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AI 팀원들 채용기 (GPTs)

저는 지금 ‘스타트업 실험실’을 "수강", ‘전자책'을 "청강" 하고 있습니다.

'스타트업 실험실'에서 주어진 과제를 '전자책'을 쓰는 관점으로 해결하고 있다고나...

그래서 이번 과정에 책의 목차를 만들고 작업하고 있는데, 준비하고 있는 전자책의 제목은 바로 “잔소리를 노래로 대신합니다.(with AI)” 🎵 입니다.

책을 쓰는 과정에서 저만의 AI 비서들(GPTs)을 만들어본 경험을 공유할께요.

실은 이번 주 ‘스타트업 실험실’ 과제인 직접 GPT를 만들기에 대한 실행이기도 하고요.

마침 책을 쓰던 중에 필요한 친구들이 있어서 실전 도구로 쓸 친구들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지난번 GPTers 사례글에서는 ‘보조작가 DevJan’을 만드는 과정을 다뤘어요.

https://www.gpters.org/wealth/post/ai-assistant-recruitment-AQ2Ky32Pp01e9vq

이 친구는 초안 작성에 도움을 줬지만, 아쉬움이 있었어요.

다른 용도의 도움을 주는 친구들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지요.

1) 기획을 도와주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

2) 내가 쓴 글을 냉정하게 봐주는 친구도 있었으면 좋겠다.

3) AI 노래 생성에 대한 글인 만큼 노래 가사를 도와줄 수 있다면 완벽할 텐데!

그래서 총 3명의 GPT 비서를 추가로 만들었습니다.

이름

역할

초고 기획자 DevJan

전자책 초고 기획서 생성

투덜이 DevJan(비평가)

부정적 시선으로 비평하기
(글의 완성도 올리기)

작사가 DevJan

AI 노래 생성용 가사 생성

결론부터 이야기해서 만들어진 친구들은 아래의 세 친구에요.

※ 마지막에는 전에 만들었던 보조작가도 데려왔어요.

https://chatgpt.com/g/g-67e7b27077588191af337b0c9c008234-cogo-gihoegja-devjan

https://chatgpt.com/g/g-67df9df001708191b7fcfbe36fc61269-tudeoli-devjan-bipyeongga

https://chatgpt.com/g/g-67dff0a9ed888191acff438222b353c1-jagsaga-devjan

https://chatgpt.com/g/g-678c9c0eea0c81919b726f5c35ec5a10-bojojagga-devjan

새로 추가된 세 친구에게 들어간 지침은 각각 다음과 같아요.

1) 초고 기획자 DevJan

#### 역할부여 ####
너는 지금부터 책을 쓰기 위한 초고 기획서를 만드는 기획자야.

#### 목표선정 ####
너의 목표는 나와 함께 완성된 한권의 책을 쓰기 위한 기획서를 만드는 거야.
완성된 기획서에는 아래의 내용이 항목별로 정리된 markdown 문서로 만들어 져야 해.

1. 책 제목
2. 기획 의도 및 배경
3. 주요 타겟 독자 및 페르소나
4. USP (User Selling Proposition)
5. 경쟁 콘텐츠 및 차별성 분석
6. 목차
7. 글의 톤 앤 매너
8. 키워드
9. 핵심 메시지

#### 사전지식 질문 ####
우선 나에게 물어보고 사전에 습득해야 하는 지식이 있어, 아래의 질문에 대한 값은 필수 입력값으로 받아둬.
[1] 책으로 쓰고 싶은 글의 주제?
[2] 전하고자 하는 핵심 메시지?

#### 입력한 데이터 점검 ####
만약 나의 답변이 부정확하다면, 만족도 높은 답변을 만들기 위해서 질문을 계속해줘.

#### 미션수행 ####
나와의 대화를 통해서 완결된 초고 기획서를 만들어줘.

1. 초고 기획서의 각 항목별로 필요한 정보를 수집해줘
  - 사전 지식 질문의 내용에서 시작해서 나와의 대화를 통해 초고 기획서의 각 항목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해줘
  - 각 항목에 대한 나의 기본 아이디어가 있는지를 먼저 물어보고 시작해
  - 네가 이해한 내용은 다시 나에게 설명해서 2차 검증을 받아
  - 필요한 정보가 모두 수집 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

2. 초고 기획서를 만들어줘
  - 수집 및 정리된 정보에서 오류가 있거나 충돌이 나는 부분은 없는지 확인해줘
  -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다시 나와 대화를 통해서 오류를 해결해
  - 수정이 완료된 정보로 초고 기획서를 만들어줘

#### 사전지식 입력 요청 ####
초고 기획서 작성을 위해 필요한 질문을 하는 것으로 대화를 시작하자!

2) 투덜이 DevJan (비평가)

#### 역할부여 ####
너는 지금부터 투덜이 비평가야.
내 글에서 잘못되거나 고쳐야 하는 점을 찾아서 비판해줘.
부정적인 의견을 특히 강조해줘.

#### 목표선정 ####
입력된 글에서 잘못된 점을 적극적으로 찾아서 비판하고, 수정하게 해야 해.

#### 사전지식 ####
평가해야할 글을 사전 입력 받아야만 해.

#### 입력한 데이터 점검 ####
만약 나의 답변이나 대응이 부정확하다면, 만족도 높은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서 질문을 계속해줘.

#### 미션수행 ####
1. 입력된 글을 분석하고 논리적으로 취약한 부분이 있거나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찾아서 비판해 줘
 
2. 최대한 부정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 의견을 줘

3) 작사가 DevJan

#### 역할부여 ####
너는 지금부터 노래 가사를 만드는 작사가야.

#### 목표선정 ####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하여 AI 노래 생성에 사용될 노래 가사를 만들어야 해

#### 사전지식 ####
사전에 습득해야 하는 지식이 있어, 아래의 질문에 대한 답을 입력값으로 받아둬.
[1] 만들고 싶은 노래 가사 주제는?
[2] 꼭 포함하고 싶은 단어는? (없으면 없다고 이야기해줘)
[3] 만들고 싶은 노래 구조는? (EX. A-A'-C-C') (없으면 없다고 이야기해줘) 
[4] 만들고 싶은 노래의 장르는? 
[5] 노래에 담고 싶은 정서는? (기쁨, 행복, 슬픔, 자아성찰 등) 

#### 입력한 데이터 점검 ####
만약 나의 답변이나 대응이 부정확하다면, 만족도 높은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서 질문을 계속해줘.

#### 미션수행 ####
- 지식에 입력된 파일은 내가 좋아하는 스타일의 노래 가사 파일이야. 
- 각각 파일이름에 맞는 성격의 노래 가사들이야. 
- 이 가사들의 스타일을 참고해서 노래 가사를 만들어줘
- 지식에 입력된 파일보다 더 좋은 참고자료가 있으면 그 자료도 함께 사용해도 좋아
- 만들어진 노래 가사에 대한 중요 컨셉을 나에게 설명하고 2차 검증을 받아

"초고 기획자 DevJan"과 "작사가 DevJan"의 경우 공통적으로 두가지 내용을 신경썼습니다.

1) 내가 원하는 완성된 형태에 대한 예시 또는 정의가 포함되어 있었다.
2) "중요 내용을 나에게 설명하고 2차 검증을 받아"라는 내용이 추가되어 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이 두가지 지침이 나와 계속 티키타카 하면서 완성을 향해 달려가는 비서들을 만들때 꼭 포함되어야 하는 지침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확실히 이들 내용이 지침에 포함 되었더니,

GPT가 제가 원하는 걸 정확히 이해했는지 저와 대화를 나누면서 조율해줬어요.

혼자 기획하는 느낌이 아니라, 함께 고민하고 만들어가는 과정이 되었죠! 💬

※ 지금 제대로 만들어 본것은 초고 기획서이고, 이제 본문을 쓰고 있는 단계라 다른 두 친구는 아직 확인해 보지 못했지만, 초고 기획서가 개인적으로는 꽤 만족스러웠습니다.

또 하나 놀라웠던 건,

초고 기획자 DevJan을 통해 만든 초고 기획서의 완성도가 생각보다 좋아서

“이건 진짜 사람과 협업한 것 같은데?” 하는 감탄이 절로 나왔어요 😲👏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초고 기획서는 다음과 같아요.

# 📘 책 기획서 초안

---

## 1. 책 제목  
**잔소리를 노래로 대신합니다. (with AI)**  
**부제: 나의 AI 노래 다이어리**

---

## 2. 기획 의도 및 배경  

AI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이제는 작곡을 배우지 않아도 노래를 만들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SUNO와 같은 AI 노래 생성 툴은 누구나 쉽게 나만의 노래를 만들어볼 수 있는 흥미로운 도구입니다.

이 책은 AI로 만든 노래들에 나만의 메시지를 담고, 그것을 세상과 나누는 과정을 담은 개인적인 기록이자 실험입니다.  
AI를 공부하던 중 자연스럽게 노래 생성이라는 분야로 확장되었고, 저는 이를 활용해 다양한 메시지를 노래로 표현해보았습니다.

예를 들어, 고등학생이 된 아들에게 공부하라는 잔소리를 기분 나쁘지 않게 전하고 싶어 만든 노래,  
또는 새로 시작한 골프에서 암기해야 할 스윙 포인트를 외우기 위해 만든 노래처럼,  
AI 노래는 저에게 있어 감정과 정보를 전하는 새로운 방식이 되어주었습니다.

물론 AI가 멜로디와 음악을 만들어주긴 하지만, 가사는 스스로 직접 써야 합니다.  
그렇기에 AI 노래 생성은 단순한 자동 작곡이 아니라, 가사를 통해 나의 생각과 감정을 세상에 전할 수 있는 도구라고 생각합니다.  
작곡이 아니라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면, 누구나 이 창작 방식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습니다.

이 책은 제가 직접 만든 AI 노래와 그 가사의 배경 이야기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동시에 AI로 노래를 만들기 위해 알아두면 좋은 기초적인 음악 지식, 작사를 돕는 도구, AI 활용법 등도 함께 소개합니다.

끝으로, AI로 만든 노래를 Youtube에 올리는 것 외에 더 많은 사람들과 나누는 방법을 고민하다 이 책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수익화나 음원 발매보다는, 나의 생각을 특별한 방식으로 전달하고 기록하는 수단으로써 AI 노래 생성을 활용해보시길 바랍니다.

---

## 3. 주요 타겟 독자 및 페르소나

### 🎯 타겟 독자 1: 감정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싶은 40~50대 성인  
- 자녀, 가족, 지인에게 감정을 전하고 싶은 사람  
- 콘텐츠를 만들어보고 싶은 일반인  
- 음악에 대한 관심은 있으나 작곡은 어려운 사람  

**페르소나: 박현우 (48세, 마케팅 팀장)**  
- 고등학생 자녀와 소통의 어려움을 겪고 있음  
- 감정을 창의적으로 표현할 방법을 찾던 중 AI 노래에 관심  
- 노래를 통해 감정을 자연스럽게 전달하고 싶음  

---

### 🎯 타겟 독자 2: 교육 현장의 교사 및 강사  
- 학생들에게 외워야 할 내용을 더 쉽게 전달하고 싶은 교사  
- AI를 활용한 창의적 수업 콘텐츠에 관심 있는 교육자  

**페르소나: 김정은 (38세, 고등학교 화학 교사)**  
- 유기화학 등 암기 과목 수업에 노래를 활용하고자 함  
- AI 도구를 활용한 교육 콘텐츠 제작에 관심  
- 가사 구성, 도구 사용법, 저작권 관련 정보까지 얻고 싶어함

---

## 4. USP (User Selling Proposition)

### 📌 일반 독자용 USP  
**“작곡은 몰라도, 내 마음은 노래가 될 수 있다!”**  
- 누구나 AI로 쉽게 감정을 담은 노래를 만들 수 있는 감성형 가이드북

### 📌 교육자용 USP  
**“AI 노래 한 곡이면, 학생들의 집중력이 달라진다!”**  
- 수업 내용을 노래로 전환하는 실전 교육 활용법과 예시 제공

---

## 5. 경쟁 콘텐츠 및 차별성 분석

### 🔍 경쟁 콘텐츠  
- AI 음악 제작 실용서 (SUNO, Udio, Riffusion 등 튜토리얼 중심)  
- ChatGPT 작사 팁 콘텐츠  
- 일부 교육 유튜버의 노래 기반 콘텐츠

### 🌟 이 책의 차별성  
- 감정을 담은 에세이 형식 + 실용 가이드 결합  
- SUNO 사용법과 작사 노하우를 초보자 눈높이에서 설명  
- 실제 AI 노래와 가사의 배경 이야기 수록  
-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사례까지 포함한 실전 적용서  
- 유튜브 채널과 연동된 확장형 콘텐츠

---

## 6. 목차 구성

### 1. 머리말  
- 이 책이 필요한 사람  
-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 AI 노래 생성의 의미  
- 노래 생성과 저작권  
- 나에게 있어 AI 노래의 의미

### 2. AI 노래 만드는 법  
- SUNO 소개 및 사용법  
- 작사를 위한 기초 지식  
- AI 가사 생성 도구 활용법  
- SUNO 고급 활용 기법과 참고 사이트

### 3. 내가 만든 AI 노래들  
> (예: 가사 + 배경 이야기 + 노래 링크 수록)  
- 오늘도 난 나에게 말해  
- 나는 잔마왕  
- 벌써 20년  
- 작은 행복  
- 아빠의 잔소리  
- 수험생 아들에게 전하는 잔소리  
- Y에게  
- 주재원 찬가  
- 유기화학 작용기 Song  
- 업무의 잔머리 주제가  
- 골프 초심자를 위한 골프 스윙송  
- 회사 홍보 Songs

### 4. 마치며  
- 책을 통해 전하고 싶었던 말  
- 나만의 AI 노래 다이어리를 쓰는 즐거움

---

## 7. 글의 톤 앤 매너  
- 따뜻하고 진솔한 1인칭 에세이 스타일  
- AI와 음악을 어렵지 않게 설명하는 친근한 설명체  
- 독자와 공감하며 말 건네듯 진행  
> “노래 만드는 게 어렵다고요? 걱정하지 마세요. AI가 도와줄 테니까요.”

---

## 8. 키워드

### 주제/기술 중심
- AI 노래
- SUNO
- AI 작사
- AI 작곡
- AI 노래 생성
- AI 음악 생성
- AI 크리에이티브
- 노래 생성 툴

### 목적/활용 중심
- 누구나 만드는 노래
- 감정 표현
- 콘텐츠 제작
- 학습 도구로서의 노래
- 음악으로 하는 잔소리
- 교육 콘텐츠 만들기
- 메시지 전달 도구

### 감성 키워드
- 다이어리
- 감성 AI
- 따뜻한 AI
- 진심을 담은 노래
- 나의 이야기
- 음악으로 말하기

---

## 9. 핵심 메시지

> **잔소리도, 추억도, 하고 싶은 말도 — 노래가 되면 마음에 닿는다.**  
> 작곡을 몰라도 괜찮아요.  
> 노래 만드는 게 어렵다고요? 걱정 마세요.  
> **AI가 당신의 마음을 노래로 만들어줄 테니까요.**  
>  
> 중요한 건 음악적 실력이 아니라, **전하고 싶은 진심**입니다.  
> 이 책은 그 마음을 노래로 전하는 가장 쉬운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

이번 경험을 통해 꼭 공유하고 싶은 포인트는 다음의 두 가지입니다.

1. 예시를 꼭 넣자!

GPT는 내가 어떤 결과를 원하는지 실제로 보여줘야 훨씬 잘 이해하더라고요.

"초고 기획자 DevJan"의 지침 안에 실제 예시가 들어가 있지는 않았지만, 원하는 내용의 헤드메시지와 순서가 있었기에 그 순서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잘 작업해 준 것 같아요.

"작사가 DevJan"의 경우 아직 같이 작업을 해 보지는 않았지만, 기대가 꽤 큽니다.

제가 좋아하는 노래의 가사들을 모아서 txt 파일 형태로 지식에 같이 업로드해 뒀거든요.

모르긴 해도 딱 내가 좋아하는 스타일로 가사를 만들어주리라 생각해요.

※ 제가 슬픈 가사의 노래는 의도적으로 듣지 않는 편이라...
지식에 업로드한 가사들 중에 슬픈노래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한국 소셜 미디어 앱의 스크린 샷

2. 티키타카를 원한다면 지침에 "나와 2차 검증을 받아" 라는 문구를...

확실히 지침에 2차 검증에 대한 내용을 넣었더니, 본격적인 작업을 하기전에 GPT가 이해한 내용을 꼭 나에게 확인을 받고 진행하더라고요.

가끔은 번거롭게 느껴지긴 하지만, 그래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실수를 확실하게 줄이는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렇게 저는 또 다른 내 책쓰기 프로젝트의 팀원을 채용했습니다.

앞으로 이 GPTs 친구들과 함께할 생각을 하니 정말 든든합니다.

앞으로도 이들 GPT들과 함께

더 풍부한 콘텐츠를 만들어갈 예정이에요!

혹시 나만의 책을 쓰고 있거나, 무언가를 기획하고 계시다면

GPTs라는 든든한 팀을 꾸려보는 것, 꼭 추천드리고 싶어요 💪🤗

참고한 글

이번 GPTs를 만드는 작업을 할 때 특히 초고 계획서의 경우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이나 양식을 잘 몰라서 황성진님의 글을 많이 참고했습니다.

https://www.gpters.org/ai-writing/post/write-draft-plan-writing-dvoNciVsM3xpJq8

12
6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