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shot
oneshot
🐶 AI 찐친
🚀 SNS 챌린지 달성자

AI사례 계시글 탐색: 연구 논문 검색

그동안 많은 사례 계시글들이 올라왔으나 읽어 볼 마음의 여유가 없었다.

이번 스터디 기회에 테마를 선정하여 글을 읽게 되었다.

지난 주에는 '심리 상담'을 테마로 선정하였고,

이 번 주에는 '연구 논문 검색'을 주제로 선정하여 흥미로운 점들을 요약해 보고 직접 따라 해보기도 했다.

  1. AI를 연구조교로 사용하여 적용하기(-ing)

https://www.gpters.org/research/post/applying-ai-research-assistant-z4k5PeVEzYOR7mD

작성자 뷰티진

• 1. 옵시디언을 배우기는 배워야겠다. 그동안 구요한교수님이 

우주와 같은 도표를 보여줄 때마다 기가 질려서 근처에 못가고 

있었다. 그런데 이 사례를 보니 기초부터 상세히 가르쳐 주고 

있는 것 같았다.

  • 2. 특히 논문 검색

과정에서 논문 정리를 수동으로 하려니 정리가 잘 안 되었는데 

이 사례를 보고 옵시디언이 이 문제를 해결해 주고 있었다.

  • 3. 이 사례 발표자보다 더 많은 도구들을 사용하고 있었다. 

ChatGPT, Claude, Perflexity, Gemini 등. 그러나 각 툴로부터

나오는 결과들을 수동으로 관리하고 있었다. 나름대로 엑셀로 

관리해보려 했으나 엑셀관리가 생각보다 쉽지 않았다.

  • 4. 서지 관리도 옵시디언이 해결해 줄 것 같은 예감이 든다.

  1. 서지관리 시스템(북엔즈)에서 메모를 작성하고, 단어장 앱(ANKI)에서 암기하기

    URL https://www.gpters.org/ai-writing/post/memorize-bibliographic-management-system-w6K5mc9JaxOJHop

    작성자 김욱영

     • 분산된 논문 관리와 메모 시스템으로 인한 재검토 어려움을 북엔즈 툴을 이용하여 자동화를 한점이 흥미로웠으나, 메모를 anki시스템을 이용하여 기억할 수 있다는 내용은 설명이 없어 이해하기 어려웠다. 나중에 기회가 있으면 북엔즈와 anki를 사용해 보아야겠다.

    한국어와 한국어의 차이점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3. [문과생도 AI] GPTERS에서 1년 6개월 동안 나에게 일어난 마법 #1

    URL https://www.gpters.org/nocode/post/magic-1-happened-me-HD1L6AvOxTCiEiP

    작성자 박정기

      • 문과생이 42서울에서 연구를 하고, C/C++부터 시스템 프로그래밍을 짰다는 말이 흥미로웠다. 전혀 문과생 같지 않은데 그 노력을 사고 싶다.

      • 그동안 만들었다는 40개의 프로젝트가 무엇인지 알고 싶어 답글을 달아 놓았다.

    (작성자는 개발자이나 스터디 이름이 '문과생도 AI'라는 것을 스터디장의 설명으로 알게 되었다.)

    4. 연구 관련 AI툴 사용기 2탄

      https://www.gpters.org/research/post/part-2-using-researchrelated-UFgxPgigj933yhS

    작성자 Sunny

    • \*\*Publish or perish에서 선행연구에 필요한 논문리스트를 찾아 CSV파일로 저장\*\* 이 점이 흥미롭습니다. 실행을 해 보려했으나 못하였습니다. 다음 기회에 해 보고 ChatGPT가 해주는 것 보다 더 좋은지 확인하겠습니다.


    5. 초짜 AI 유저의 Scispace 사용기 https://www.gpters.org/research/post/novice-ai-users-experience-cL7IVOhcaiO57Rp 작성자 오경아

    • 12기 함께 스터디하였는데도 왕초보가 내 리포트 작성하느라 같은 스터디원이 발표한 내용이 무엇이었는지도 모르고 있다가 이제야 재미있는 것을 발견하게 된 것이 흥미롭다.

      • 그동안 숱하게 이용하였던 SCI SPACE에 \*\*research pdf to video\*\* 기능이 있었다는 것을 이제야 알게 되었다. 내가 아는 것만 실행해보다가 다른 사람 발표를 보고 알게 된 것이 흥미롭다. 내 박사논문을 넣어 VIDEO로 만들어 보았다. 한글 논문을 올렸는데 요약은 영어로 해준다. mp4 파일을 이 곳에 올릴 수 없어 약간 아쉬움을 남긴다.


    ai space 7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차트

    귀동냥 1년 하면 나도 고양이 발 정도는 될꺼야

    원샷이라는 문구가 적힌 모자를 쓴 고양이


결과와 배운 점

  1. 다른 분들의 고귀한 경험을 알게 되었다.

  2. 내가 늘 사용하고 있는 툴이면서도 다른 사람의 경험으로 새로운 기능을 알게 되었다.

3
2개의 답글

👉 이 게시글도 읽어보세요