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지피터스 스터디 커뮤니티에서 진행된 에듀테크 AI 스터디 사례들을 분석하고 정리한 보고서를 만들어 보고 싶다는 생각에 시작했습니다.
스터디장으로서 지피터스 에듀테크 AI 스터디의 여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 10기부터 시작해 현재 16기까지 이어진 스터디는 인간적인 교류와 기술의 나눔으로 혁신적인 교육 방식을 실험해온 놀라운 과정이었습니다. 특히 여러 도구와 AI 기술을 기반으로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며, 매 기수마다 실험과 학습이 이루어졌습니다. 이 글은 16기 스터디원들에게 영감을 주고, 함께 성장하는 문화를 이어가고자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
에듀테크 AI 스터디 참여자들은 단순히 도구를 배우는 것을 넘어서, AI 기술을 교육 및 업무 현장에 실제로 적용하고자 했습니다. 이들은
수업 자료 제작, 행정 자동화, 학생 피드백, 개인 브랜딩 등 다양한 필요 해결
학습 내용을 정리 및 공유하며 내면화
반복적 작업을 AI로 자동화해 효율성 향상
시행착오와 문제 해결 경험을 통해 공동 학습 문화 형성
이라는 목적을 갖고 사례를 작성하고 공유했습니다.
진행 방법
Gemini Deep Research와 NotebookLM을 활용해 다수의 사례 글을 분석하고 핵심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그 다음 개발자 F의 사례게시글 GPTs에 요약시켰어요.
총 사례글은 10기 이전 스터디장 사례글 총 8개(2명의 스터디장 각각 4개씩)과 12기 30개, 13기 32개, 15기 30개 총 100개의 사례글로 분석했습니다.
Gemini Deep Research: 사례들에서 반복되는 패턴, 사용 도구 유형, 프롬프트 유형 등을 비교 분석.
NotebookLM: 정리된 텍스트를 항목별로 구조화하고 문서화.
사용한 프롬프트
내가 하고 싶은 것은 1) 이렇게 지피터스에서 스터디원으로서 스터디장이 되기 전에도 참여해서 열심히 공부하고 사례게시글을 올렸다는 점,2) 에듀테크 AI 스터디가 생긴 이후에도 스터디원들도 다양한 내용의 스터디 게시글을 올리고 있는데 이 부분은 앞 스터디장의 사례보다 좀 더 자세히 분석해주길 바래.
3) 그리고 현재 16기 시작하는 스터디원들에게 열심히 사례글도 작성하면서 참여해서 좋은 성과를 내기를 바라는 마음의 내용을
다음과 같은 지피터스 사례글 형식에 맡게 보고서를 작성하고 싶으니 내용을 잘 작성해주길 바래
<사례 게시글에 나온 대표 활용 도구별 예시>
콘텐츠 제작: Magic School AI, Gamma, Canva → 수업자료 디자인 및 시각화
문제 생성: Brisk, Diffit, Questionwell → 텍스트/URL/영상 기반 퀴즈 생성
자동화: Google Apps Script, Appsheet → 수강생 관리, 설문 분석, 증명서 발급 자동화
음성/영상 제작: Typecast, Tooning → 강의 영상 및 만화 콘텐츠 제작
실시간 상호작용: Mentimeter, Quizizz, paddlet → 수업 내 피드백 및 참여 유도
개인 브랜딩: Litt.ly, Manychat → 링크 모음 페이지, DM 자동화 등
튜토리얼 : Iorad, guidde → 지침 및 안내
결과와 배운 점
스터디 발전 과정 분석 --- 개발자F의 사례게시글 GPTS 요약내용
저희 스터디는 초창기 단순한 AI 도구 활용에서 시작하여 점차 복합적이고 창의적인 콘텐츠 제작으로 영역을 확장해왔습니다. 각 기수별 주요 특징과 발전 사항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초기 (4-7기): 기본 도구 탐색기
캔바 활용 교육 영상 제작: 교육 콘텐츠 디자인의 기본을 다졌습니다
타투북(타입캐스트+투닝+북크리에이터): 만화책과 영상을 동시에 제작하는 효율적 방법 론 개발
온라인 포스트잇(패들렛): 협업 도구를 활용한 맞춤형 건강교육 방법 모색
파일명 자동화: 작업 효율성 증대를 위한 프로세스 개선 시도
중기 (8-11기): 도구 연계와 활용법 심화
마인드맵 분석 기법: 콘텐츠 기획 단계에서의 체계적 접근법 개발
Guidde를 활용한 교육 콘텐츠: 튜토리얼 제작 방법론 발전
리틀리를 활용한 브랜드 프로필: 교육자 브랜딩 전략 구축
패들렛의 AI 기능 활용: 교육용 콘텐츠 제작 과정의 효율화
최근 (12-15기): 복합적 활용과 혁신적 접근
12기부터 15기까지의 사례들은 이전 기수의 경험을 바탕으로 더욱 다양하고 창의적인 접근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2기 (30개 사례): AI 기반 콘텐츠 제작의 다양한 실험과 검증
13기 (32개 사례): 교육 현장 특화형 AI 활용 사례 확장
15기 (30개 사례): 최신 AI 도구의 교육적 활용 심화 및 노하우 공유
배운 점과 나만의 꿀팁
반복 작업 자동화로 시간 절약 효과 큼
AI로 수업자료 퀄리티 향상 가능
실시간 피드백 및 튜터링으로 학생 참여도 증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중요성 인식 → 원하는 결과 도출에 핵심
다양한 도구를 조합하면 고도화된 워크플로우 가능
꾸준한 실천과 공유가 실력 향상의 핵심
도움 받은 글 (옵션)
파일명 자동화는 later. 캔바로 상장 자동화는 now
[스터디 5기] AI 활용한 교육영상제작 세가지- 캔바는 무조건
타투북(타입캐스트+투닝+북크리에이터)으로 만화책과 만화 영상 만들어 일석이조 효과 내기
온라인 포스트잇 패들렛 AI를 이용한 나만의 건강교육
—-------------------------------------------------------------------
[7기 노코드B] guidde로 첫 스터디 사례 도전
[7기 노코드 B] 리틀리로 나의 브랜드 프로필 만들기
[8기 스타트업 실험실]마인드 맵으로 분석하는 My things
12기(30개), 13기(32개), 15기(30개) 에듀테크 AI 스터디글 9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