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잔치
꽃잔치
📹 SNS 찐친
📚 연구 찐친

[3주차] 60초 포트폴리오 서비스 TALO 사업 파트너 구하기 (2024.04.08 ver.)

소개

2주차 때 태현님이 피드백으로

"파트너를 구해보시면 어때요?"

라는 말을 하셔서!

"너 나의 파트너.... 되주세요"

https://cdn.maily.so/0klftfib5to6uf8i0e3obxtdi25z

진행 방법

챗지피티 4.5로 딥리서치 프롬프트를 만들고

딥리서치를 돌렸음(국내만 나와서 해외까지 두번 돌림... 하)

혹시나 파트너 구하시는 분이 있을까, 기본 프롬프트로 만들고, 각자의 내용 넣을 수 있게 함.

  1. 새 창에서 새로운 마음으로 시작합니다.

    난 너에게 아무 정보도 주지 않고, 딥리서치로만 받은 보고서 2개를 줄거야. 이 문건에 대해서 아주 세세하고 구체적으로 사업을 평가하고, 향후 목표에 맞는 내용을 설계해줘. 여기서 너의 역할은 너가 정해! 그리고 너의 역할에서 나온 생각과 가치관을 꼭 코멘트로 줘. 나는 정확한 정보만이 필요해. 네가 생산해낸 정보는 주지말아주기 바래. 이 작업의 목표는 "최고의 사업파트너(사업/역할/역량/사람)을 구하는 것"이야. 그래서 너랑 파트너를 찾기 위한 딥리서치 프롬프트를 만들고, 최종적으로 그 과정(설계)를 만들거야! 최종 목적은 사업계획서 만들기와, 파트너 구하기!  

그동안 만든 딥리서치 결과 2개 공유

내 지피티가 스스로를 전략기획자로 설정함!

대만의 한국 대사관이라는 문서
  • 답변이 처음부터 모든 것을 다 하려고 해서, 나는 대화를 통해 프롬프트를 완성하고 싶다고 함.

음. 아직은 프롬프트를 신뢰할 수 없어. 더 많은 대화를 나누고 만들었으면 해. 그렇다면 네가 보는 나의 역할은 뭐야? 나에 대한 정보가 더 필요하다면 주겠지만, 나는 전략기획자(CSO)가 문서로만 본 내가 어떻게 읽히는지 알고 싶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인 한국인 한국인

쏘 스윗 💝 이지만, 너무 이상적으로만 씀...

다만 질문이 너무 좋았음.

한국어는 화면에 표시됩니다

-> 답변을 공개할 수는 없지만, 되게 솔직하게 썼어요. 질병, 습관, 욕망 등등 ㅋㅋㅋ

사업이 곧 삶의 일부분이자 연장이 될 것이라.. 그래서 전략기획자의 평가가

중국 중국 중국 중국 중국 중국 중국 중국 치
  1. 자 이제 현실적인 최고의 파트너를 찾기 위한 구체적인 딥리서치 프롬프트 설계하기

    근데 너무 일반적으로 해서.... F력 발동

글쎄, 내가 생각한 딥리서치 프롬프트는 아니네. 난 후보군 리스트를 찾는게 아니라 찾는 방법까지 궁금했어. 나한테 어떤 설계된 미션을 찾아주길 바랬지. 
물론 너의 생각이 있겠지? 다 수용할 수 있어. 다만, 
1. 딥리서치 프롬프트는 이 사업에 맞춰져서 설계되어야해. 
2. 실질적으로 어디서 어떤 방식으로 구해야 하는지, 
예를 들어 구인광고? 혹은 네트워킹? 커피챗? 이런 것 구체적으로 알려줄 수 있도록 프롬프트에 넣어줘. 
3. 그저 구인을 하는 것이 아니야. 나는 이 사업(TALO)에 좋은 짝을 찾아주고 싶은 거야. 이건, 그냥 사람을 고용하는 것이 아니라 '파트너'를 찾고 싶어. 

이런 내용이 반영이 된거야? 아니면 딥리서치에 프롬프트를 넣을 때 정보를 따로 줘야 하는거야? 딥리서치에 넣을 수 있는 프롬프트를 그대로 작성해주면 좋겠어. 다시 확인해주고 코멘트 부탁해! 

그 다음 나온 거는 너무 TALO 사업 중심이라서 기본 프롬프트로 요청! (파트너 구하기 기본 프롬프트를 만들고 싶었었기 때문에!)

응 고마워. 다만 이 프롬프트가 가장 기본인거야? 혹은 나에게 맞춰진 커스텀 프롬프트야?? 난 다른 사업에서도 쓸 수 있는 프롬프트면 좋겠어. 다른 사업을 하는 내 친구들도 있거든. 그들에게도 공유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프롬프트를 하나 공유하고 싶어.  
다만 사업 내용과, 나의 성향이나 바라는 조건은 각자의 사정에 따라 넣어야겠지? 그 부분은 따로 표시해주고 (물론 나의 프롬프트는 네가 작성한거니까 그냥 넣어주고!)  그렇게 다시 작성해줄 수 있어?  
아 그리고 마지막에는 꼭 요약본을 넣어주고!
후보군 리스트도 한 부분 나오면 좋겠어! 어때? 

그래서 '기본프롬프트'와 '커스텀프롬프트'(내 사업계획서 내용 넣어서) 줬음.

당신은 TALO라는 사업을 진행하는 창업자이다.
TALO는 시니어(특히 원로 예술인)의 인생 이야기를 인터뷰(60~90분)하여, AI와 인간의 협업을 통해 따뜻하고 감성적인 스토리텔링 기반의 디지털 포트폴리오를 제작하는 서비스이다. 장기적으로 개인의 이야기를 디지털 아카이브화하여 문화적,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며 수익화할 계획이다.

현재 사업 초기 단계에서 당신에게는 다음과 같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 기술적 역량 부족 (AI, 디지털 자동화 기술 등)
- 초기 자본 및 네트워크 부족 (초기 개발 인력, 자금)
- 시장성 미검증 상태 (시니어 시장 반응 확인 필요)
- 사업자의 멘탈 취약성 및 정서적 지원 필요

TALO 사업에 최적화된 사업 파트너를 찾기 위한 현실적인 전략과 방법을 설계하라.

다음 항목을 모두 포함하여 제안하라:

1️⃣ **이상적 파트너 조건 설계**
- AI 및 자동화 기술 보유, 디지털 플랫폼 구축 및 관리 역량
- 자본 및 초기 개발 인력 지원 가능성, 네트워크 활용 능력
- 온화한 리더십, 감정적 유연성 및 멘탈적 이해심 보유
- 능동적 업무 추진력, 명확한 역할 분담, 신속한 커뮤니케이션 가능

2️⃣ **파트너를 찾기 위한 현실적인 접근 방법**
- 스타트업 네트워킹 및 커뮤니티 활용 (스타트업 행사, 창업 지원기관 추천)
- 커피챗 활용법 (LinkedIn, CoffeeChat, Remember 플랫폼 등)
- 온라인 플랫폼 활용 (Wanted, 로켓펀치, 스타트업얼라이언스 등)

3️⃣ **구체적 액션 플랜 (단계별)**
- 초기 접촉 메시지 작성 예시 및 팔로우업 전략
- 네트워킹 행사 참가 일정 및 효과적 피칭 전략

4️⃣ **리스크 관리와 현실적 고려사항**
- 자본 부족 시 현실적 해결책 (기관 협력 및 지원금 신청 등)
- 멘탈 관리 위한 상호 역할분담 전략 제안
- 역할 갈등 방지를 위한 명확한 역할 정의와 계약 방법 제시

5️⃣ **추천 파트너 후보 리스트 (예시)**
- AI 기반 스토리텔링 기술을 보유한 국내 스타트업 (예: 업스테이지, 뤼튼테크놀로지스 등)
- 시니어 관련 비즈니스 성공 경험이 있는 창업팀 (예: 실버라이닝, 시소 등)
- 문화예술과 협력 경험 있는 기관 (예: 서울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등)

📌 **요약본**  
TALO 사업에 적합한 파트너는 AI기술, 초기 자원 지원, 온화한 리더십을 갖춘 팀 또는 기관으로, 스타트업 네트워킹, 커피챗 및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접근한다. 단계별 액션 플랜과 리스크 관리 전략을 통해 현실적으로 접근하며, 추천 파트너 후보는 기술력과 시니어 비즈니스 경험을 보유한 기업 및 기관이다.

  1. 딥리서치 돌려줘!

최종 결과

https://docs.google.com/document/d/1KXCo5DNEbRFcP3vv9B5xbOlsIXPRt6XBsN7h88vRXIE/edit?usp=sharing

  • 문제 발생 : 국내용으로만 해서.... (아니 기본적으로 해외까지 딥리서치 아닙니까? 왜그러지? 왜 자동으로 국내버전인가...) 지피티랑 싸움

한국어 문자 메시지의 스크린 샷
한국의 문자 메시지

한국 문자 메시지의 스크린 샷

하...... 🤦‍♀️

결과와 배운 점

-> 최근 챗지피티랑 대화 많이 하면서, 역할을 스스로 정하게 하고, 나한테 질문을 하게 해봤음.

-> 나에 대한 평가도 맡겼는데, 너무 이상적으로 그려놨음. 그래서 나는 그런 사람이 아니다라고 하니까 또 현실적이라고 칭찬함. 어쩌라는 건지...

-> 대신 챗지피티가 준 질문은 생각해볼만한 게 많았고, 조금만 솔직해지면 멘탈, 정신까지도 고려해줌. (딥리서치로 애인도 구할 듯 / 마치 배우자 기도 같은?)

-> 생각해보니까 이때까지 너무 내 사업에 대해서만 해서, 같이 공유할 수 있는 프롬프트가 아니었나봐요. 그래서 기본 프롬프트를 만들어달랬고, 커스텀할 수 있도록 했음.

-> 지금 딥리서치가 국내 버전만 해서 내 횟수 환불해달랬더니 수작업으로 2~3시간에 걸쳐서 자료 모아온대요 ㅋ 기본 프롬프트는 국내/해외 용 글로벌로 다시 작성한 것입니다!

(진짜 내 횟수 환불.......... 하 🤦‍♀️) 근데 얘도 하지 말래요 딥리서치 ㅋㅋㅋ

한국 문자 메시지의 스크린 샷

  • 암튼 이거 혹시 필요하시면 같이 쓰자고 기본 프롬프트로 만들었어요! (안하겠지만 ㅋ)

기본 프롬프트 공유


🌍 [글로벌 확장형] 공동창업자・사업 파트너 찾기 딥리서치 프롬프트 (최종 버전)

당신은 [사업의 이름]을(를) 진행하는 창업자이다.

[사업의 이름]은 [간략한 사업 설명, 서비스 내용, 대상 고객 등]을 통해  
[창출하고자 하는 가치와 목표]를 추구하는 사업이다.  

현재 사업 초기 단계에서 당신에게는 다음과 같은 현실적인 어려움과 리스크가 있다:

- [기술적 역량 부족 여부 및 구체적 설명 (예: AI 개발 인력이 없음, 자동화 구현 역량 부족 등)]  
- [초기 자본 및 자원 부족 여부 및 구체적 설명 (예: 초기 자금 부족, 네트워크 협력 부족 등)]  
- [시장성 및 고객 검증 여부 및 구체적 설명 (예: 타겟 고객군의 반응 미확인, 수익모델 불확실성 등)]  
- [멘탈 및 정서적 취약성 여부 및 구체적 설명 (예: 창업자의 고립감, 불안정성, 정서적 지지체계 부재 등)]  

이러한 상황에서 단순 고용이 아닌, 장기적으로 협력하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이상적인 사업 파트너(Co-founder 혹은 핵심 협업자)를 국내외에서 확보**해야 한다.

다음 항목을 포함하여, **이 사업의 성공을 위한 글로벌 공동창업자/파트너 확보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안하라.

---

### 1️⃣ **이상적 파트너 조건 설계**

- **기술적 조건**: (예: AI 자동화 기술, 디지털 플랫폼 개발 능력, 콘텐츠 생성 도구 등)  
- **자원 제공 조건**: (예: 팀 빌딩 능력, 초기 개발 인력 보유, 인프라 자산, 네트워크 등)  
- **성향 및 멘탈 조건**: (예: 감정적 유연성, 온화한 리더십, 창업자의 멘탈에 대한 이해심 등)  
- **업무 스타일 조건**: (예: 빠른 의사결정, 주도적 추진력, 업무 분담의 명확성, 신속한 커뮤니케이션 등)

---

### 2️⃣ **파트너를 찾기 위한 현실적인 접근 방법**

- 글로벌/로컬 환경을 모두 고려하여, 공동창업자 또는 파트너를 확보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접근 방식을 제안하라.  
- 예시 방법:  
  - 구인 공고 (예: 로켓펀치, Wanted, AngelList, CoFoundersLab 등)  
  - 스타트업 커뮤니티 활동 (예: D.CAMP, 스타트업얼라이언스, Techstars 등)  
  - 커피챗 네트워킹 (예: LinkedIn, Remember, Lunchclub 등)  
  - 오픈소스 기여/개발자 커뮤니티 접근 (예: GitHub, StackOverflow, Indie Hackers 등)  

- 각 방법별 **활용법, 장단점, 추천 플랫폼 및 커뮤니티**를 비교・정리하라.

---

### 3️⃣ **구체적 액션 플랜 (단계별)**

- 단계별 계획을 수립하고, 각 단계에 필요한  
  - 소요 시간  
  - 실행 절차  
  - 도구(예: Notion, Slack, Trello 등)  
  - 후보자 접근 메시지 예시  
  - 팔로우업 전략 등을 포함하라.  

- 최소 6~8주 단위로 분할된 **실행 타임라인**을 제시할 것.

---

### 4️⃣ **리스크 관리와 현실적 고려사항**

- 파트너 확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리스크를 나열하고,  
  각 리스크별 **구체적 대응 전략**을 제시하라.  

- 예:  
  - 부적절한 파트너 선택 → 테스트 협업 기간 + Vesting 조항  
  - 업무 분담 불균형 → 역할 명확화 문서화 + 정기 회고 시스템  
  - 멘탈 이슈 → 정서적 점검 루틴, 멘토링 체계, 커뮤니티 연계  
  - 문화적 차이 → 커뮤니케이션 룰 사전 합의 + 번역/시간대 고려한 툴 설정

---

### 5️⃣ **추천 파트너 후보 리스트 (예시)**

- 위 조건에 기반하여 실제로 제안 가능한 국내외 후보 리스트를 제시하라.  
- 최소 3개 이상의 **실제 기업/기관/플랫폼/인물**을 제안하며, 각 후보별 특징과 협업 가능성을 서술하라.  
- 가능하다면 기술/스토리/시장/기관 협력 등으로 분류할 것.

---

📌 **요약본 포함**  
위 항목을 요약하여 핵심 전략, 접근 방법, 기대효과를 한 페이지 이내로 정리할 것.

---


회고

-> 딥리서치를 해볼 수 있었다는 것 가장 큰 이득

-> 딥리서치가 만능이 아니고, 제한이 있다보니 더 신중하고, 그것을 위한 공을 들이는 과정에서도 많이 배운다는 점!

-> 앞으로 4월 24일까지 딥리서치 7회, 원로예술지원사업, 대사관 콜드메일(공연 펀딩), 연구사업, 부천풍물축제 외국인 프로그램 기획 등의 작업이 남아있는데 아주 잘 쓰기 위한 계획이 필요함!!!!

-> 그리고 TALO는 진짜 한번 해보려구요! "내 ㄷ도도독동 이 되주시겠어여!"

도움 받은 글 (옵션)

태현님의 글을 진작 읽었어야 했는뎁...

https://www.gpters.org/research/post/how-use-deep-research-bUOmbhetrvdBLjj

2
1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