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rok 무료 고정url 로 https 웹훅 문제 해결 - n8n 셀프호스팅 설치 뚝딱 (맥북, 도커)에 이어

소개

https://www.gpters.org/nocode/post/n8n-self-hosting-installation-kx1aAiTYQL45ZPs

위와 같이 n8n을 셀프호스팅으로 다른 서비스들을 연결해보면 텔레그램처럼 localhost:// 로 된 웹훅 url을 안받아주고 https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네요. 그래서 이전 n8n셀프호스팅 에 더해 ngrok설정을 했습니다.

ngrok에서 재실행해도 변함없는 고정도메인을 하나 무료제공해주니 감사하게 활용해봅니다. (더 많이 쓰거나 이름을 직접 선택하려면 유료가입이 필요)

그리고 이미 n8n을 띄운 다음에 웹훅url 설정을 바꾸는 게 잘 안되서 도커데스크탑에서 처음 실행시킬 때 설정하는 방법으로 했습니다.

진행 방법

part1. ngrok 설정 및 고정 도메인 받기

  1. https://ngrok.com/ 가서 회원 가입 및 로그인

  2. 좌측 패널에서 Setup & Installation 로 가서

    Ngrok 설정 및 설치 페이지의 스크린 샷
  3. 자신의 OS(Agents라고 씌어있음) 를 상단 Welcome 우측에서 선택해주면 연결하는 방법이 나옴

    MacOS 앱 페이지의 스크린 샷

  4. 자신의 인증토큰까지 반영된 코드로 Install 하고

    brew install ngrok
    ngrok config add-authtoken [각자의 인증키]

  5. 다시 좌측패널의 Univeral Gateway > Domains 로 가서

    도메인 설정 페이지의 스크린 샷

    Domains 창의 New Domain 버튼을 눌러 고정도메인 (*.ngrok-free.app) 생성

    새로운 도메인을 보여주는 페이지의 스크린 샷
  6. 터미널 창에 <Ngrok URL> 을 자신의 url로 바꿔 아래 실행하면 http://localhost:5678  가 <Ngrok URL>로 포워딩되어 연결됨.

ngrok http --url=<Ngrok URL>  5678

part2. 도커 및 n8n 실행

  1. https://github.com/n8n-io/n8n 에 있는 그대로 하되,

    Google 검색 페이지의 스크린 샷
  2. 도커가 없으니 도커부터 macOS에 설치

    Mac OS에 Docker 설치 지침

    맥북에 도커설치하는건 금방 뚝닥.

  3. 도커 설치후, 상단창에서 n8n검색해 나온 결과 중 최상단의 이미지를 Run

  4. 이때 다음에 뜨는 창에서 Optional settings 토글을 열어 추가설정이 필요

  5. 아래와 같이 설정값을 넣어 실행: EDITOR_BASE_URL와 WEBHOOK_URL의 Value, <Ngrok URL> 자리에 위에서 만든 자신의 고정도메인 url (*.ngrok-free.app) 로 대체해서 입력.

    슬랙 설정 페이지의 스크린 샷
  6. 아래 같이 도커 데스크탑에 컨테이너가 설치 실행되고 브라우저에서 자신의 고정도메인 url (*.ngrok-free.app)을 넣으면 n8n서버가 뜹니다.

Adwords 대시 보드의 스크린 샷

도움 받은 글 (옵션)

https://cord-ai.tistory.com/193

4
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