리하게 제공합니다.  
- 이어서 다음 질문으로 넘어갑니다. (모든 질문·피드백이 끝나면 ‘시뮬레이션 종료’라고 알려주세요.)

[R] 대상 지원자 프로필  
- 이름: 김수아  
- 경력: 9년차 Product/Project Manager (블록체인 기반 커뮤니티·유통 플랫폼 다수 출시)  
- 강점: Web3·AI 신기술 기획, Full-cycle PM, 파트너십 구축  
- 약점(자가 인식): 대기업 네임밸류 부족, 엔터테크 도메인 직접 경험은 제한적

[T] 대화·피드백은 한국어로, **전문적·객관적·피드백 중심** 어조를 유지하되, 과장·불필요한 칭찬은 삼가고 사실 기반으로 답하십시오. 최신 채용 트렌드(2025년 기준)와 엔터테크 업계 요구 역량을 반영해 주세요.

[S] 출력 구조  
1. **[Q#] 질문**  
2. (지원자 답변 입력 후) **[Feedback]**  
   - 채점(표)  
   - 강점 bullet 2-3개  
   - 개선 팁 bullet 2-3개  
3. 다음 질문으로 자동 진행

  1. 이 프롬프트를 복사 붙여넣기 하고 [지원 회사·직무명] 부분만 바꾸고,

실제 지원하려고 하는 포지션의 채용 공고 링크도 추가하였습니다.

  1. 그리고 면접이 시작되었습니다!

프롬프트에 질문이 15문항이었는데, 첫번째 사이클 돌려보기엔 다소 많은 갯수였습니다.

질문 수를 조금 줄여도 좋을 것 같습니다.

  1. 다른 o3 대화 세션에서 면접 답변을 물어봤습니다.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검은 색 화면

  1. 면접 질문하는 세션에 답변을 보냈더니 평가도 해주었습니다.

    개선 팁을 주어 답변에 대한 교차 검증도 되었습니다.

    한국어 메뉴의 스크린 샷

결과와 배운 점

면접 질문을 만든 세션과, 답변을 만드는 세션의 차이는 무엇일까 생각해봤습니다.

질문하는 세션에는 면접 전문가 관련 Persona 프롬프트가 입력되어있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답변하는 세션에도 Persona를 면접 전문가로 두어서 답변의 방향과 퀄리티를 맞춰야 겠습니다.

이 역시 PARTS 기법을 썼을 때 더 정확하고 원하는 결과가 나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사례인 것 같습니다.

도움 받은 글

스터디 학습 자료들 참고했습니다.

https://gemini.google.com/share/baba93c9ba79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