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및 목적
원래는 Python 기반의 다른 아이디어를 구현할 예정이었습니다. 하지만 전체 프로세스를 먼저 경험해보고 싶어 좀 더 간단한 주제로 변경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Make 열심히 한 김에 일타쌍피로 Make 플랫폼 학습과 사업 아이디어 개발 두 가지 목표 모두 달성을 노리고...ㅎㅎ)
참고 자료
아직 제대로 보지는 못했지만 이번에 작성해주신 글들 참고하여 진행하고자 합니다.
활용 툴
실행 과정
일단 소장님의 스타트업 컨설턴트를 적극 활용해봅시다.
1단계: 초기 설계 및 MVP(최소 기능 제품) 구축
2단계: 기능 확장 및 플랫폼 고도화
3단계: 마케팅 및 확장 전략
4단계: 지속적인 개선 및 유지보수
Make 강의 청강하다보니 핵심 기능 설계 및 개발은 어느 정도 완료했지만
시장 조사 및 타겟 설정은 제대로 하지 않아서 이번에도 GPT 채찍질
Pain Point가 저와 비슷하여 공감이 갑니다.
1. Awareness (인지 단계)
2. Consideration (고려 단계)
3. Conversion (전환 단계)
4. Purchase (구매 단계)
5. Retention (유지 단계)
3단계
고객 중심 언어
문제 해결 중심 언어
감정적 언어
가치 제안
기술 중심 언어
4단계
5단계
결과 및 인사이트
아이디어가 생각나면 어떠한 기능이 있으면 좋을지만 구체화했었는데
STP, 퍼널, CTA 등에 대해 알게 되기도 하였고
아이디어를 구체화해주는 툴들과 이에 대한 활용법을 알 수 있어 좋았습니다.
Make로 워크플로우를 만들기 전, PPT로 이리저리 전체 Process에 대해 고민하며
있었으면 했던 기능들에 대해 잘 녹여내어 서비스화 시키면 좋을 것 같습니다.
주식 시장 데이터 제공 서비스의 경우,
주식 시장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기도 쉽고,
기본적으로 증권사에서 인사이트를 제공하기도 하는 등 경쟁사가 매우 많은 상황임
기존 서비스들의 장단점을 합치면서 차별화 전략 수립을 잘해야 할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