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욱영
김욱영
Moderator
🌿 뉴비 파트너

AI 아바타, 6시간 동안 바이두에서 100억 원 매출

지피터스 뉴스레터는 모두가 AI 발전 속도에 뒤처지지 않도록 커뮤니티의 가장 흥미로운 AI 활용법을 전합니다.

  • 챗GPT에서 회의 기록하기
  • 고객 요구사항이 들어오면 Make.com으로 고객 미팅 일정 생성하기
  • 노트북LM으로 유튜브 쇼츠 만들기
  • 설문 조사에 응답이 작성되면 이메일로 알려주는 Make.com 자동화

지피터스 뉴스레터를 구독해서 뉴스레터를 편지함에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지피터스 소식 (1/2)
AI 뉴스

AI 아바타, 6시간 동안 바이두에서 100억 원 매출

중국의 기업가 Luo Yonghao가 바이두의 라이브 스트리밍에서 AI 아바타가 제품을 판매하도록 만들었습니다. 6시간 동안 이루어진 스트리밍에서 AI 아바타는 100억 원($7M)의 매출을 냈으며, 1300만 명의 시청자를 확보했습니다. 100억 원의 매출은 Luo Yonghao가 진행했던 라이브 스트리밍 매출보다 높은 매출이라고 합니다. 실제 사람보다 AI가 더 높은 매출을 달성했다는 점에서 사례가 흥미롭습니다.

바이브 코더가 만든 스타트업이 Wix에 1100억 원에 인수

이스라엘의 AI 기반 스타트업 Base44가 웹사이트 제작 플랫폼 Wix에 1,100억 원에 인수되었습니다. Base44는 외부투자를 받지 않고 입소문 만으로 6개월 만에 25만 명의 사용자를 확보했으며, 창업자인 마오르 슐로모가 6개월 전 링크드인과 트위터에 바이브 코딩으로 진행한 개발 과정을 공유하며 바이럴되었습니다.

면접, 시험, 영업에서 속임수를 쓸 수 있는 Cluely가 a16z로 부터 200억 원 모금

면접과 시험, 영업 등에서 속임수를 쓸 수 있게 돕는 AI 스타트업 Cluely가 a16z로 부터 200억 원($15M)의 투자를 받았습니다. 또한, Cluely 내부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프롬프트가 유출되어 커뮤니티를 뜨겁게 달구었습니다.

1일 1 기본기

기본기: 챗GPT 데스크탑 앱에는 회의 녹화기능이 있습니다. 데스크탑 앱에 접속하여 우측 하단에 Record 버튼을 클릭하면 회의 내용을 기록해 챗GPT가 내용을 요약해줍니다. ($20 유료 플랜만 이용 가능)


단계별 방법:

  1. 챗GPT 데스크탑 앱을 다운로드합니다. (다운로드 링크)
  2. 데스크탑 앱을 키고, 우측 하단에 Record 버튼을 클릭한 후 회의를 진행합니다.
  3. 회의가 끝나면 챗GPT가 회의 음성을 기반으로 요약본을 제공해줍니다. 이를 기반으로 챗GPT와 추가 대화를 할 수도 있습니다.
AI 활용 사례 (1/3)
고객 요구사항이 들어오면 Make.com으로 고객 미팅 일정 생성하기

요약: young kwon님은 이메일로 들어온 고객 요구사항을 담당자에게 일일이 배정하고, 요구사항을 정리하는 일을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이를 자동화하기 위해 Make.com을 활용하여 고객 미팅 일정을 생성하는 것을 자동화 해냈습니다.


단계별 방법:

  1. 이메일로 고객 요구사항이 들어오면, Make.com의 웹훅 모듈을 이용해 이메일의 고객 요구사항을 노코드 데이스 베이스 툴 Airtable에 쌓도록 설정했습니다.
  2. Airtable에 들어온 내용을 바탕으로 구글 캘린더에 미팅을 만들도록 설정했습니다. 이때 기존에 있던 고객의 문의인지를 구분하여, 신규 고객 미팅과 기존 고객 미팅을 구분했습니다.

흥미로운 점: 기존에 있었던 고객 요구사항을 전부 Airtable에 쌓아두어, 신규 고객과 기존 고객 미팅을 구분해 고객 미팅 일정을 생성한 부분이 흥미로웠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존 고객 담당자에게 고객을 배정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지피터스 소식 (2/2)
AI 활용 사례 (2/3)
노트북LM으로 유튜브 쇼츠 만들기

요약: 테드창님은 사업을 홍보하기 위해 매일 6개가 넘는 쇼츠를 제작하고 배포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을 빠르게 하기 위해 노트북LM의 팟캐스트 기능에 이미지를 추가하여 쇼츠를 제작하는 과정을 소개해주셨습니다.


단계별 방법:

  1. 나의 사업 분야에서 (테드창님의 경우 의학, 건강) 논문을 서칭하여 PDF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2. 논문 PDF 파일을 노트북 LM에 넣어, 논문을 설명하는 팟캐스트를 생성합니다.
  3. 팟캐스트 mp4 파일을 다운로드 하고, 챗GPT 이미지 생성 기능으로 관련 이미지를 만들어 쇼츠를 생성합니다.


흥미로운 점: 노트북LM의 팟캐스트 기능을 이용해 쇼츠를 만드는 부분이 생각하지 못한 활용사례였습니다. 팟캐스트 기능으로 대본과 음성이 생성되므로, 쇼츠에 넣을 이미지와 짧은 영상만 만들면 더욱 빠르게 쇼츠를 만들 수 있는 부분이 흥미롭습니다.

AI 활용 사례 (3/3)
설문 조사에 응답이 작성되면 이메일로 알려주는 Make.com 자동화

요약: 노코드 자동화 툴 Make.com을 이용해, 설문 조사에 응답이 작성되면 이메일로 알려주는 자동화를 소개한 김욱영님의 사례입니다.


단계별 방법:

  1. 구글 폼에 응답이 작성되면, 이를 Make.com에서 확인할 수 있는 트리거를 설정합니다.
  2. Make.com에서 확인한 구글 폼의 내용을 기반으로 지메일을 발송하도록 설정합니다.
  3. 15분 마다 응답이 왔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Make.com의 자동화 시나리오를 구축해, 응답이 올 때 마다 지메일에서 설문 조사 응답 내용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흥미로운 점: 간단한 Make.com의 활용 사례를 기반으로, Make.com의 용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한 부분이 흥미롭습니다. 단계별로 설명되어 있어서 Make.com을 사용한 적 없는 유저가 Make.com의 사용법을 배우기 좋은 활용사례입니다.

1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