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플을 이용해 사업계획서를 작성해 보자!

배경 및 목적

마인드 맵을 이용해 내용을 간략하게 구체화해 보았으면 실전으로 바로 넘어가야겠죠?!

  1. 정부지원사업 사업계획서를 직접 작성해보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보기

  2. 가상의 인물들로 사업계획서를 피드백/평가 받아보기

이렇게 두가지를 진행해 보겠습니다!

참고 자료

연진님의 이번주 사례 .!!

https://www.gpters.org/wealth/post/talk-judges-governmentsupported-projects-EdgES0xuuRsZqfc

활용 툴

  1. https://chat.openai.com/

  2. 클로드 https://claude.ai/

실행 과정

  1. 일단 양식을 찾아야겠죠! 일단 2023년도 예비창업패키지 예비창업자 모집 공고에서 필요한 양식을 줍줍합니다!

    1) 사업계획서 양식 2) 사업계획서 작성 가이드 3) 사업계획서 작성 예시

    [별첨 4-3] 예비창업패키지 예비창업자 사업계획서 작성예시(지식서비스분야).pdf
    987.86KB

    [별첨3] 창업사업화 지원사업 사업계획서 작성 가이드.pdf
    789.38KB

    https://ccei.creativekorea.or.kr/gyeongnam/allim/allim_view.do?div_code=1&no=12948

  2. 저는 아직 클로드 보다는 지피티가 익숙해서..! 일단 gpts를 만들어보려고해요! gpts를 만들기 위해 클로드에게 페르소나를 만들어 달라는 이상한 루트로 진행해 봅니다.

화면에 나오는 한국어 단어 목록

이렇게 간략하게 물어보니 간결하게 잘 이야기 해주었는데요! 저는 이것 보다는 정부지원사업에 초점을 두고 진행해 보았습니다!

추가 요구 사항 ) 정부지원사업과 관련된 전문가라서 국가에 이익이 되는지, 취약계층에 도움이 되는지 등 국가 지원사업을 위한 전문가로 재구성해줘
그리고 이 사업이 실현가능한지 현실성 검증도 필수고

그랬더니, 물어보지 않았던 1~7 중점이 되는 내용들도 뽑아주더라고요! 매우 만족!했습니다.

상세 페르소나를 더 추가한뒤 아래 내용을 지피티에 넣어보겠습니다!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한국어
  1. 만들다 보니 gpt와 클로드 모두 만들게 되었습니다. 아래와 같이 사업계획서 작성을 도와주는 페르소나로 구성하고 서로 의견을 검토하고 토론하도록 만들어 보았습니다. 너무 길어지는건 힘들것 같아서 5회로 피드백 내용을 제한했습니다.

    한국어와 중국어 텍스트가 포함된 페이지의 스크린샷
  2. 마인드 맵과 기존에 정리한 자료를 넣어 보았습니다!

    1)클로드는 잘 이해하고 사업 계획서 작성을 시작하네요! 하지만 성과 목표와 같은 부분은 하나하나 해봐야할것 같습니다! 1페이지 구성을 해달라고하니 아래와 같이 진행해 주었는데 하나하나 내용을 잘써줘서 목차를 기반으로 발전 시켜 나갈 수 있을것 같습니다.

    흰 종이에 적힌 한국어 단어 목록

    2) gpt는 줄글 형식으로 만들어 주었는데요. 사실 개요 페이지 이후에 상세 내용을 적는 부분이 있어서 이부분에는 gpt를 사용하고 앞에서는 클로드로 진행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한국어 페이지 스크린샷

  1. 가상의 인물들로 평가 받아보기.

    이렇게 뼈를 때리는 사업계획서 피드백..!! 추가해야할 점은 계속 물어보고 발전시켜야 겠습니다. 뭐든지 조금씩 해야한다는점..~! ^_^ 앞으로 피드백을 보고 개선해보겠습니다.

    한국어로 된 문자 메시지의 스크린샷
한국어 페이지 스크린샷

결과 및 인사이트

사실 이모카님이 만드신것처럼 각각의 페르소나가 토론하고 넘어가는것을 예상하고 만들었었는데.... 이미 완료된 내용만 볼수 있었습니다 ㅎㅎ..! 그리고 이렇게 각각 해보면서 정부지원사업에서 주요 요점으로 보는 부분들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는데요!

  1. 준비가 어느정도 되어 있어야 한다는점.!

    창업아이템 현황(준비정도)

    • 현황: 초기 단계에서는 주요 기능을 설계 및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으며, 일부 기업을 대상으로 베타 테스트를 진행 중입니다.

    • 준비 이력: 기존 인사 관리 시스템 및 데이터 분석 도구와의 통합을 위해 다양한 API와의 연동 테스트를 완료했습니다.

    • 현재 상황: 테스트 기업들로부터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고 있으며, 추가 기능 개발을 위해 준비 중입니다.

  2. 글로벌 시장 진출까지 생각해야하는 사업이어야 한다는점.

    초기에는 대기업을 타겟으로 하여 파일럿 프로젝트를 진행한 후, 중소기업으로 확장. 또한,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다국어 지원 및 현지화 작업을 추진.

  3. 대표자와 팀의 보유 역량

    10년 이상 경력의 전문가와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지고 있어야하며, 주요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을

  4. 외부 협력기관

    국내 대기업: 초기 데이터 수집 및 파일럿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주요 대기업과 협력 중.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TIPS 프로그램 등을 통해 초기 투자 및 멘토링을 제공

  5. 사회적 가치

    친환경 서버 인프라를 도입하고, 페이퍼리스(Paperless) 정책을 추진하여 환경 보호에 기여

    그리고 위 내용을 다시한번 검증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제가 찾지 못한 인사이트도 제공해달라고했는데요!

    준비 정도: 정확합니다. 초기 단계의 프로토타입과 베타 테스트는 매우 중요합니다. 추가로, 특허 출원이나 지적재산권 확보 계획도 언급하면 좋습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 좋은 접근입니다. 추가로, 글로벌 시장의 규제 환경 분석과 현지 파트너십 전략도 포함하면 좋습니다.

    대표자와 팀의 보유 역량: 맞습니다. 추가로, 팀원들의 다양성(기술, 비즈니스, 마케팅 등)과 이전 성공 사례도 언급하면 좋습니다.

    외부 협력기관: 잘 파악하셨습니다. 대학 연구소나 정부 기관과의 협력 계획도 추가하면 좋습니다.

    사회적 가치: 환경적 측면을 잘 고려하셨습니다. 추가로, 고용 창출 효과나 데이터 윤리 준수 계획도 언급하면 좋습니다.

추가 인사이트:

  1. 재무 계획의 구체성: 3-5년간의 상세한 재무 계획과 손익분기점 분석을 포함하면 좋습니다.

  2. 리스크 관리: 잠재적 위험요소 식별과 대응 전략을 제시하면 좋습니다.

  3. 기술의 혁신성: 기존 솔루션과의 차별점을 명확히 제시하고, 기술의 독창성을 강조하세요.

  4. 시장 검증: 목표 시장의 규모와 성장성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를 제시하면 좋습니다.

  5. 성과 측정 지표: KPI를 명확히 정의하고, 이를 측정할 방법을 제시하세요.

    이렇게 하나 더 알아가게 되었습니다 ㅎㅎㅎ..!

    그리고 gpt보다는 클로드가 더 대화하기 편하다..?라는것을 다시 알게되었네요. 의도를 더 잘 이해하는것 같아요.! 같은 질문이어도 gpt는 다시 처음으로 되돌아가는... 원론적인 녀석... ㅎㅎ이렇게 첫 단계를 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피드백이 정말 정확한것 같아요.! 다시 한번 깨닳았습니다.

2
5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