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승현
박승현
🏅 AI 마스터
🔬 임팩트 찐친
🎨 미드저니 찐친

지난 기수에 만든 앱에 대한 사업 계획서와 투자 제안 프레젠테이션 만들기

소개

청강하면서 사례글을 써본 적은 없지만 스터디장 GPTaku님이 꼭 들어보라고 추천해주셔서 지난 영상을 보게 되었고 알려주신 내용이 정말 재밌어서 따라해보게 되었습니다.

https://www.gpters.org/health/post/vibe-coding-psychiatrist-creates-QEVIrRZWrDFxKHD

그냥 따라만 해보자는 생각이고 딱히 사업까지 구체적으로 생각해보진 않아서 그냥 지난 기수에 만들었던 앱을 토대로 따라해보았습니다.

진행 방법

순서는 이대로.

  1. 투자자 생각 흐름의 연습

    한국의 메시지 스크린 샷

    투자자가 어떤 생각을 하는지 연습하는 GPTs라니 정말 참신하신 거 같아요. 도메인이 다를 때 내 도메인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과 상대방의 도메인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다르면 대화가 답답하게 진행되는데 이렇게 미리 연습해두면 최소한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사업 계획서 Develop

    1)사업 계획서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검은 색 화면

    정말 지니였습니다. GPTs가 질문하는 것에 대해 답변하면서 따라가다보니 저절로 생각이 정리가 되고 구체화되었습니다.

    # 🧠 정신재활앱 사업계획서
    
    ## 1. 회사 개요
    - **사업명**: 정신재활앱
    - **설립년도**: 2025년
    - **자본금**: 5천만 원
    - **직원 수**: 1명 (대표 본인)
    - **위치**: 서울시 서초구
    - **대표자**: 정신과 전문의, 11년 경력
    
    ---
    
    ## 2. 사업 개요
    - **핵심 서비스**: AI 기반 정신재활 목표 설정 및 관리 SaaS
    - **기능 요약**:
      - 환자 초기 설문 기반 6개월 맞춤 목표 자동 생성
      - 월간/주간 단위 세부 목표 트래킹
      - 직급별 대시보드 제공 (담당자/관리자용 구분)
      - 기존 목표 아카이빙 → 재활 추천 기능
    
    ---
    
    ## 3. 문제 정의 & Value Proposition
    - **Unmet Needs**:
      - 수작업 재활 목표 설정의 업무 부담
      - 인지저하 환자의 상태 추적의 어려움
    - **가치 제안**:
      - 업무 시간 40% 절감
      - 목표 달성률 75% 이상 향상 기대
    - **캐치프레이즈**:
      > “정신재활, AI로 더 쉽고 정확하게!”
    
    ---
    
    ## 4. 타겟 고객
    - **주요 대상**: 정신과 낮병원 의료진 및 병원 관리자
    - **환자군**: 조현병, 양극성장애, 우울장애 등 만성 질환군
    - **페르소나**:
      - 정신과 전문의(병원장): 목표설정 자동화 니즈
      - 정신과 간호사: 대시보드 기반 환자 추적 니즈
    
    ---
    
    ## 5. 기술 스택 및 현황
    - **Backend**: n8n 워크플로우
    - **AI 엔진**: GPT-4.1 기반
    - **베타테스트**: 220명 환자 대상 실사용 중
    - **개발 상태**: MVP 완료, 주요 기능 모두 구현
    - **추후 개발 예정**: 백업, 보고서 자동화 기능 등
    
    ---
    
    ## 6. 비즈니스 모델
    - **구독형 SaaS 모델**
    - **요금 예시**:
      - 50명 이하: 월 15만 원
      - 100명 이하: 월 25만 원
    - **목표 영업이익률**: 30% 이상
    - **운영비**: 월 50만 원 이하 (클라우드+API)
    
    ---
    
    ## 7. 시장 분석
    - **글로벌 정신건강 디지털 솔루션 시장**:
      - 2024: $41억 → 2030: $86억 (CAGR 13%)
    - **AI 정신건강 시장**:
      - 2023: $9억 → 2033: $149억 (CAGR 24~32%)
    - **한국 시장 전망**:
      - 병원 대상 디지털 치료 솔루션 도입 증가
    
    ---
    
    ## 8. 경쟁 분석
    | 기업명         | 특징                           | 차별성 비교                           |
    |----------------|--------------------------------|----------------------------------------|
    | Lyra Health    | 보험 연계 B2C 상담 매칭         | 우리는 B2B 병원 맞춤 SaaS 모델        |
    | Mindstrong     | 스마트폰 기반 행동 예측         | 우리는 직접 목표 설정 기능 제공       |
    | 휴레이포지티브 | 국내 디지털 치료제 제공         | 우리는 정신과 재활 자동화에 특화됨    |
    
    ---
    
    ## 9. 로드맵
    
    | 시기        | 주요 목표                          |
    |-------------|------------------------------------|
    | 2025 Q2     | 베타테스트 완료                    |
    | 2025 Q3     | 정식 서비스 런칭                   |
    | 2025 Q4     | 보고서 자동화/백업 기능 개발 시작  |
    | 2026 Q1     | 병원 대상 확산/API 연동             |
    | 2027~       | 글로벌 진출/공공 연계/Exit 준비     |
    
    ---
    
    ## 10. 팀 & 역량
    
    ### 대표자
    - 정신과 전문의 (11년 경력)
    - 대동병원 근무 6년차
    - 학회 활동: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재활협회, 의료기관협회 이사 등
    - AI 기술 활용 역량 보유 (Claude, GPT 등)
    
    ### 외부 파트너
    - 사업 경험 풍부한 조언자 네트워크 보유
    
    ---
    
    ## 11. 재무계획 요약 (예상치)
    
    | 연도 | 매출    | 비용    | 순이익 | BEP |
    |------|--------|--------|--------|-----|
    | 2025 | 0원    | 500만 원 | -500만 원 | -   |
    | 2026 | 3천만 원 | 4천만 원 | -1천만 원 | -   |
    | 2027 | 1.5억 원 | 1.2억 원 | 3천만 원  | 달성 |
    | 2028 | 3억 원  | 2억 원  | 1억 원   | 유지 |
    | 2029 | 5억 원  | 3억 원  | 2억 원   | 성장 |
    
    ---
    
    ## 12. 투자 유치 계획
    - **현재까지 투입 자금**: 약 20만 원 (1인 개발)
    - **필요 투자금**: 약 500~1,000만 원 (서버/API 운영비)
    - **활용 용도**: 클라우드 운영비, API 비용, 향후 확장 시 고도화
    
    ---
    
    ## 13. 비전 및 Exit 전략
    - **단기 목표**: 전국 주요 정신과 병원 SaaS 도입
    - **중기 목표**: AI 정신재활의 디지털 표준화 달성
    - **장기 목표**: Exit 후, 도메인 전문성을 바탕으로 차기 창업 아이템 탐색
    
    ---
    
    ## 14. 기타 특이사항
    - **AI 트렌드 수혜 가능성**: 국책사업, 미디어, 공공기관 연계 확장 여지 多
    - **실사용 기반**: 이미 베타테스트 완료, 현장 수요 검증 단계

    2) 마케팅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검은 색 화면

    마케팅과 무관한 삶을 살아서 너무 급진적인 아이디어들이라는 느낌이 들었지만 신선하고 재밌었습니다. 무엇보다 마케팅 GPTs가 적어준 글을 읽다보면 스스로가 설득이 되서 '어?이거 진짜 되는 거 아냐?'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설득력이 있었습니다.

  3. Deep Research & 내용 풍부화(NotebookLM)

    어쩌다 구독료 내고 있는 것들이 많아서 o3, gemini, 퍼플렉시티, 스카이워크에게 딥리서치를 시켰습니다. 물론, 딥리서치 프롬프트도 ai에게 작성하게 시켜서요.

    MindPick AI 정신 건강 투자 - 스크린 샷

    딥리서치로 모은 자료들은 곱게 노트북LM에 넣어주고

    한국 문자 메시지의 스크린 샷

    젠스파크에게 전달할 프레젠테이션 구성을 부탁합니다.

  4. PPT develop

    한국어 텍스트가있는 웹 페이지의 스크린 샷

    젠스파크에게 그대로 넣고 만들어달라고 하면

    MindPlot

깔끔하게 완성되었습니다.

mindpilot_investment_pitch_20250715060045.pdf
3.05MB

결과와 배운 점

전혀 다른 영역에 대해서 어떤 식으로 일이 진행되는지 가볍게나마 엿볼 수 있었습니다. 언젠가 진짜 이 아이디어를 사업에 옮기게 되면 다시 돌아와서 더 꼼꼼하게 작성해보려 합니다.

도움 받은 글 (옵션)

Develiper , GPTaku 님 감사합니다.

7
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