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를 활용하여 논문을 효율적으로 읽고 쓰는 5가지 방법

AI는 연구와 글쓰기 영역에서 전례없는 효율성과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많은 연구자들이 ChatGPT로 논문 교정을 받거나 심지어 글을 대필하는 사례까지 등장하고 있는데요. 앞으로 다가올 다양한 AI 도구들은 글쓰기와 교정뿐만 아니라 연구 전반에 걸쳐 연구자와 대학원생들에게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 글에서는 여러분이 논문을 작성하고 읽는 과정에서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5가지 AI 도구와 플랫폼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1. AI 검색으로 관련 논문 빠르게 찾기

AI 기반 검색 서비스를 활용하면 원하는 논문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이제 더 이상 Google Scholar에서 수동으로 일일이 검색할 필요가 없죠. Perplexity, Scispace, Semantic Scholar 등 다양한 AI 연구 검색 서비스가 있는데, 그 중에서도 제가 자주 사용하는 Scispace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검색창에 질문을 입력하면, Scispace는 상위 5개 논문의 내용을 기반으로 그에 대한 답변을 요약해 줍니다. 각 문장마다 출처가 명시되어 있어 신뢰도 높은 정보를 얻을 수 있죠. 뿐만 아니라 검색어의 맥락을 분석하고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연구 주제에 부합하는 추천 논문 목록도 제시해 줍니다.

예를 들어 "기후변화가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했을 때, 구글 학술검색에서는 찾기 어려웠던 논문들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AI 요약 기능 덕분에 논문 초록을 일일이 살펴보지 않고도 핵심 내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Scispace의 또 다른 강점은 GPT 기반의 AI 코파일럿 기능입니다. 논문을 읽다가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있으면 그 부분을 선택하고 질문을 던지면 쉽게 풀어서 설명해 줍니다. 심지어 한국어로 질문해도 자연스럽게 논문 내용을 해석해 주니 정말 편리하죠.

Scispace 활용 사례를 더 알아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보세요.

👉 Scispace를 논문 심사에 활용한 사례

👉 Scispace 업무 활용 사례


2. 논문 간 관계를 한눈에 시각화하기

Connected Papers나 Research Rabbit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면 논문 간의 연결 관계를 시각적으로 탐색할 수 있습니다.

Connected Papers는 Semantic Scholar의 AI 검색 엔진을 기반으로 논문들이 서로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상호 연결망을 보여줍니다. 특정 논문을 클릭하면 해당 논문의 주제, 저자, 인용 정보 등을 토대로 새로운 연결 그래프가 생성되어 논문 간 관계를 더욱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 Research Rabbit은 사용자가 컬렉션한 논문을 분석해 개인화된 논문 추천을 해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일종의 "논문계의 스포티파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 저는 주로 문헌 관리 도구인 Zotero와 함께 Research Rabbit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연구 및 업무에 유용한 AI 도구 목록 살펴보기

👉 Research Rabbit, Connected Papers 직접 사용해 보기


3. AI 요약으로 논문 이해도 높이기

학술 논문은 내용이 조밀하고 복잡해서 이해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듭니다. Scholarcy, Wordtune, ArXiv GPT, Paper Digest 같은 AI 요약 도구를 활용하면 긴 논문의 핵심 내용과 주요 발견 사항을 간결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요약본을 먼저 읽어보면 논문의 전체 내용을 파악하지 않고도 해당 연구의 관련성을 신속히 판단할 수 있죠.

그중에서도 인터페이스가 직관적이고 사용이 편리한 Wordtune을 추천해 드립니다.

Wordtune에서 논문을 검색하거나 PDF 파일을 업로드하면, 왼쪽에는 논문 요약을, 오른쪽에는 원문에서 핵심 문장을 하이라이트해서 보여줍니다. 섹션별로 세부적인 요약이 제공되어 다른 요약 서비스에 비해 내용을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라이브러리 기능으로 요약한 자료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고, 원하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맞춤 요약도 가능합니다. 만약 요약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다면 'Re-summarize' 기능을 통해 섹션별로 재요약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 Wordtune Read 직접 사용해 보기

👉 논문 요약에 최적화된 프롬프트 살펴보기


4. 수학/계산 특화 AI로 연구 역량 강화하기

Wolfram과 같은 계산 중심의 AI를 활용하면 학술 연구에 더욱 강력한 도구를 갖출 수 있습니다. Wolfram에 복잡한 수학 질의를 던지고 계산 결과를 포함한 상세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 연구의 깊이와 폭을 크게 확장시킬 수 있습니다.

Wolfram은 일반 GPT 모델에 비해 월등한 수학 계산 능력을 자랑하며,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도메인의 전문 정보를 제공합니다. 여기에 더해 차트와 그래프 생성 기능까지 갖추고 있어,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정교한 시각화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죠.

Wolfram의 사용방법은 무궁무진하여 커뮤니티내 사례들을 리스팅해 드리겠습니다.

👉 Wolfram 으로 논문 그래프 그리기

👉 Wolfram 을 통해 수학적인 아이디어 얻기

👉 수학 수식을 변환하여 ChatGPT에 입력하는 방법

👉 간단한 Wolfram 동작 원리


5. AI 어시스턴트를 활용한 글쓰기

먼저 Consensus AI를 사용해 관심 연구 주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빠르게 조사하고 아이디어를 확장해 보세요. Consensus AI는 방대한 논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체적인 실험 방향과 예상 결과를 제안해 줍니다.

이후엔 Wordtune Writer나 Grammarly를 활용해 작성한 초고를 교정 및 개선해 나가면 됩니다. 이 도구들은 학술 글쓰기에 적합한 문체와 표현을 일관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APA, Harvard 등 다양한 인용 스타일에 맞춰 자동 교정해 줍니다.

AI 글쓰기 어시스턴트는 단순히 오탈자나 문법 오류만 잡아주는 것이 아니라, 전문적인 학술 글쓰기의 명료성과 설득력을 높이는 데 일조합니다. 수동태나 전문 용어의 사용, 복잡한 문장 구성 등으로 어려움을 겪을 때 AI가 개선 방향을 제시해 주니 논문을 읽기 쉽고 흥미롭게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 Consensus AI 사용해 보기

👉 ChatGPT로 논문 첨삭 및 교정 받은 사례 살펴보기


다른 AI 활용 사례도 살펴보세요


AI 활용 노하우를 더 알고 싶다면?

📜 AI 논문 읽기/쓰기 오픈채팅방 참여하기 (입장 코드: cmds)

👩‍🎓 챗지피티 대학생 연합 가입하기 (입장 코드: gpters)



AI를 연구와 논문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무궁무진합니다. “AI로 논문 분석 10배 빨라지는 스터디"에서는 SciSpace, Scholarcy, Slid와 같은 논문 전용 AI 도구를 사용해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을 배웁니다. 연구원과 함께 AI를 업무에 적용하는 방법을 더 알고 싶다면, 아래 스터디 링크를 통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스터디) Scispace, Scholarcy, Slid로 논문 분석 10배 빨라지는 연구원 되기

13
7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